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인공호흡기관련 폐렴 예방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19초

중환자의 인공호흡기 관련 폐렴 예방을 위한 클로르헥시딘의 효과 : 메타 분석 (The Effects of Oral Care with Chlorhexidine for Ill Patients to Prevent 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 : A Meta-Analysis)

  • 이하늬;박정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8호
    • /
    • pp.241-249
    • /
    • 2017
  • 본 연구는 인공호흡기 적용 환자들의 구강간호에 있어 클로르헥시딘의 적용에 대한 효과성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임상에서 실질적으로 구강간호 시행에 있어 명확한 근거를 제시 하고자 시도 되었다. 주요 검색어는 Ventilator associated pneumonia AND (Oral care OR Dental care OR Chlorhexidine*)으로 검색원으로는 국내 RISS, Koreamed, KISS와 국외 MEDLINE, Cochrane Central, CINAHL, Pub Med를 활용하여 2017년 5월까지의 문헌을 대상으로 검색하였다. 총 19편의 연구가 최종 선정되었고, Revman 5.3 프로그램으로 분석 하였으며, RoB (The Cochrane's Risk of Bias)도구를 이용해 문헌의 질을 평가하였다. 연구결과 중환자의 인공호흡기 관련 폐렴 예방에 있어 클로르헥시딘의 적용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효과가 있었음이 나타났다.

인공호흡기 관련 폐렴의 예방을 위한 근거기반 간호실무지침 개발 (Development of Evidence-Based Nursing Practice Guideline for Prevention of 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

  • 김화영;류세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0호
    • /
    • pp.630-644
    • /
    • 2021
  • 본 연구는 인공호흡기 관련 폐렴 예방을 위한 근거기반 간호실무지침을 개발하고자 수행되었다. 한국보건의료연구원의 하이브리드 방법에 따라 근거기반 간호실무지침을 개발하고 유효성을 검증한 방법론적 연구이다. 주제와 핵심 질문은 문헌 검토와 전문가 인터뷰를 통해 도출하였고, 핵심 질문과 관련된 권고안은 체계적 검색과 선정에 의한 기존 가이드라인을 분석하여 수렴하였으며, 미해결 핵심 질문과 관련된 권고안은 체계적고찰과 메타 분석을 통해 새로 개발하였다. 개발된 권고안은 RAND에 의한 유효성 검증과 간호실무지침 초안은 AGREE II에 의한 방법론적 질평가를 수행하였다. 9개 범주의 44개 권고안으로 구성된 최종 간호실무지침의 임상타당성은 중환자실 간호사 122명을 대상으로 평가하였다. 최종 개발된 인공호흡기 관련 폐렴 예방을 위한 근거기반 간호실무지침은 방법론적 타당성과 내용타당도가 검증되었고 우리 간호실무 환경에 적합하여 중환자 간호실무의 질적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중증 외상환자의 인공호흡기 관련 폐렴 영향 요인 분석 (Analysis of Influence Factors on 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 in Severe Trauma Patients)

  • 박빛나;김은주
    • 가정∙방문간호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224-231
    • /
    • 2018
  • Purpose: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 with severe trauma patients. Methods: This study conducted from May 1, 2018 to May 31, 2018 based on the medical records of the intensive care unit of a university hospital from May 1, 2017 to April 30, 2018 in Gangwon province. The inclusion criteria were 1) Trauma intensive care unit patient, 2) older than 19 years 3) without pneumonia at the time of admissio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correlation analysis, ANOVA, t-tests, $x^2$-tests and regression. Results: The severe trauma patients had a total of 2,877 days receiving ventilator, and nine VAP cases. The overall infection rate was 4.0%, and the VAP incidence rate was 3.13 per 1000 ventilator days. VAP in severe trauma patient affected ICU stay(OR=1.03), mechanical ventilator applied day(OR=1.04). Conclusion: Therefore, the development of an individualized VAP prevention bundle and nursing intervention for patients with trauma will be needed and further studies. In addition, there were no findings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VAP occurrence and the severity of multiple traumatic injuries, so further studies of these factors should be performed.

중환자실 인공호흡기 관련 폐렴 예방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평가 (The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a Program to Prevent Ventilator Associated Pneumonia in the ICU)

  • 반금옥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55-166
    • /
    • 2009
  • Purpose: This study developed and evaluated a systematic intervention among medical ICU nurses for preventing 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 (hereafter VAP). Methods: A VAP prevention program was proposed based on a literature review, revised to fit the target situation, and validated. It was composed of one-time interventions including education, pamphlets, hand cultures, and a quiz event, as well as repeated interventions such as posters, reminders, posting hand culture results, and performance feedback. A simulated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as use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VAP control program. The incidence of VAP among ICU patients was measured both during 3 months before (n=80) and during 3 months after (n=75) intervention. Results: The VAP prevention program's effectiveness, with a pre-intervention VAP rate of 17.38 and post-intervention rate of 11.04 per 1,000 ventilator days, showed a clinical tendency to decrease, but the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750). Conclusion: A VAP prevention program of multiple interventions can be useful in decreasing the VAP rate. Given that the monthly decrease in the VAP rate was not considered statistically significant, long-term research needs to be done. Additionally, since this study targeted only nurses, it is suggested that future research targets other health care workers who can influence VAP rates.

