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인공 어도

Search Result 280,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어계(漁溪) 조려(趙旅)의 은둔과 문화경관 (The Eyogye Cho Lyeo and His Secluded Cultural Landscapes)

  • 이행렬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73-90
    • /
    • 2011
  • 본 연구는 어계 조려 선생의 시작품과 그의 세거지 및 후대에 조성된 문화경관 요소들을 통하여 조선전기 은둔자로서, 선비로서 지켜 나갔던 은둔문화 경관의 특징을 파악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연구대상지로는 그의 세거지였던 원북재, 채미정, 고마암, 묘소 등을 중심으로 하였다. 연구방법으로 "어계집(漁溪集)" 등과 같은 관련 고문헌의 조사와 현장조사를 통하여 세거지에 나타난 경관요소의 파악, 그리고 조려의 은둔문화 경관 특정 분석, 시문에 나타난 의경미학의 분석 등으로 구분하여 진행하였다. 연구의 결과, 1) 조려는 단종의 폐위와 함께 성균관에서 고향으로 은둔하여 세상과 결별하면서 단종에 대한 충절을 지켰다. 2) 그의 출처관에 영향을 주었던 인물로는 성균관 동학이었던 류계분, 배중후 등과 생육신으로 교분을 나누었던 원호, 김시습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과 은둔관을 같이 했다. 3) 조려의 은둔이 갖는 의미는 호 '어계'에서처럼 어부로서의 은둔관을 표명한다. 이러한 은둔문화는 독특한 행동양식으로 나타나는데, 행동의 집중화 현상, 절대 은둔의 기행, 산천유람과 풍수지리학의 조예, 은둔의 고집스런 지속성, 실천효행의 유가적 자세 등이 있다.4) 은둔문화의 경관영역을 네 곳으로 구분하여 각각의 특징을 살펴본 바, 조려 당대의 은둔문화 경관과 후손과 사람들에 의해 전승되어진 경관전승으로 파악할 수 있다. 5) 시문에 나타난 의경미학을 분석한 결과, 경물로는 식물, 자연요소와 인공요소 등이 있었으며, 표현되어진 주제의식으로는 '유가적 은둔', '아취있는 은둔', '충절의 은둔' 등으로 나타났다.

경북 영양퇴역 흡충류 역학조사 (Epidemiological Studies of Digenetic Trematodes in Yongyang County, Kyungpook Province)

  • 정동일;김영인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9권4호
    • /
    • pp.325-338
    • /
    • 1991
  • 경북 영양지역 주민들의 흡충류 감염실태와 제2중간숙주 담수어의 흡충류 피낭유충의 기생상을 규명하기 위해 역학조사를 시행하였다. 충란검사는 반정량적 formalin-ether 집란법에 의거하였고 흡충류 충란양성자는 Stoll씨 충란계산법으로 감염정도를 추정하였다. 흡충류 피낭유충의 기생상은 슬라이드 글라스 여박법과 인공소화법으로 조사하였다. 피검자 955명중 18.5%(177명)에서 요충군이 검출되었고 그 중 흡충류 충란은 간흡충 단독감염자 7.3%(70명), 이형흡충류 단독감염자 7.7%(74명), 간흡충과 이형흡충류 이중감염자 2.5%(24명), 간흡충과 경충 이중감형자 0.1%(15명), 및 간질 위감염자 0.1%(1명)으로 17.9%(171명)에서 검출할 수 있었다. 성별 간흡충 감염은 남성 675명중 12.6%(85명), 여성 280명중 3.6%(10명)으로 남성에서 유의적으로 높았다. 이형흡광류 감염 역시 남성 675명중 12.0%(81명), 여성 380명중 6.1%(17명)으로 남성에서 유의적으로 높았다. 감염정도도 우흡충 모두 남성에서 여성보다 높았다. 연령별로는 30세 이상군에서 30세 미만군보다 심한 감염정도를 나타내었다. 10∼19세군에서는 양 흡충류의 감염자가 없었다. 감염정도와 연령사이에는 유의한 연관을 인정할 수 없었다. 반변천에서 채집된 8종의 담수어중 횡천흡충 피습유충의 기생률과 고 정도는 각각 갈겨니에서 57.5%, 12.4개로 가장 높았고 동사리에서 6.8%, 0.2개로 가장 낮았으며 피래미에서 55.4%, 1.3개로 중간을 나타내었다. 간흡충 피낭유충은 몰개에서만 기생률 23.3%, 그 기생정도 2.1개로 나타났다. 이상의 성적으로 미루어 보아 경북 영양지역은 간흡충과 이형흡충류의 만연지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미래워크숍을 활용한 진로직업상담가의 미래인식과 미래역량 및 미래적응력 변화 탐색 (An Investigation on the Future Recognition of Career Counselors and their Future Competency and Future Adaptability change by using the Future Workshop)

