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인도고무나무

Search Result 4, Processing Time 0.02 seconds

Initial Growth Responses of Four Woody Plants for Indoor Landscaping according to Irrigation Frequency (관수주기에 따른 실내녹화용 목본식물 4종의 초기 생육반응)

  • Kwon, Kei-Jung;Park, Bong-Ju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45 no.1
    • /
    • pp.28-34
    • /
    • 2017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growth characteristics of woody plants that are widely used indoors in accordance with irrigation frequency and to find the optimum irrigation conditions for plants that help to improve the indoor environment. Four woody plants used in this study included Ardisia pusilla, Clusia rosea, Fatsia japonica, and Ficus elastica. They were planted in pots with a diameter of 10cm and cultivated in three different irrigation frequencies: two times per week, one time per week, and one time per two weeks. After 120 days, they were measured by plant height, fresh weight, dry weight, SPAD value, leaf color, leaf water potential, chlorophyll fluorescence (Fv/Fm), and photosynthetic rate. The average soil moisture content was $48.8{\pm}2.1%$ in two times per week, $25.2{\pm}4.4%$ in one time per week, and $10.3{\pm}2.4%$ in one time per two weeks. For A. pusilla, leaf water potential was higher, and Fv/Fm value was 0.731 in two times per week irrigation, showing more wetness. For A. pusilla, F. japonica and F. elastica photosynthetic rate was significantly lower in one time per two weeks irrigation, appearing to be more sensitive to drying than C. rosea. When irrigated one time per week, with the soil's volume average moisture content of 25%, all four woody plants used in this experiment proved to grow smooth. Thus, it was determined to be good for use in indoor landscaping.

Comparison of Indoor CO2 Removal Capability of Five Foliage Plants by Photosynthesis (다섯가지 관엽식물의 광합성에 의한 실내 이산화탄소 제거능력 비교)

  • Park, Sin-Ae;Kim, Min-Gi;Yoo, Mung-Hwa;Oh, Myung-Min;Son, Ki-Cheol
    • Hort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 /
    • v.28 no.5
    • /
    • pp.864-870
    • /
    • 2010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foliage plants on reducing indoor carbon dioxide ($CO_2$). Five foliage plants such as $Hedera$ $helix$ L., $Ficus$ $benjamina$ L., $Pachira$ $aquatica$, $Chamaedorea$ $elegans$, and $Ficus$ $elastica$ were selected and cultivated in two different growth medium (peatmoss and hydroball). Each plant was placed in an airtight chamber and then treated with the combinations of two different $CO_2$ concentrations (500 or 1,000 ppm) and two different light intensities (50 or $200{\mu}mol{\cdot}m^{-2}{\cdot}s^{-1}$). The change of $CO_2$ concentration (ppm) in the airtight chamber during day and night was measured and then converted into the photosynthetic rate (${\mu}mol\;CO_2{\cdot}m^{-2}{\cdot}s^{-1}$). As the results, each foliage plant reduced $CO_2$ level in the airtight chamber for one hour by photosynthesis. $Pachira$ $aquatica$ and $Ficus$ $elastica$ absorbed $CO_2$ more effectively compared to the other plants. The plants exposed to higher $CO_2$ concentration (1,000 ppm) and higher light intensity ($200{\mu}mol{\cdot}m^{-2}{\cdot}s^{-1}$) showed more effective $CO_2$ elimination rate and photosynthetic rate. The plants that have wide leaves and big leaf areas such as $Pachira$ $aquatica$, $Hedera$ $helix$ L.,and $Ficus$ $elastica$ showed higher photosynthetic rate than the other plants that have smaller leaves. Released $CO_2$ concentration by respiration of the plants during the night was very low compared to the absorbed $CO_2$ concentration by photosynthesis during the da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eatmoss and hydroball medium on reducing $CO_2$ concentration and increasing photosynthetic rate.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ed that foliage plants can effectively eliminate indoor $CO_2$. Optimum environmental control in relation to photosyntheis and usage of right indoor foliage plants having lots of leaves and showing active photosynthesis even under low light intensity like indoor light condition would be required to increase the elimination capacity of indoor $CO_2$.

