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인력양성사업

검색결과 356건 처리시간 0.024초

스마트 메카트로닉스 창조인력양성 사업단 - 창원대학교 지방대학 특성화 사업

  • 배동식
    • 세라미스트
    • /
    • 제19권4호
    • /
    • pp.74-79
    • /
    • 2016
  • 창원대학교 스마트융합 메카트로닉스 인력양성 사업단의 교육 목표는 1) 창조적 교육과정을 통한 지역거점 특성화, 2) 세계적인 수준의 경쟁력을 갖춘 기술 인력 양성, 3) 분석력, 창의력, 적응력 및 설계능력을 갖춘 능동적 기술인력 양성, 4) 시대의 환경변화를 선도하는 진취적 기술인력 양성, 5) 인재공급 및 취업률향상으로 정하였다. 이를 달성하기 위한 교육전략은 1) Major전문성(메카트로닉스심화, 공통실험교육 강화), 2) Global국제적감각(팀기반능력, 근접학문이해능력), 3) Creative지속성장 (Capstone Design, 현장적응교육)으로 정하였다. 따라서 메카트로닉스공통융합심화트랙 교육과정으로 기계, 전기전자제어, 신소재분야의 공통트랙으로 이론 30학점, 실험 6학점(16과목, 36학점)을 신설하여 운영하였다. 수강지도를 통한 교차이수권장 학생들의 자율선택기반을 조성하고, 현장적응교육, 캡스톤 디자인 2과목 7학점을 수강하도록 하였다. 학생의 본인주도 학습권을 인정하여 2학년 진학 시 학생본인직접 100% 자기 전공 선택 기회 제공하는 구조조정을 실하고, 타 전공 관련정보 상호교류, 학문간 통합교육, 조직의 유연성확보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교과목(정규/비정규)개편을 통해 개선된 현장 실무 형 내실화 교육의 실시하여 취업률을 향상시켰다. 따라서 창원대학교 신소재공학부는 기계, 전기전자에 관련된 기본소양을 의무적으로 학습하기 때문에 메카트로닉스 분야에서 필요한 신소재공학도를 육성하는 기반을 마련하였다.

공간정보체계 인력양성을 위한 교육과정 분석 (An Analysis of Education Programs for Spatial Information System)

  • 진희채;박태옥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논문지
    • /
    • 제6권2호
    • /
    • pp.97-105
    • /
    • 2004
  • NGIS를 통하여 우리나라는 공간정보화가 가속되었고, 그 사업에는 인력양성 사업이 포함되어 있다. 인력양성사업은 공간정보체계 관련 전문가를 양성하는 사업이며 단기와 장기 두 가지 과정이 운영되고 있다. 장기과정의 경우 공간정보체계 관련 전문가 과정 또는 공간정보체계 관련 최신 기술에 대한 교육을 수행하고 있고, 단기과정은 공간정보의 활용 또는 최신 컴포넌트 기술 등에 대한 소개를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교육 프로그램과 교육과정을 분석하여 보도록 한다. 또한 공간정보사업을 효율적으로 추진하기 위하여 교육 과정 등에 대한 몇 가지 추진방향에 대하여 제시하도록 한다. 효율적인 교육을 위하여는 과목의 중복성 배제 및 교육 과정 유형을 고려한 교육 등이 요구된다.

  • PDF

차세대 보안리더 양성프로그램의 성과평가 지표 개발 (Deriving Performance Evaluation Indicator of Program for Developing the Next Generation of Top Security Leaders)

  • 박성규;김태성;김진석;유성재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8권2호
    • /
    • pp.501-511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논리모형을 기반으로 정보보안 인력양성사업의 성과평가 지표를 개발하는 것이다. 정부지원 정보보안 인력양성사업에 대한 문헌연구를 통해 후보 지표를 도출하고 전문가 대상의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통해 후보지표를 검토하였다. 최종 선정된 성과지표의 가중치(중요도) 산정을 위해 AHP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성과지표를 개발하였다. 인력양성사업 성과지표는 4개 분야의 18개 지표로 구성하였다.

2단계 BK21 사업의 개요와 특징

  • 서유미
    • 대학교육
    • /
    • 통권139호
    • /
    • pp.7-14
    • /
    • 2006
  • '분야별 특성화된 대학원 학과 육성을 통한 국제경쟁력 있는 석·박사급 인력 양성'을 목표로 하는 2단계 BK21 사업이 지난 1월 4일 사업 공고와 함께 막을 열었다. 2단계 BK21 사업을 통해 우리 대학이 인재 양성의 핵심기지가 되기를 기대한다.

