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인공신경망모형

Search Result 406,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Development of Bond Strength Model for FRP Plates Using Back-Propagation Algorithm (역전파 학습 알고리즘을 이용한 콘크리트와 부착된 FRP 판의 부착강도 모델 개발)

  • Park, Do-Kyong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 /
    • v.10 no.2
    • /
    • pp.133-144
    • /
    • 2006
  • In order to catch out such Bond Strength, the preceding researchers had ever examined the Bond Strength of FRP Plate through their experimentations by setting up of various fluent. However, since the experiment for research on such Bond Strength takes much of expenditure for equipment structure and time-consuming, also difficult to carry out, it is conducting limitedly. This Study purposes to develop the most suitable Artificial Neural Network Model by application of various Neural Network Model and Algorithm to the adhering experiment data of the preceding researchers. Output Layer of Artificial Neural Network Model, and Input Layer of Bond Strength were performed the learning by selection as the variable of the thickness, width, adhered length, the modulus of elasticity, tensile strength, and the compressive strength of concrete, tensile strength, width, respectively. The developed Artificial Neural Network Model has applied Back-Propagation, and its error was learnt to be converged within the range of 0.001. Besides, the process for generalization has dissolved the problem of Over-Fitting in the way of more generalized method by introduction of Bayesian Technique. The verification on the developed Model was executed by comparison with the resulted value of Bond Strength made by the other preceding researchers which was never been utilized to the learning as yet.

A Study on the Neural Network Model for Soil Moisture Estimation (토양수분 추정을 위한 신경망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 Kim, Gwang-Seob;Park, Jung-A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408-408
    • /
    • 2011
  • 수자원관리와 수문모형에 있어 강수, 증발산, 침투, 침루 등의 물 순환과정에 대한 실질적인 이해와 분석연구의 중요도가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며, 그중에서도 토양수분은 강수의 침투, 유출 등의 지표면과 대기사이의 질량 및 에너지이동에 관여하는 중요한 요소로서 수자원 및 수문현상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를 위해 강수, 증발산, 토양수분과 같은 수문변수에 대한 다양한 관측이 실시되어야 하지만 국내에서는 지속적이고 안정적으로 지상관측을 할 수 없는 실정이며 관련 기반기술도 매우 취약하다. 따라서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위성영상자료를 이용함으로써 한반도 전체에 대한 광역적인 토양수분자료의 획득을 용이하게 한다. 본 연구의 연구유역은 수자원 연구를 위해서 지정된 용담댐 시험유역으로 하였으며, 토양수분 관측지점의 지상관측 수문자료인 각 지점별 강수량, 지면온도, 인공위성자료인 MODIS 정규식생지수 등의 가용자료를 수집하고 신경망모형을 활용한 토양수분자료 생산 모형을 개발하여, 개선된 시공간 분해능과 공간정보 대표성을 가진 광역 토양수분자료를 생산하고 적용타당성을 분석하였다. 산정된 토양수분모형의 적용가능성을 파악하고자 용담댐 유역의 각 지점별 토양수분 관측데이터와 추정데이터를 비교한 결과 추천, 부귀, 상정 지점의 경우 평균 약 0.9257의 상관계수와 약 1.2917의 평균제곱근오차를 보였고, 검증지점인 천천2의 경우 약 0.8982의 상관계수와 약 5.1361의 평균제곱근오차의 결과를 보여주었으며 토양수분 추정모형의 적용가능성이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Prediction of Stability Number for Tetrapod Armour Block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 and M5' Model Tree (인공신경망과 M5' model tree를 이용한 Tetrapod 피복블록의 안정수 예측)

  • Kim, Seung-Woo;Suh, Kyung-Duck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 /
    • v.23 no.1
    • /
    • pp.109-117
    • /
    • 2011
  • It was calculated using empirical formulas for the weight of Tetrapod, which was a representative armor unit in the rubble mound breakwater in Korea. As the formulas were evaluated from a curve-fitting with the result of hydraulic test, the uncertainty of experimental error was included. Therefore, the neural network and M5' model tree were used to minimize the uncertainty and predicted the stability number of armor block. The index of agreement between the predicted and measured stability number was calculated to assess the degree of uncertainty for each model. While the neural network with the highest index of agreement have an excellent prediction capability, a significant disadvantage exists that general designers can not easily handle the method. However, although M5' model tree has a lower prediction capability than the neural network, the model tree is easily used by the designers because it has a good prediction capability compared with the existing empirical formula and can be used to propose the formulas like an empirical formula.

Prediction of Shore Tide level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 (인공신경망을 이용한 해안 조위예측)

