• Title/Summary/Keyword: 인력양성사업

Search Result 356,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2008년 대학 정보보호 동아리 사업 성과물 속속 - 대학 정보보호 동아리가 나간다

  • 한국정보보호진흥원
    • 정보보호뉴스
    • /
    • s.134
    • /
    • pp.26-28
    • /
    • 2008
  • 대학 정보보호 인력의 올바른 정보보호 의식을 �t양시키고 우수한 인력을 양성하기 위한 KISA 대학정보보호동아리 지원사업이 올해에도 진행됐다. 특히, 올해에는 대학 정보보호 동아리에 대한 실질적인 지원과 깊이 있는 교육 프로그램이 대학 동아리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불러일으켜 성공적인 사업이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 PDF

이슈분석 - 산업부, 에너지 분야 기술개발.인력양성.국제공동연구 신규지원 대상과제 공모

  • 대한전기협회
    • JOURNAL OF ELECTRICAL WORLD
    • /
    • s.458
    • /
    • pp.60-65
    • /
    • 2015
  • 산업통상자원부는 올해 에너지 분야 기술개발, 인력양성, 국제공동연구 등의 사업에 1,600억 원 규모를 신규 지원키로 하고 지원대상과제를 지난달 9일 공고했다. 특히 정부가 최근 가장 집중하고 있는 에너지신산업 분야 모델 기술 개발 및 인력양성에 대한 지원을 대폭 강화하는 내용이 담겨 있어 관심이 간다. 미래 전력산업 분야를 좌우할 기술개발에 대한 지원이 눈에 띄게 확충된 만큼 관련 산 학 연에서 발 빠르게 움직일 것으로 보인다.

  • PDF

A Plan of Efficiency of Human Resource Policy for Small-Medium Enterprises in Regional Strategic Industry (지역전략산업 연계 중소기업지원 인력양성정책의 효율화 방안)

  • Kyung, Jong-Soo;Lee, Sang-Cheol;Lee, Sang-Ho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1 no.10
    • /
    • pp.3779-3788
    • /
    • 2010
  • In this study, We found approach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human resource policies for small-medium enterprises(SMEs) in the regional strategic industries. Especially, we intended to identify prac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through analyzing to the supply and demand side of human resource at the same time. In the supply side, we analyzed workers, supply, and support policy in regional strategic industry. In the demand side, we analyzed the demands from 201 SMEs in regional strategic industry. We found the demand differences in strategic industries. we found the efficiency improvement and directions of human resource policies. Thus, these results imply the necessity of creating a customizing policy for SMEs. In conclusion, the human resource policy should be reflected the central government's policy direction and the demands of SMEs.

"제2의 식목, 숲가꾸기사업"이 본격 추진된다

  • 한국산림경영인협회
    • 산림경영
    • /
    • s.143
    • /
    • pp.43-45
    • /
    • 2000
  • 새천년을 맞아 첫 번째로 실시하는 제55회 식목일을 계기로 정부는 IMF 경제위기에 따른 실업대책사업중 대표적인 성공한 사업으로 평가된 숲가꾸기공공근로사업을 실업자 구제를 위한 실업대책사업에서 장기 국가정책사업으로 전환하여 본격 추진한다고 밝혔다. 이는 녹화는 되었으나 그동안 예산부족과 인력부족으로 방치하였던 우리 숲을 경제적, 환경적으로 가치있는 자원으로 육성할 수 있도록 숲가꾸기사업을 $\ulcorner$제2의 식목, 숲가꾸기(育林)$\lrcorner$으로 추진하기 위한 것이다. 정부에서 밝힌 바에 따르면 숲가꾸기공공근로사업에 참여하는 근로자중 12천명을 숲가꾸기 전문기술자로 양성하여 전문직업인으로서 숲가꾸기에 참여할 수 있게 되며, 숲가꾸기전문기능인력이 크게 늘어나 녹화된 숲을 조기에 경제림으로 육성하고 선진임업국으로 도약하는 기반이 마련된다.

  • PDF

산업인력정보화 성과지표 도출 및 분석

  • Im, Gyu-Geon;Jo, Nam-Jae;Kim, Jae-Hun;Jeong, Guk-Hwan
    • 한국경영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8.06a
    • /
    • pp.732-744
    • /
    • 2008
  • 정부의 정보화 사업에 대한 투자 성과평가는 중요한 연구주제 중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노동부의 산업 인력정보화 사업인 워크넷(work.go.kr)에 대한 성과지표를 도출하고 이를 분석하고자 한다. 국가 정보화 사업에 대한 성과지표에 대해서는 특히 민간기업과는 달리 해당 기관의 공익적 목적이 함께 고려되어 평가되어야 한다. 산업인력정보화 사업의 목적은 혁신적이고 효율적인 대국민 서비스를 통하여 산업인력의 원활한 유지 및 실직된 인력의 재 양성을 통한 노동시장 재분배 등의 노동정책을 지원하는 것이다. 그러나 현재의 성과지표는 이러한 점들에 대한 반영 이 미흡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KISDI의 정보화 성과평가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다양한 기존의 공공정보화 성과평가 방법론들의 성과지표를 비교분석 하여 산업인력정보화 사업 성과분석에 필요한 지표들을 도출하였다. 개발된 성과 지표를 적용하여 Performance layer, Business layer, Process layer, Input layer에 따라 워크넷의 도입성과 및 업무 프로세스 개선 효과에 대해서 실증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성과지표는 민간 기업의 성과지표와는 차별화된 공공정보화 사업성과 분석 지표로써, 다양한 공공정보화 사업의 성과분석에 적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향후 지속적인 산업인력정보화 사업 성과분석의 기반을 제공하고 효과적인 정책을 추진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The Status and Demand for Design Professional People in Daejeon/Chungcheong fo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제4차산업혁명을 위한 대전/충청지역 디자인 전문인력 현황과 수요 전망)

  • Kim, jeong-a;Noh, hwang-woo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173-174
    • /
    • 2018
  • 본 연구는 4차산업혁명의 성공 핵심 키워드 중 하나인 '융합'을 통한 디자인의 역량 강화를 위하여 전문인력의 양성현황, 대전/충청지역의 디자인 전문회사 현황 및 대전지역의 전략사업을 분석하였다. 분석을 통해 예측된 수요맞춤형 전문인력의 공급 방안을 제시하며, 디자인 전문인력의 양성과 운용에 대한 세부적 방안 마련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