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인도문화

검색결과 157건 처리시간 0.034초

이색전시회-제3공화국-제6공화국 시대의 금서

  • 대한인쇄문화협회
    • 프린팅코리아
    • /
    • 통권26호
    • /
    • pp.94-98
    • /
    • 2004
  • 지난 6월 4일부터 9일가지 서울 강남구 코엑스(COEX) 태평양홀과 인도양홀에서 개최된 서울국제도서전에는 이색 특별전이 특히 눈길을 끌었다. 이 중에서 가장 많은 시선을 모은 곳은 바로 금서특별전 코너. 이곳엔 갖가지 이유로 빛을 보지 못했던 소위 금서들이 전시됐다. 시대적 배경에 따라 부침을 거듭했던 출판의 역사를 한눈에 보는 느낌이다. 지난호에 이어 우리나라 제3공화국에서부터 5공화국시대까지의 금서는 어떤 것이 있었는지 살펴본다.

  • PDF

모바일 게임의 패션 현상과 시장 매력도 분석

  • 황인도;정인희
    • 복식문화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복식문화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76-77
    • /
    • 2003
  • 국내 이동전화 가입자수가 3천 3백만 명을 넘어서고, PDA 등 다양한 이동통신 단말기가 널리 보급되면서 본격적인 모바일 컨텐츠 비즈니스가 급부상하고 있다. 이제 모바일(Mobile)은 음성통화뿐만 아니라 문자, 사진, 동영상, 게임, 복권 등 모든 영역을 포함하는 제2의 인터넷 포털 커뮤니케이션 미디어로 성장하고 있다. 또, 정보통신의 발달이나 가상공간 몰입의 심화 등 사회적인 변화와 모바일의 특성(이동성, 간편함, 휴대성, 간단한 조작법)이 맞물려 모바일 게임의 인기는 날로 높아지고 있다. (중략)

  • PDF

PR페이지: 유네스코 지정, 유일의 자연경관 3관왕 제주, 세계 7대 자연경관 도전!

  • 대한인쇄문화협회
    • 프린팅코리아
    • /
    • 제10권8호
    • /
    • pp.80-81
    • /
    • 2011
  • 아름다운 섬 제주가 스위스에 있는 뉴세븐원더스(The New7wonders) 재단이 주관하는 '세계7대 자연경관' 선정에 도전한다. '세계 7대 자연경관'은 전 세계인들의 인터넷 투표와 전화 투표를 통해 전 세계가장 아름다운 경관을 가진 7곳을 선정하는 것으로, 현재 제주가 우리나라에서는 유일하게 최종 28개 후보에 올라있다. 뉴세븐원더스는 이미 지난 2007년 '세계 신(新) 7대 불가사의"를 선정해 전 세계에 생중계함으로써 이목을 집중시킨바 있다. 당신 투표 참가인원만도 1억 명. 7대 불가사의에 선정된 페루 마추피추와 요르단 페트라는 관광객이 1년만에 60~70% 급증했다. 인쇄인도 제주가 세계 7개 자연경관에 지정될 수 있도록 투표에 참여해 보는 것은 어떨까.

  • PDF

2008서울리빙디자인페어-예술, 문화, 테크놀로지가 결합한 신 주거 트렌드

  • 하유정
    • 주택과사람들
    • /
    • 통권215호
    • /
    • pp.82-85
    • /
    • 2008
  • 감각적인 인테리어와 디자인을 느낄 수 있는 '2008서울리빙디자인페어'가 지난 3월 20일부터 24일까지 COEX 태평양 홀과 인도양 홀, 대서양 홀에서 열렸다. 인테리어의 최신 경향에서부터 세계적 디자인 거장들의 작품들까지 총망라한 서울리빙디자인페어에서는 최근의 주거 트렌드를 한눈에 살펴볼 수 있었다.

  • PDF

정가제 20년 철옹성 과연 허물어지는가

  • 최태원
    • 출판저널
    • /
    • 통권154호
    • /
    • pp.4-5
    • /
    • 1994
  • 거의 유일하게 정가제가 지켜가는 단행본시장에서 마진율 경쟁이 심화, "정가제 붕괴설"이 나돌고 있다. '나까마'로 불리는 중간상인에 의해 베스트셀러급의 책도 할인가격으로 유통되고 있다. 출판사와 서점의 마진율경쟁, 그리고 왜곡된 유통체계가 책값의 정가제를 흔들고 있는 것이다. 게다가 출판시장이 개방되면 할인을 최후수단으로 삼겠다는 서점인도 많다.

  • PDF

확대 서평-로넌 지음 "세계과학문명사 I.II"를 읽고

  • 송상용
    • 출판저널
    • /
    • 통권232호
    • /
    • pp.29-29
    • /
    • 1998
  • 이 책은 우선 고대과학을 중동.라틴 아메리카.그리스.중국.인도로 나눈 다음 고대부터 20세기까지의 과학을 개관하고 있다. 서술방식은 과학자의 전기 또는 분야 중심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많은 자료를 나열했을 뿐 해석은 별로 없고 일관된 흐름을 잡지 못했다.