  • PDF

인공호흡기 관련 폐렴 예방 번들 적용의 효과 (The Effects of Implementation of 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 Prevention Bundles)

  • 김세정;이윤미;조정현
    • 중환자간호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4-23
    • /
    • 201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a 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 (VAP) bundle. Methods: This was a retrospective study that was carried out between June 2010 and October 2015. In this study, 3,224 intubated patients were included. The VAP bundle which was applied to Group 1 patients (n=470) included head-of-bed elevation to 30 degrees, cuff pressure monitorization, prophylaxis of peptic ulcer, and prophylaxis of deep vein thrombosis. The VAP bundle for Group 2 patients (n=1,914) included all the elements of the VAP bundle for Group 1 patients and one additional element which was oral care with 0.12% chlorhexidine. The VAP bundle for Group 3 patients (n=870) added sedative interruption and assessment of readiness to extubate to the VAP bundle for Group 2. Results: The numbers and incidences of VAP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three groups. Moreov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groups in ICU length of stay and mortality. Conclusion: Three different VAP prevention bundles made different effects in patient outcomes.

  • PDF

인공호흡기 관련 폐렴 예방 프로그램이 폐렴 발생률과 기관내 균집락화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a 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 Prevention Program on Incidence Rate and Endotracheal Colonization)

  • 송의림;김숙영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628-636
    • /
    • 2016
  •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a program designed to prevent 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 (VAP) on VAP rate and endotracheal colonization. The program focused on aspiration prevention and oral care. Method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ost-test only design was utilized. One hundred patients admitted to a medical intensive care unit (MICU) or coronary care unit (CCU) were assigned to either a experimental group (n=50) or a control group (n=50). The participants were selected 48 hours following an endotracheal intubation. VAP prevention program given to the experimental group includes keeping the head of the bed to $30^{\circ}{\sim}45^{\circ}$ high, maintaining continuous endotracheal cuff pressure at 25 cm $H_2O$, performing endotracheal suction before change position, and providing oral care with 0.1% chlorhexidine every four hours. The control group received usual care.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x^2$ test, Mantel-Haenszel $x^2$ and Cox proportional harzard regression model. Result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lower VAP rate than the control group although the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x^2=0.79$, p=.375).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lower colonization in tracheal secretion than the control group ($x^2=14.59$, p<.001). Conclusion: Results showed that a VAP prevention program is effective in reducing colonization of tracheal secretion. Therefore, VAP prevention programs are recommended as an ICU nursing intervention.

식도암 수술 후 발생한 호흡기 합병증 (Pulmonary Complications after Surgery for Esophageal Cancer)

  • 이장훈;이정철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9권2호
    • /
    • pp.134-139
    • /
    • 2006
  • 배경: 식도암 수술 후 발생하는 합병증은 매우 다양하다. 이 중 호흡기 합병증은 환자의 경과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며 사망에 이르게 할 수 있는 중요한 합병증이다. 이에 수술 후 호흡기 합병증에 관여하는 인자들을 비교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6년부터 2001년 8월까지 근치적 식도암 수술을 시행받은 환자 88명 중 수술 중 사망한 1예를 제외한 87명을 대상으로 후향적 조사를 하였다. 호흡기합병증이 발생한 군(group A, 28예)과 발생하지 않은 군(group B, 59예)으로 나누어 두 군을 비교, 분석하였다. 통계 처리는 Fisher's exact test로 검증하였다 걸과 호흡기 합병증은 28예에서 발생하여 $32.2\%$의 호흡기 합병증 발생률을 보였다. 환자의 과거력, 수술시간, 문합방법, 술 전 폐기능, 병기, 술전 항암요법의 유무 등은 두 군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호흡기 합병증이 발생한 군에서 환자의 나이가 유의하게 많았으며(p=0.001) 경부 문합의 빈도가 유의하게 높았다(p=0.023). 수술 직후 상용적인 인공호흡기 치료를 받은 예는 호흡기 합병증이 발생하지 않은 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p=0.007). 호흡기 합병증 발생군에서 흉관 거치기간, 재원기간이 유의하게 길었다(p=0.011, p=0.001). 수술 사망은 모두 5예에서 발생하여 $5.7\%$의 수술 사망률을 보였는데 모두가 호흡기 합병증에 의한 것이었고 폐렴이 4예로 가장 많았다. 폐렴이 발생한 환자들의 객담 배양검사에서 MRSA (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가 가장 많이 검출되었으며 폐렴으로 사망한 4예 모두 MRSA 폐렴에 의한 것이었다. 결론: 식도암 수술 후 발생한 호흡기 관련 합병증이 수술 사망의 주된 원인이었으며 환자의 나이가 많은 경우, 경부문합인 경우가 호흡기 합병증 발생의 위험인자였다. 수술 직후 상용적인 인공호흡기의 사용이 호흡기 합병증 예방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하며 MRSA에 의한 병원 감염의 예방이 호흡기 합병증과 수술 사망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

부착형 침상머리 각도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 및 성능 분석 (Development of Attachable HOB Monitoring System with Performance Analysis)

  • 경기영;박영상;이영삼
    •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
    • 제8권3호
    • /
    • pp.197-203
    • /
    • 2014
  • 본 논문은 적절한 침상머리 각도 상승을 유지하여, 인공호흡기 관련 폐렴을 예방하기 위한 의료 보조기구인 부착형 침상머리 각도 모니터링 시스템의 개발 및 성능 분석에 대한 것이다. 개발한 침상머리 각도 모니터링 시스템의 주 기능은 가시적인 침상머리 각도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효과적으로 환자의 체위를 유지하도록 도움을 주며, 데이터의 수집을 통하여 환자의 증세 호전 혹은 악화와 연관된 환자의 체위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확보하는 것이다. 시스템은 손쉬운 이동을 위하여 부착형으로 구현하였으며, 데이터베이스로 활용하기 위해 휴리스틱 기법이 혼용된 FIR Filter를 사용하여 노이즈를 제거한다. 성능 분석을 위하여 광학식 엔코더와 침상머리 각도 모니터링 시스템의 측정값을 비교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