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인력양성

Search Result 1,572,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A Study on the Training Strategy of Human Resources for the u-City Construction (u-City 건설을 위한 인력양성방안 수립연구)

  • Ahn, Jong-Wook;Lee, Jae-Yong;Shin, Dong-Bin;Kim, Jung-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8.10a
    • /
    • pp.289-292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u-City인력수급 전망을 토대로 국토해양부의 u-City 관련 인력양성에 대한 실천계획이 효율적으로 실행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u-City를 추진하는 지자체, 개발사업자마다 공통적으로 제기하는 문제점은 u-City 관련 고급 및 기능 인력의 절대적인 부족이다. 그러나 u-City 전문인력은 u-City건설의 특성상 도시계획 개발, 정보통신망, IT 등 다양한 분야에 대한 전문지식을 갖추어야하나 이러한 고급인력이 배출되고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인력양성방안의 목표를 'u-City의 성공적인 추진에 부합하는 전문인력양성'으로 설정하였으며, 수요자 중심의 교육, 지역 균형적인 전문인력양성, u-City 관련 분야의 융 복합교육, u-City 관련 교육인프라 구축을 추진전략으로 수립하였다. u-City 인력양성의 추진목표 및 전략을 실행하기 위한 중점추진과제로는 'u-City건설 전문인력교육 관련 수요전망', '지역별 거점대학 선정을 통한 전문인력의 양성', 'u-City 인력양성센터 건립추진', '교육포탈을 통한 온라인 교육', '교육인프라 구축' 등 5개를 선정하였다. u-City 인력양성을 위한 추진전략의 성공적 실행을 위해서는 중점 추진과제들간의 유기적인 연계가 필수적이다.

  • PDF

정보보호 인력양성 방안에 관한 연구

  • 이형우;이민섭
    • Review of KIISC
    • /
    • v.13 no.2
    • /
    • pp.70-80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대학 및 정보보호 관련 교육기관을 중심으로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정보보호 인력양성 과정 및 체계를 살펴보고 정보보호 산업 현황을 분석하여 정보보호 인력 양성 방안을 살펴보았다. 우선 정보보호 인력의 기준 및 조건을 검토하고 정보보호 인력이 갖추어야 하는 전공 지식 분야를 분류하였다. 특히 정보보호 교육기관에서의 정보보호 관련 전공 및 유사전공을 통해서 수행되는 인력양성 방안을 기초로 산업계에서 필요로 하는 정보보호 인력양성 방안을 고찰해본다.

현황 - 한국의 원자력 인력 양성

  • Hwang, In-A
    • Nuclear industry
    • /
    • v.29 no.7
    • /
    • pp.76-83
    • /
    • 2009
  • 한국원자력연구원은 2009년 올해로 창립 50주년을 맞이하였다. 지난 반세기 동안 원자력 기술 자립의 성과를 이루었으며 원자력 전문 인력 양성을 위한 훈련 또한 함께 하였다. 이 글에서는 우리나라 원자력의 태동부터 기술 자립에 이어 기술 수출까지를 살펴보고 시기별로 원자력 인력 양성을 위한 훈련 과정을 살펴보았다. 특히 한국원자력연구원 원자력교육센터(전 원자력연수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산업 인력과 R&D 인력에 대한 교육 및 IAEA 등과 협력하에 이루어지고 있는 국제 원자력 인력 양성을 구체적으로 기술하였으며 차세대 인력 양성을 위한 노력과 인력 양성을 위한 국제 협력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 PDF

ESCO협회, 서울산업대와 MOU체결

  • O, Hye-Eun
    • The Magazine for Energy Service Companies
    • /
    • s.50
    • /
    • pp.12-15
    • /
    • 2008
  • ESCO분야 전문 인력양성의 청사진을 ESCO협회(회장 유제인)가 그려내고 있다. 협회는 지난 1월 23일 서울산업대학교 인력양성센터(센터장 김래현)와 ESCO분야 인력양성과 교류를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이번 협약으로 양기관은 ESCO 기술연구와 인력교육, 상호교류를 위한 다양한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이에 앞서 협회는 지난해 한국폴리텍1대학과도 인력양성을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하는 등 ESCO분야 전문 인력양성에 적극 나서고 있다. 그 첫 사업이 진행된 서울산업대를 찾았다.

  • PDF

IT High-Level HRD Policy in the Framework of National Future Strategy (국가 미래전략 차원의 IT고급인력양성 정책방향)

  • Shin, Joon-Woo;Lee, Jin-Seok;Lee, Jung-Mann
    • Journal of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 /
    • v.12 no.1
    • /
    • pp.88-112
    • /
    • 2009
  • This study attempts to define IT high-level human resources and to investigate past IT high-level human resources development (HRD) policies in order to promote IT HRD policy efficiently. Benchmarking implications were derived from comparative studies of foreign high-level HRD policies and we suggest IT high-level HRD Policy in the framework of National Future Strateg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rich in implications for implementation of IT HRD related to national R&D road-map in the field of information technology, the supply spread maintenance and the vision change of high-level HRD to cultivate global competitiveness, IT-based Fusion Technology HRD, and R&D related HRD policies and action plans.