  • 염인숙;임금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11호
    • /
    • pp.557-567
    • /
    • 2019
  • 본 연구는 미래워크숍을 활용하여 진로직업상담가의 미래인식과 미래역량을 도출하고 미래적응력 향상에 대한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진로직업상담가 25명을 대상으로 미래워크숍을 진행하였으며, 서면 작성된 자료와 미래워크숍에서 진행된 토론 내용을 통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해 단어 빈도분석과 대응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고, 합의를 통해 주제어 도출을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미래인식 키워드는 로봇, 인공지능, 여가, 교육, 편리, 장애인 등의 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미래노동현장에서는 첨단 기술로 인한 변화를 가장 많이 전망했다. 셋째, 진로직업상담 현장에서는 제4차 산업혁명 관련 전문 진로직업상담사와 로봇상담사가 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넷째, 진로직업상담가의 미래역량으로 정보처리능력, 전문상담능력, 의사소통능력, 윤리의식이 도출되었다. 끝으로 미래워크숍 참여 이후 진로직업상담가의 미래적응력이 높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미래역량은 진로직업상담가의 직무교육에도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ervice robot and non-face-to-face

  • Hwang, Eui-Chul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6권12호
    • /
    • pp.247-254
    • /
    • 2021
  • 코로나19가 확산되면서 비대면 활동이 요구되었고, 서비스로봇의 활용 분야는 점차 증가되고 있다. 본 논문은 뉴스 빅데이터 분석시스템인 빅카인즈를 활용하여 최근 3년(2018.10~2021.9)간 '서비스로봇 AND 비대면' 키워드가 포함된 키워드 검색을 통하여 코로나19 전후에 서비스로봇의 사용 증가 추세와 비대면과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1차(2018.10~2019.9) 기간에 키워드 빈도수 0건, 2차(2019.10~2020.9) 기간에 52건, 3차(2020.10~2021.9) 기간에는 112건으로 2차 기간에 비하여 115% 증가하였다. 2~3차 기간에 관계도 키워드 트렌드 연관어 분석에서 공통으로 거론되는 키워드로는 코로나19, 인공지능, 산업통상자원부, LG전자이었으며, 코로나19의 가중치가 제일 크게 나타나 분석 키워드에 연관성이 가장 큰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코로나19의 확산으로 비대면이 요구되고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으로 서비스로봇은 그 활용 분야가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른 비대면 경제를 이끌 서비스 로봇의 상용화를 위하여 안전, 성능 분야의 표준화 및 전문성이 요구되는 인력양성이 시급한 실정이다.

왜매치, Abbottina springeri(Cypriniformes: Cyprinidae)의 난발생 및 자치어 형태발달 (Morphological Development of Eggs, Larvae and Juveniles of the Abbottina springeri (Cypriniformes: Cyprinidae))

  • 박재민;유동재;조성장;한경호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167-176
    • /
    • 2021
  • 본 연구는 왜매치의 초기생활사를 밝히기 위해 충청남도 당진시 서원천에서 성어를 채집하여 인공수정을 통해 수행하였다. 왜매치 암컷의 산란량은 1,225~2,100개(1,662±437개, n=10) 정도였다. 난의 형태는 원형으로 크기는 1.05~1.13(1.08±0.02, n=30) mm였다. 수정란은 수온 22℃에서 부화까지 72~80시간이 소요되었다. 부화 직후의 난황자어는 전장 2.10~2.23 (2.16±0.04, n =10) mm로 입과 항문은 열려 있지 않았고 난황을 가지고 있었다. 부화 후 5일째는 전장 3.29~3.45 (3.36±0.04, n=10) mm로 난황을 모두 흡수하였고 먹이를 섭취하면서 전기자어로 이행하였다. 부화 후 15일째는 전장 4.97~5.30 (5.13±0.12, n=10) mm로 척추 끝부분이 상단으로 휘어지기 시작하면서 중기자어로 이행하였다. 부화 후 25일째는 전장 8.97~9.60 (9.44±0.16, n=10) mm로 꼬리지느러미 말단 끝부분이 45°로 완전히 휘어지면서 후기자어로 이행하였다. 부화 후 35일째는 전장 12.0~13.5 (12.7±0.53, n=10) mm로 각 부위별 지느러미 기조 수(등지느러미 iii 7개, 뒷지느러미 iii 6개, 배지느러미 i 7개)가 정수로 도달하면서 치어기로 이행하였다.

