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인구감소

검색결과 1,185건 처리시간 0.029초

맬서스 국면에 의한 인구와 산출량의 장기적 관계 분석 (Long Run Relationship Between Population and Yield Revisited: An Analysis of Malthusian Regime)

  • 이현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6호
    • /
    • pp.142-155
    • /
    • 2020
  • 본 연구는 1820년부터 2006년까지 세계인구와 세계 산출량인 국민소득의 수준과 표준화 추이 및 패널 분석을 바탕으로 인구와 산출량이 부(-)의 관계라는 맬서스 가설을 재조명하였다. 실증분석 결과에 의하면 세계경제에서 맬서스 국면이 1900년부터 1994년의 기간 동안 나타났으며, 개별 국가의 경제성장 단계도 맬서스 국면을 경험했던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1995년 이후 인구가 큰 폭으로 감소하고, 산출량이 급격하게 증가하면서 맬서스 국면은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현상은 급격한 기술진보를 바탕으로 오히려 산출량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했지만, 인구는 출산율 감소와 같은 사회적 현상으로 인해 큰 폭으로 감소한 것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인구가 생산활동에 기여하는 방식이 양적 증가보다 자본이 체화된 인적 자본으로 전환된 것도 또 다른 요인이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인구의 수요 창출 효과도 함께 고려한다면 인구의 경제적 역할은 지속적인 진화 과정을 거치게 될 것이다.

부산 대도시권의 인구이동( I ) : 인구구조와 인구이동 (Patterns of Migration in the Busan Metropolitan Area( I ) : Population Structure and Migration)

  • 최은영;구동회;박영실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5권5호
    • /
    • pp.572-589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부산 대도시권의 인구이동 특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부산 대도시권의 인구구조, 부산 대도시권 내부의 인구이동, 부산 대도시권과 다른 지역 사이의 인구이동을 분석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국 대비 부산 대도시권의 인구 및 가구 비율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특히 주 생산 연령층인 25~39세 인구가 크게 감소하였다. 둘째, 서울 대도시권에 비해 부산 대도시권은 상대적으로 시도내 인구이동 비율이 높고, 시도간 인구이동 비율이 낮은 것으로 보아, 기능적 연계에 의한 대도시권의 통합 정도가 낮은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부산에서 서울 대도시권으로의 전출 초과가 갈수록 증가하여 부산의 전출 초과에서 수도권의 영향력이 강화되고 있다.

  • PDF

수정 M-W모형을 이용한 축소도시(Shrinking City)의 주택수요분석 (An Analysis of Housing Demand in Shrinking Cities)

  • 임미화;이창무
    • 부동산연구
    • /
    • 제24권1호
    • /
    • pp.27-37
    • /
    • 2014
  • 그동안의 고성장 인구증가시대에서의 공급량만을 늘리는 주택정책은 출생률감소와 인구의 고령화, 그리고 가구분화로 인한 1, 2인 가구의 증가와 같은 최근의 사회현상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주택정책은 인구가 꾸준히 성장하고 있는 대도시를 중심으로 한 정책이다. 그렇다면 지금과 같이 인구증가율이 감소하고 있는 상황에서 대도시가 아닌 중 소도시의 도시 계획 방향은 무엇일까? 구체적으로 대도시와 달리 인구가 감소 또는 정체되고 있는 도시의 주택 정책은 대도시와 어떻게 달라져야 하는가?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관점에서 도시의 주택수요를 분석하되, 인구가 증가하는 성장도시(Growing City)와 인구가 감소 또는 정체되고 있는 축소도시(Shrinking City)의 주택수요를 비교함으로서 주택정책에 필요한 시사점을 찾고자 한다.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인구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경제 활력이 성장도시보다 떨어지는 축소도시의 경우 가구의 주택소비가 정점에 이르는 연령대가 60대 후반으로, 성장도시는 80대 초반으로 나타났다. 그런데, 소득, 자산과 같은 경제변수와 가구주나이 65세 이상의 고령 1, 2인 가구더미와 청년 1, 2인 가구더미를 추가한 분석에서 축소도시는 약 5년에서 10년 정도 빠른 50대에, 성장도시는 약 20년에서 25년 정도 앞당겨진 50대 후반에서 60대 초반에 최대 주택수요를 나타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65세 이상의 고령 1, 2인 가구 또는 청년 1, 2인 가구의 비율이 주택수요를 왜곡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도시의 인구 및 경제학적 특성에 따라 가구의 주택 수요가 차별화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 따라서, 경제 확장기에서 바라보았던 도시정책 그리고 주택수요정책을 이제는 개별도시의 인구 및 경제구조여건에 맞추어 재조정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고령근로자의 노동적응능력(WAI) 조사

  • 박해천;김현우;김신훈
    • 한국산업안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안전학회 2003년도 추계 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 /
    • pp.70-75
    • /
    • 2003
  • 세계 선진국들은 이미 고령화시대를 대비하는 많은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우리나라도 이젠 점점 고령화의 진전에 따라 경제적으로 많은 영향을 주고 있음을 인식하고 있다. 특히 그 중 노동공급이 축소, 즉 생산 가능인구(15∼64세)의 감소는 기업차원에서 큰 문제가 되고 있다. 2000년 전체 인구 중 생산 가능인구(15∼64세) 비중은 71.7%이고, 고령사회로 전환되는 2030년에는 64.6%로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중략)