  • PDF

A Study on the Evaluation Method of New and Renewable Energy Human Resource Development Programs (신재생에너지 인력양성 평가 방법론 연구)

  • Lee, You-Ah;Kim, Jin-Soo;Heo, Eun-Nyeong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8.05a
    • /
    • pp.103-106
    • /
    • 2008
  • 신재생에너지기술 개발인력 확보는 국가 에너지 안보의 확보 및 지속적인 성장을 가능하게 하는 주요 요인이다. 관련 사업추진에 있어 비효율성의 제거와 인적자원 개발 정책의 효과적인 추진을 위해서 신재생에너지 인력양성 사업에 대한 체계적인 성과평가가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신재생에너지 인력양성의 평가를 위하여 적용가능한 방법론을 살펴 보았다. 기존 인력양성 방법론의 구분을 수정하여 인력 양성의 평가 방법을 성과점검, 요인통제분석, 사업의 파급효과 산출방법으로 분류하고 각 기준별 세부방법론을 제안하였다. 성과점검 방식에는 단순환산/일반질문법, 요인통제분석에는 AHP-DEA효율성 측정방법, 인적자본 축적모형방법이 포함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사업의 파급효과 산출방법에는 산업연관분석 방법, 인력양성 산업연관도 작성 방법이 있다. 제안된 모형 중AHP-DEA효율성 측정방법은 신재생 에너지 인력양성 평가에 적용될 경우 DEA 모형의 객관성이라는 특징을 최대한 이용하는 동시에, 한계로 지적될 수 있는 변별력 분제를 체계적으로 보완하기위한 방편으로 AHP를 도입함으로써 적절한 인력양성 평가 방법론으로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ESCO Column 2 - 에너지기술 인력양성 혁신 방안

  • Kim, Rae-Hyeon
    • The Magazine for Energy Service Companies
    • /
    • s.67
    • /
    • pp.20-23
    • /
    • 2010
  • 에너지 분야 전문인력 양성은 중 장기적으로는 기존의 정규교육 과정을 확장, 개선 운영하여 달성할 수가 있다. 그러나 급변하는 에너지 환경 속에서는 기존 인력을 활용한 단기적 대처가 시급한 바, 이들에 대한 재교육 프로그램 운영이 절실히 요구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신프레임의 전면적인 도입과 인력양성 프로그램의 재설계 및 사업관리 시스템의 개선이 시급한 상황이다. 에너지 산업을 발전시키는 원동력이 될 전문인력 양성 방안을 짚어본다.

  • PDF

A Case Study on Performance Evaluation of IT Human Resource Program in Regional Industry (지역특화 IT 인력양성 프로그램 성과분석 사례연구)

  • Park, Jung-Hwan;Kim, Guk-Boh
    • The Journal of Society for e-Business Studies
    • /
    • v.19 no.1
    • /
    • pp.79-93
    • /
    • 2014
  • IT industry that main domain is future growth engines and convergence industry is based on national development through convergence others industry. However, shortage of advanced IT workforce is not limited to the region and urban. But, Previous studies is comprehensive research on human resource development. Human resource development studies, performance analysis and policy studies, are lacking to achieve the characterization in the region. Accordingly, The need for institutional improvement are appearing for activated regional industry through advanced Human resource development and IT convergence. in this study, we propose in order to improve institutions through IT sector performance evaluation.

A Demand Analysis, Education and Training Strategic Plan for U-City Manpower (U-City 인력양성 수요분석 및 전략계획)

  • Jeong, Tae-Ung;Kim, Bok-Hwan;Gwak, In-Yeong;Gu, Ji-Hui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8.10a
    • /
    • pp.272-277
    • /
    • 2008
  • 본 연구의 목적은 U-City의 인력양성을 효율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정책방향을 설정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지자체의 개략적인 U-City의 사업비 규모를 설정하고, 이에 대한 소요 인력을 예측하였으며. 국내시장과 해외시장의 증가율을 고려하여 개략적인 소요인력을 산정하였다. 또한 현재 정부에서 추진 중인 U-City 인력양성 정책의 방향에 대하여 고찰함으로써 현재 국내의 U-City 사업관련 인력양성의 방향을 살펴보았다.

  • PDF

A Study on Supply and Demand of e-business and Establishment of guideline (e비즈니스 인력수급 실태조사를 통한 인력양성 방안에 관한 연구)

  • Lim, Gyoo-Gun;Kim, Jae-Hun;Park, In-Sup
    • 한국IT서비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8.05a
    • /
    • pp.103-108
    • /
    • 2008
  • 급변하는 e비즈니스 환경과 IT기술 발전으로 인해 e비즈니스 인력의 수급예측은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이는 e비즈니스 인력수급 불균형, e비즈니스 산업분야별 인력양성 정보제공의 어려움 등의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e비즈니스 인력수급 실태조사를 통해 e비즈니스 산업에서 실제로 활용 가능한 인력양성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기업체, 교육기관, 취업자 등 조사대상을 3개로 하여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결과를 바탕으로 e비즈니스 산업 분야별 인력수급 실태와 기존 e비즈니스 인력양성 프로그램의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정부의 e비즈니스 인력 관련 정책수립에 도움을 줄 수 있으며, 기업체, 교육기관에게는 인력양성을 위한 지침으로서의 활용이 기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