  • PDF

세계의 인쇄인 - 최민식

  • 임남숙
    • 프린팅코리아
    • /
    • 제10권12호
    • /
    • pp.124-125
    • /
    • 2011
  • 다큐멘터리 사진작가 최민식은 1957년 독학으로 사진을 익혀 평생 '인간'을 소재로 한 사진을 찍어왔다. 1962년 대만국제사진전 입선을 시작으로 미국 독일 프랑스 영국등 20여 개국 사진공모전에서 220점이 입상 입선되는 등 세계적으로 반향을 일으켰다. 1968년 사진집<인간> 1집을 낸 이후, 지금껏 14집까지 펴냈다. 현재도 자갈치 시장, 용두산공원, 인도, 네팔 등에서 활발한 사진활동을 펼치고 있는 그는 늘 가난한 이들과 함께 있다

  • PDF

부르디외 문화이론으로 살펴본 인도 지역별 전통자수 (Traditional Embroidery in India based on Bourdieu's Cultural Theory)

  • 김이랑;권미정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758-769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raditional embroidery in India by region based on Bourdieu's cultural theory. As the research methods for this study, literature and case studies were conduct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dia's regions could be divided into four distinct regions based on language and religion. The main concepts of Bourdieu's cultural theory, namely the sub-dimensions of field and habitus, were the field of social system, the field of goods & economy, the field of environment/region, culture, and ethnicity. Second, Eastern India's embroidery was influenced by Hinduism and traditional art. The embroidery used various fabrics such as the Applique work, and vivid colors and patterns were mainly used in the Hindu myths, animals, and flower patterns of the embroidery. Third, embroidery in Western India was influenced by exotic cultures like Persian due to geographical conditions, and embroidery via the use of gold threads and various ornaments was developed. Symbolized flower patterns and geometric patterns were used a lot in the respective embroidery. Fourth, embroidery in southern India was influenced by the Dravidian culture and their architectural style, which saw the emergence of an embroidery that used simple colored cross-stitch. Most of the patterns in this embroidery are geometricized. Fifth, Northern Indian embroidery has historically served as the center of power, resulting in an embroidery that uses various forms and materials. In this embroidery, flower patterns are mainly used. Finally, the characteristics of the traditional embroidery of India's each region is based on Bourdieu's cultural theory, which could be summarized as ethnic religiosity, exotic splendor, structural formality, and symbolic power.

아시아의 기록관리 제도 및 체계에 대한 연구 - 인도, 싱가폴, 베트남을 중심으로 - (A Study of Record Management system and organization in Asia - India, Singapore, Vietnam -)

  • 문주영;김나름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149-176
    • /
    • 2004
  • 그동안 잘 알려지지 않았던 아시아의 기록관리 제도 및 체계에 대해서 특별히 인도, 싱가폴, 베트남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들 국가는 같은 열대지역에 속해 있으며 대부분 개발도상국이며 오랜 문화유산국이라는 공통점이 있다. 해당 국가들의 기록관리법의 주요 내용과 특징을 조사하였으며 기록관리 체계를 조직과 기구, 전문가 양성제도, 기록관리 업무체계의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끝으로 각국의 비교와 우리에게 주는 시사점을 정리했다. 같은 난제들을 갖는 나라들을 이해함으로써 상호협력의 기회를 모색해 볼 수 있을 것이며 우리 실정에 적합한 기록관리 시스템의 정착에 도움이 될 것이다.

슬라브족과 인도-아리안(Indo-Aryan)족의 동질문화: 슬라브 신화와 언어학적 유사성을 중심으로 (Cognate Cultures between Slavs and Indo-Aryans: Slavic Mythology and Their Linguistic & Cultural Affinities)

  • 김형섭
    • 러시아어문학연구논집
    • /
    • 제66호
    • /
    • pp.65-86
    • /
    • 2019
  • This paper examines the affinities and cultural cognates between Slavs and Indo-Aryans from a perspective of Slavic mythology, comparative linguistics, and comparative cultural studies, etc. Of Proto-Indo-European Language Family, Slavic group belongs to the Satem Language group like Indo-Iranian(>Indo-Aryan, Iranian, Nuristani) group. For this reason, there turned out to be many linguistic evidences and cognates that Slavic and Indo-Aryan languages can share in common. Apart from biological DNA analysis that Indo-Aryans are close to Slavs in DNA types, there should be the three factors to support that Slavs and Aryans had contacted a long time before and that moreover, they still have a variety of cognates in languages and cultures, especially, in mythology, too. First, this study takes an exemplary of mythological comparisons with Slavic and Indo-Aryan gods' names, their origins, and their symbols. Secondly, linguistic analysis to compare the two languages is the best way to prove the connections between Slavic and Aryan cultural cognates. Lastly, this research investigates many cultural cognates of living culture and cults, which still remain without being extinct both in Slavs and in Indo-Arya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