A Study on the Classification of Unstructured Data through Morpheme Analysis

  • Kim, SungJin;Choi, NakJin;Lee, JunDong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6권4호
    • /
    • pp.105-112
    • /
    • 2021
  • 빅데이터 시대에 접어들며 데이터에 대한 관심이 폭발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특히, 인터넷 및 소셜미디어의 발전은 새로운 데이터들의 생성으로 연결되어 빅데이터와 인공지능 시대의 실현과 융합 기술의 새로운 장을 열 수 있게 되었으며, 과거에는 프로그램으로 다루지 못하던 데이터에 대한 분석 요구가 많이 발생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빅데이터 시대에서 많이 요구되는 비정형 데이터에 대한 분류를 위하여 분석 모델을 설계하고 이를 검증하였다. 데이터는 디비피아의 논문 요약과 주제어, 그리고 부주제 어를 크롤링하였으며, 코엔엘피의 데이터 사전을 이용해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고, 형태소 분석을 통하여 단어의 토큰화 과정을 수행하였다. 또한, 카이스트의 9 품사 분류 체계를 이용해 명사를 추출하고, TF-IDF 값을 생성하였으며, 학습 데이터와 Y 값을 결합하여 분석 데이터 셋을 생성하였다. 이와 같이 생성된 분석 데이터 셋에 랜덤 포레스트와 서포트 벡터 머신 그리고 의사결정트리, 이렇게 세 가지 분석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분류의 적정성을 측정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분류 모델 기법은 논문 분류 외에도 민원 분류 분석 및 텍스트 관련 분석 등 다양한 분야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신문 빅데이터와 키워드 분석을 이용한 홈트레이닝 트렌드 분석 (Home training trend analysis using newspaper big data and keyword analysis)

  • 지동철;김상호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6호
    • /
    • pp.233-239
    • /
    • 2021
  • 최근 코로나19(COVID-19)라는 신종 바이러스로 인해 사람들은 외출을 자제하고 집안에 있는 시간이 길어졌다. 그로 인해 활동량이 급감하고 체중이 증가하여 건강에 대한 관심이 더욱 높아졌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홈트레이닝이 대안이 될 수 있다. 이에 홈트레이닝의 트렌드를 알아보기 위해 뉴스분석시스템인 빅카인즈(BIG KINDS)에서 제공하는 뉴스를 활용하여 2019년 12월 1일부터 2020년 11월 30일까지의 기사를 수집하였다. 빈도분석, 가중도에 따른 관계도 분석, 연관어 분석을 실시하였고, 빅카인즈에서 개발한 알고리즘을 활용한 프로그램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론적으로 첫째, 홈트레이닝은 인공지능의 기술과 등장이 홈트레이닝을 주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홈트레이닝은 이동통신사의 관련한 컨텐츠와 영상서비스 위주로 이루어지고 있음을 추측할 수 있다. 셋째, 운동 종목으로는 필라테스의 선호도가 높고, 이와 관련된 운동용품의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상표출원도 영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다음연구에서는 연구방법론을 보완하고 다양한 분석을 통해 향후 시행될 여러 빅데이터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을 기대한다.

인공신경망 기계번역에서 말뭉치 간의 균형성을 고려한 성능 향상 연구 (A study on performance improvement considering the balance between corpus in Neural Machine Translation)

  • 박찬준;박기남;문현석;어수경;임희석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5호
    • /
    • pp.23-29
    • /
    • 2021
  • 최근 딥러닝 기반 자연언어처리 연구들은 다양한 출처의 대용량 데이터들을 함께 학습하여 성능을 올리고자 하는 연구들을 진행하고 있다. 그러나 다양한 출처의 데이터를 하나로 합쳐서 학습시키는 방법론은 성능 향상을 막게 될 가능성이 존재한다. 기계번역의 경우 병렬말뭉치 간의 번역투(의역, 직역), 어체(구어체, 문어체, 격식체 등), 도메인 등의 차이로 인하여 데이터 편차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말뭉치들을 하나로 합쳐서 학습을 시키게 되면 성능의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에 본 논문은 기계번역에서 병렬말뭉치 간의 균형성을 고려한 Corpus Weight Balance (CWB) 학습 방법론을 제안한다. 실험결과 말뭉치 간의 균형성을 고려한 모델이 그렇지 않은 모델보다 더 좋은 성능을 보였다. 더불어 단일 말뭉치로도 고품질의 병렬 말뭉치를 구축할 수 있는 휴먼번역 시장과의 상생이 가능한 말뭉치 구축 프로세스를 추가로 제안한다.