Changest in Electric Potentials of Leaf Surface Induced by Environmental Stimuli (환경자극에 따른 식물의 엽표면 전위포텐셜의 변화)

  • 손기철;류명화;길미정
    •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 /
    • v.9 no.2
    • /
    • pp.94-100
    • /
    • 2000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hanges of electric potentials of leaf surface induced by environmental stimuli in plant. The values of electric potentials varied with different intervals of light on and off, and light qualities and moreover, their changes were also varied according to the time of a day. Additionally, stimuli such as candle light, wind, or 5$^{\circ}C$ cool water spray also evoked considerable changes in leaf surface electric potentials and their signal patterns varied with species of plants tested. In frequency analysis of electric potentials, the distribution values by FFT were highest in 1-10 Hz frequency zone by the majority of stimuli.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changes in leaf surface electric potentials depended upon plant species even though stimulus was the same and vice versa.

  • PDF

A comparison of rubber smallholder livelihoods in Cambodia and Laos (캄보디아와 라오스의 소규모 고무 자작농 생계에 관한 비교 연구)

  • Andriesse, Edo
    • The Southeast Asian review
    • /
    • v.24 no.2
    • /
    • pp.167-206
    • /
    • 2014
  • 메콩 경제권(GMS)의 다양한 개발 현장 속에서 고무 나무로부터 채취하는 라텍스는 캄보디아, 라오스를 포함한 인도 차이나 반도 국가들 사이에서 주요 농업 활동으로 주목 받고 있다. 그러나 캄보디아와 라오스의 대형 플랜테이션은 여러 부정적인 결과들을 낳고 있다. 토지 점유, 계약 농업을 통한 착취 등으로 인해 역설적으로 농촌의 빈곤은 증가하고 있고 해외 투자자에 대한 재정적, 기술적 의존이 심화되고 환경 파괴가 일어나고 있다. 이러한 점들로 인해 소규모 자작농들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고무 자작농은 고용을 창출하며 토지 점유를 방지한다. 본 연구는 캄보디아와 라오스의 소규모 고무 자작농들의 생계를 비교하며 고무 호황으로 어떠한 이득을 얻고 어떠한 형태로 생계를 개선할 수 있는지를 연구한다. 본 연구는 캄보디아의 Tboung Khmum 구역과 Somsanouk 마을의 사례 연구를 바탕으로 하였다. 실증적인 분석은 세 가지의 이론적 틀을 바탕으로 하였다. 미시-생계 연구, 글로벌 가치사슬 그리고 GMS에 대한 연구들이다. 실증 분석의 초점은 생계의 변화상과 결과(고용 창출과 빈곤 탈출)이다. 전체적으로 소규모 고무 자작농은 전망이 밝았으나 앞서 언급 된 문제점들로 인해 농촌 문제를 모두 해결할 수 있는 수단은 아니다. 중요한 유사성은 소규모 고무 자작농의 사회경제적 공헌이다. 연구 지역 두 곳에서 자작농들은 고무 농사는 생계를 개선하는 데에 좋은 수단이라고 답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낮은 교육 수준은 그들의 생계 전략을 불안정하게 하고 있다. 양쪽 지역에서 응답자들은 다른 주민을 따라 고무 농사를 시작했다고 대답했으며 경제, 환경적인 위험에 대해 충분히 인지하고 있지 못하였다. 이와 관련한 다른 유사점으로 소규모 자작농들을 지원할 수 있는 정부의 개입이 없었다는 것이다. 자금 조달은 고무 농사의 심각한 애로 사항 중 하나였다. 명확한 차이점으로 Tboung Khmum의 자작농들은 중개 상인에게 계약 관계를 맺지 않고 라텍스를 판매했으며 Somsanouk의 경우에는 고무 가격이 국제 시장의 영향을 받음에도 가장 높은 가격을 제시하는 상인에게 농민 전체가 같이 판매를 하였다. 이러한 현상은 GMS 내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근대적인 경제 현상 에 농촌 공동체들이 다양하게 연결 되고 있음을 재확인한다. 게다가 Somsanouk 마을에서는 사이짓기를 하는 경우가 없었다. 이는 투자자들이 생산량을 극대화하기 위해 자작농들에게 사이짓기를 장려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Tboung Khmum 마을의 경우 고무와 더불어 고무 이전의 주요 작물이던 카사바를 같이 재배했다. 요약하면, 자작농에 의한 소규모 고무농업은 (비록 농촌의 모든 어려움을 해결할 수는 없지만) 토지점유 등 부정적 현상이 나타나는 대규모 플렌테이션에 비해 유의미한 일자리를 창출하는 등 미래를 위한 보다 나은 대안이 될 수 있다. 농촌 생활의 질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7년 간의 고무 생육기간 동안 농가가 감수해야 하는 사회-경제적 불안정성을 해결하고 대안적 소득원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