  • PDF

표면 생체활성 복합재료의 개발과 응용

  • 조성백;김상배
    • 세라미스트
    • /
    • 제7권1호
    • /
    • pp.74-83
    • /
    • 2004
  • 통계청이 내놓은 “한국의 인구현황” 보고서에 의하면 2002년 7월 현재 65 이상의 노령 인구는3백37만 1천명으로 총인구(4천7백27만명)의 7.1%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엔은 전체 인구 중 65세 이상의 노령자의 비율이 7%를 넘게 되면 고령화 사회, 14%를 넘으면 고령사회, 20% 이상은 초고령 사회로 분류하고 있다. 통계청은 평균수명의 증가 및 출산율의 감소 등으로 인하여 우리나라의 인구 노령화가 빨라져 2022년에는 노령 인구가 전체의 14.3%를 기록하며 고령사회에, 2032년에는 20%를 넘어 초고령 사회에 진입할 것으로 전망했다.(중략)

  • PDF

생산가능인구의 변화와 고등교육정책 방향 탐색 (The Trend of Higher Education Policy on the Change of Productive Populations)

  • 이석열;한미희
    • 공학교육연구
    • /
    • 제18권1호
    • /
    • pp.31-40
    • /
    • 2015
  • 이 연구는 생산가능인구가 감소하면서 나타나게 될 사회변화와 이로 인해서 야기될 수 있는 인력 유용성 차원에서 나타날 수 있는 문제를 제시했다. 다음으로 그 동안 고등교육정책의 문제와 진단을 하고 마지막으로 생산 가능인구의 감소에 따른 고등교육정책의 방향을 제시했다. 고등교육의 정책 방향은 대학 정원 관리, 대학교육 경쟁력 제고, 산학연계 활성화를 제시했다.

인구감소 시대의 도시관리 정책에 대한 동태적 분석 (Alternative Urban Management Policies in the Depopulation Era)

  • 김광주;송미경;조병설;이만형
    • 한국시스템다이내믹스연구
    • /
    • 제11권4호
    • /
    • pp.77-96
    • /
    • 2010
  • Since the mid-1990s, Korea has recorded low population growth rate. Based on the figures provided by the Statistical Korea, Korea may be even confronted with decreasing trends in the total population at the end of 2010s. In addition, Korea may experience the hyper-aged society in the mid-2020s. In the depopulation era, we have to devise alternative urban management policies reflecting low and reversed trends in the urban population. It is almost certain that urban policy-makers have to deal with a new series of urban problems, even jeopardizing the continuity of urban territories. In order to minimize the negative impact derived from depopulated phenomena, they have to develop sound and sustainable urban policy alternatives. This research adopts system dynamics approaches, revealing key factors exerting significant impact on the existing urban management policies. In specific, it pays attention to major causal loops, reinforcing or balancing behavioral.

  • PDF

경찰공무원의 심리적 탈진이 음주 및 흡연행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sychological Burnout on Drinking and Smoking Behaviors among Police Officers)

  • 신성원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8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216-220
    • /
    • 2008
  • 우리나라의 흡연 및 음주실태를 살펴보면 흡연의 경우 1999년에 비해 2003년 흡연인구가 35.1%에서 29.2%로 감소하였고, 흡연량에서도 감소추세를 보이나, 음주의 경우는 1999년과 2003년 사이 전체 음주 인구비율에서는 각각 64.6%와 64.3%로 큰 변화가 없지만 여성의 음주인구 비율이 47.6%에서 49%로 증가하였고 음주인구 중 주 1회 이상의 자주 마시는 음주인구 비율이 28.8%에서 43.6%로 상당한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어 음주로 인한 폐해는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 연구에서는 이처럼 우리사회에서 심각한 문제가 되고 있는 음주 및 흡연행위가 경찰공무원 사이에서는 얼마나 만연하고 있는지의 정도를 파악하고, 음주 및 흡연행위의 선행 요인으로 간주되는 스트레스 요인 중 하나인 심리적 탈진의 영향을 살펴보았다.

  • PDF

프린팅월드 - 저성장시대 인쇄영업 어떻게 해야 하나

  • 다나까신이찌
    • 프린팅코리아
    • /
    • 제8권8호
    • /
    • pp.118-120
    • /
    • 2009
  • 현재 세계적 불황은 영원히 지속되지 않을 것이지만, 일본의 인쇄산업은 이후에도 저성장, 혹은 감소시대가 계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런 예측의 배경에는 일본이 인구 감소 및 인구동태의 변화라는 사회구조의 변화, 또한 관련 기술(전자미디어, 네트워크 등)의 진보와 변화에 따른 대체기능(인쇄물이 담당하던 역할일 변화하는 것을 의미함)등이 있다. 많은 인쇄인들은 이런 저성장시대를 어떻게 살아가야만 할 것인가를 염려하고 있으나 몇가지 대안이 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HIV/AIDS의 사회적 영향 -'빈곤'이 가장 큰 문제-

  • 조병희
    • 레드리본
    • /
    • 통권62호
    • /
    • pp.10-13
    • /
    • 2005
  • 에이즈는 한해에 290만 명이 사망할 정도로 심각한 양상을 보이면서 전세계적 재난이 되고 있다. HIV 성인유병률이 $20\%$가 넘는 일부 아프리카 국가들에서는 평균수명의 감소와 인구감소를 초래하고 있으며, 가구구조의 급격한 변화를 유발하고 가족해체를 초래하고 있다. 또한 노동생산성의 하락, 교육체계 및 의료체계의 와해와 같은 현상이 나타나고 있으며, 빈곤층이 증가하고 여성과 어린이에 대한 폭력과 차별이 증가하는 등 사회 체계의 유지가 심각하게 위협받는 상황에 이르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