치리(Hemiculter leucisculus)의 난 발생 및 자치어 형태 발달 (Morphological Development of Egg and Larvae of Hemiculter leucisculus)

  • 김경무;김승용;송미영;송하윤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222-231
    • /
    • 2020
  • 본 연구는 충남 예당호에 서식하는 Hemiculter leucisculus의 초기생활사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성숙된 친어에 HCG (human chorionic gonadotropin)를 10 IU/g의 농도로 주사하여 12시간 후 성숙란을 확보하였으며, 성숙란을 습식법으로 인공 수정하였다. 수정란은 불투명한 담녹색 원형의 침성점착란으로 난경은 0.97±0.02 mm (0.9~1.0 mm, n=30)이었다. 수정란은 수온 22±1℃에서 수정 32시간 후 수정란의 50%가 부화를 완료하였으며, 부화자어의 전장은 3.0±0.2 mm (2.6~3.4 mm, n=15)로 채색은 무색투명하였다. 부화 6일 후 자어는 5.7±0.1 mm (5.4~5.8 mm, n=15)로 입과 항문이 열리고 로티퍼를 섭식하여 전기자어기로 이행하였다. 부화 17일 후 자어는 6.8±0.2 mm (6.5~7.0 mm, n=15)로 척색말단이 굴곡되어 중기자어기로 이행하였다. 부화 30일 후 8.8±0.7 mm (7.9~10.3 mm, n=15)로 등지느러미 기조가 발달하기 시작하였으며, 척색말단 굴곡이 완료되어 후기자어기로 이행하였다. 부화 50일 후 20.8±0.8 mm (18.8~24.6 mm, n=15)로 모든 지느러미의 기조가 정수에 도달하여 치어기로 이행하였다.

북한강 지류 상천천에 서식하는 대륙종개 Barbatula nuda (Pisces: Nemacheilidae)의 난발생 및 자치어 형태 발달 (Morphological Development of Eggs, Larvae and Juveniles of Siberian Stone Loach, Barbatula nuda (Pisces: Nemacheilidae) in the Sangcheoncheon Stream, a Tributary of Bukhangang River, Korea)

  • 곽영호;송미영;송하윤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25-33
    • /
    • 2022
  • 대륙종개의 난발생 및 초기생활사 연구를 위해 2020년 4월 26일 북한강 지류인 상천천에서 대륙종개를 채집하였다. 성숙한 암컷과 수컷의 복강에 HCG 10 IU/g를 주사하였고 15시간 후에 건식법으로 인공수정하였다. 대륙종개 암컷 전장 70.64~79.24 mm (n=3)의 포란수는 1,308±293개였고, 성숙란은 황회색의 침성점착란이었다. 수정란의 난경은 1.13±0.01 mm (n=10)였고 수정 후 104시간 만에 부화하였다. 난발생 시 수온 15℃ 그룹의 부화율은 평균 80.1±1.2%로 나타났고, 수온 20℃ 그룹은 61.5±6.8%로 나타나 발생 수온은 15℃에서 적합하였다 (p<0.05). 부화 직후의 자어는 전장 3.12±0.06 mm (n=10)였으며 몸은 투명하였다. 부화 후 4일에는 전장 4.89±0.09 mm (n=10)로 입과 항문이 열리면서 먹이활동을 시작하였고 난황이 모두 흡수되면서 전기자어기로 이행하였다. 부화 후 14일에는 전장 8.66±0.14 mm (n=10)로 척색말단이 위로 휘어지기 시작해 중기자어기로 이행하였고 부화 후 21일에는 전장 10.98±0.40 mm (n=10)로 척색말단이 45°로 완전히 휘어졌다. 부화 후 26일에는 전장 13.47±0.37 mm (n=10)로 모든 지느러미 기조가 정수가 되어 치어기로 이행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