  • PDF

공간정보체계 관련 인력수요 조사 및 분석 (Forecasting Demand for Human Resource of Spatial Information Systems in Korea)

  • 진희채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2005년도 GIS/RS 공동 춘계학술대회
    • /
    • pp.141-147
    • /
    • 2005
  • 공간정보체계 관련 구축 사업들이 시작되면서 전문분야별 소요인력에 대한 문제가 제기되었고, 다양한 방법에 의하여 전문 인력양성을 추진하여 왔다. 초장기 인력 규모의 예측은 사업 규모에 기반하여 예측되어졌고 인력 수요기관의 요구와 특징이 반영되지 못한게 사실이다. 이제는 공간정보체계가 광범위하게 확산되어 산업 현장을 통하여 소요 인력의 예측이 가능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인력 소요처들로부터 필요한 인력 규모를 조사하여 소요인력을 예측하고, 인력의 변화 특성들을 파악함으로서 기술수요에 따른 인력 육성분야와 수요량을 기반으로 하는 인력양성에 활용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인력 소요예측은 소요 인력이 활용되는 기업 등을 중심으로 산업적 성장성과 개별 기업의 인력 요구 등을 고려한 공간정보체계의 각 분야별 인력 소요 예측을 수행하도록 한다. 이를 토대로 산업적 특성, 기술적 특성, 소요 인력의 수요 증가 형태 및 특징을 분석하여 종합적인 소요 인력 규모를 산정하고 있다.

  • PDF

정보통신부 2003년도 연구개발 시행계획(정보통신부분)

  • 한국정보통신산업협회
    • 정보화사회
    • /
    • 통권160호
    • /
    • pp.22-27
    • /
    • 2003
  • 정보통신부는 정보기술(IT) 산업의 미래 성장 동력을 배양하고 세계 최고 수준의 정보화 일등 국가를 이루기 위해 올해 핵심기술 개발 인력 양성 표준화 등 연구개발 사업에 모두 9천718억원을 투자하기로 했다. 분야별 투자규모는 정보통신기술 개발사업에 7,061억원, 정보통신 인력 양성 사업에 1,688억원, 정보통신 표준화 사업에 292억원, 정보통신 연구기반 조성 사업에 677억원등이다.

  • PDF

해운항만물류인력 양성 구조 분석에 관한 연구 -부산지역을 중심으로-

  • 안영모;남기찬;곽규석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1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89-190
    • /
    • 2011
  • 일반적으로 국내 기업의 매출액 대비 물류비 비율은 미국, 일본 등 선진국에 비해 높기 때문에 여전히 물류관리 수준 향상을 위한 많은 노력이 필요한 상황이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물류관리 수준 향상을 위해서 가장 중요한 요소인 해운항만물류인력이 부족한 상황이며 수급현황을 살펴볼 때 더욱 부족해질 전망이다. 그래서 정부는 2005년부터 '해운항만물류전문인력 양성사업'을 시행하고 있는 상황이며, 인력양성의 주축인 대학 역시 관련 학과를 개설하며 해운항만물류인력의 부족 현상은 점차 완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해운항만물류인력 양성의 구조적 측면을 살펴봄으로써 지금까지의 양성 현황에 대해 살펴보고 앞으로의 양성 방향에 관해 연구해 볼 필요성에 따라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 PDF

빛과 쟁이-인하대학교 광기술교육센터 한창호 팀장

  • 박지연
    • 광학세계
    • /
    • 통권114호
    • /
    • pp.58-59
    • /
    • 2008
  • 광학산업의 대표적인 기술인재 양성센터로서 중추적인 역할을 하고 있는 인하대학교 광기술교육센터(센터장.황보창권,http://otec.inha.ac.kr)에서 광기술 교육프로그램의 기획 운영을 맡고 있는 한창호 팀장. 지난해 정밀광학기술인력양성사업의 시작과 함께 센터에 합류하면서 인재양성사업이 더욱 시너지 효과를 발휘하고 있다. 광학관련 업계에서만 11년간 기술영업을 하면서 쌓아온 그만의 네트워크와 노하우를 통해 광학업계에서 필요로 하는 정보와 맞춤교육을 접목시키면서 인력양성 프로그램이 탄력을 받고 있다. '커넥팅 옵티컬 엔지니어' 로서의 큰 자부심과 사명감으로 오늘도 새로운 교육프로그램 기획에 여념이 없는 한창효 팀장을 만나보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