  • Rhee Kyoung Hoon;Moon Byoung Seok;Kim Tae Kyoung;Oh jong y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5.05b
    • /
    • pp.1068-1072
    • /
    • 2005
  • 조석이란, 해면의 완만한 주기적 승강을 말하며, 보통 그 승강은 1일 약 2회이나, 곳에 따라서는 1일 1회의 곳도 있다. 조석에 있어서는 이 밖에 수일의 주기를 갖는 약간 불규칙한 승강, 반년, 또는 1년을 주기로 하는 다소 규칙적인 승강까지 포함하여 취급한다. 그러나, 각 항만마다 갖는 특정적인 주기인 수분내지 수십분의 주기의 승강은 조석으로 취급하지 않는다. 조석은 해양의 제현상 중에서 예측가능성이 가장 큰 현장으로 이는 조석이 천체의 운행과 연관되기 때문이다. 조석이란 지구로부터 일정한 거리에서 각 고유의 속도를 가지는 적도상을 운행하는 무수의 가상천체에 기인하는 규칙적인 개개의 조석을 합성한 것이며 이 개개의 조석을 분조(Constituent)라 한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신경망 모형은 입력과 출력으로 구성되는 블랙박스 모형으로서 하나의 시스템을 병렬적으로 비선형적으로 구축할 수 있다는 장점 때문에 과거 하천유역의 강우-유출과정에서의 경우 유출현상을 해석하고 유출과정을 모형화 하기 위해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조위 예측방법인 조화분석법이 아닌 인공신경망을 이용하여 조위예측을 실시하였다. 학습이라는 최적화 과정을 통해 구조와 기능이 복잡한 자연현상을 그대로 받아들여 축적시킴으로써 이를 지식으로 현상에 대한 재현능력이 뛰어나고, 또한 신경회로망의 연상기억능력에 적용하여 수학적으로 표현이 불가능한 불확실한 조위곡선에 적용하기에 유리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과거 조위이론을 통해 이루었던 조위예측을 우리가 알기 쉬운 여러 기후인자(해면기압, 풍향, 풍속, 음력 등)에 따른 조위곡선을 예측하기 위해 신경망 모형을 이용하여 여수지역의 조위에 적용하여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May가 제안한 공식을 더 확장하여 적용할 수 있는 실험 공식으로 개선하였으며 다양한 조건에 대한 실험을 수행하여 보다 정밀한 공식으로 개선할 수 있었다.$10,924m^3/s$ 및 $10,075m^3/s$로서 실험 I의 $2,757m^3/s$에 비해 통수능이 많이 개선되었음을 알 수 있다.함을 알 수 있다. 상수관로 설계 기준에서는 관로내 수압을 $1.5\~4.0kg/cm^2$으로 나타내고 있는데 $6kg/cm^2$보다 과수압을 나타내는 경우가 $100\%$로 밸브를 개방하였을 때보다 $60\%,\;80\%$ 개방하였을 때가 더 빈번히 발생하고 있으므로 대상지역의 밸브 개폐는 $100\%$ 개방하는 것이 선계기준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밸브 개폐에 따른 수압 변화를 모의한 결과 밸브 개폐도를 적절히 유지하여 필요수량의 확보 및 누수방지대책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8R(mm)(r^2=0.84)$로 지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유거수량은 토성별로 양토를 1.0으로 기준할 때 사양토가 0.86으로 가장 작았고, 식양토 1.09, 식토 1.15로 평가되어 침투수에 비해 토성별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이는 토성이 세립질일 수록 유거수의 저항이 작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경사에 따라서는 경사도가 증가할수록 증가하였으며 $10\% 경사일 때를 기준으로 $Ro(mm)=Ro_{10}{\times}0.797{\times}e^{-0.021s(\%)}$로 나타났다.천성 승모판 폐쇄 부전등을 초래하는 심각한 선

  • PDF

Derivation of Flow Duration Curve and Sensitivity analysis using LSTM deep learning prediction technique and SWAT (LSTM 딥러닝 예측기법과 SWAT을 이용한 유량지속곡선 도출 및 민감도 분석)

  • An, Sung Wook;Choi, Jung Ryel;Kim, Byung 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354-354
    • /
    • 2022
  • 딥러닝(Deep Learning)은 일반적으로 인공신경망(Artificial Neural Network) 를 의미하는데, 이에 따른 결과는 데이터의 양, 변수, 학습모델의 학습횟수, 은닉층(Hidden Layer)의 개수 등 여러 요소로 인해 결정된다. 본 연구에서는 물리적 장기유출 모형인 SWAT의 결과를 참값으로 LSTM모형의 매개변수인 은닉층 갯수와 학습횟수등의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검보정을 수행하였으며, 최적의 목적함수를 갖는 매개변수를 도출하였다. 이를 이용하여 유량지속곡선을 도출한결과를 SWAT의 결과와 비교해본 결과 매우 높은 상관성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통해 수자원분야에서 인공신경망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 PDF

A Comparative Study On Accident Prediction Model Using Nonlinear Regression And Artificial Neural Network, Structural Equation for Rural 4-Legged Intersection (비선형 회귀분석, 인공신경망, 구조방정식을 이용한 지방부 4지 신호교차로 교통사고 예측모형 성능 비교 연구)

  • Oh, Ju Taek;Yun, Ilsoo;Hwang, Jeong Won;Han, Eum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32 no.3
    • /
    • pp.266-279
    • /
    • 2014
  • For the evaluation of roadway safety, diverse methods, including before-after studies, simple comparison using historic traffic accident data, methods based on experts' opinion or literature, have been applied. Especially, many research efforts have developed traffic accident prediction models in order to identify critical elements causing accidents and evaluate the level of safety. A traffic accident prediction model must secure predictability and transferability. By acquiring the predictability, the model can increase the accuracy in predicting the frequency of accidents qualitatively and quantitatively. By guaranteeing the transferability, the model can be used for other locations with acceptable accuracy. To this end, traffic accident prediction models using non-linear regression, artificial neural network, and structural equation were developed in this study. The predictability and transferability of three models were compared using a model development data set collected from 90 signalized intersections and a model validation data set from other 33 signalized intersections based on mean absolute deviation and mean squared prediction error.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using the model development data set, the artificial neural network showed the highest predictability. However, the non-linear regression model was found out to be most appropriate in the comparison using the model validation data set. Conclusively, the artificial neural network has a strong ability in represen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requency of traffic accidents and traffic and road design elements. However, the predictability of the artificial neural network significantly decreased when the artificial neural network was applied to a new data which was not used in the model developing.

Development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to Predict Infectious Bronchitis Virus Infection in Laying Hen Flocks (산란계의 전염성 기관지염을 예측하기 위한 인공신경망 모형의 개발)

  • Pak Son-Il;Kwon Hyuk-Moo
    • Journal of Veterinary Clinics
    • /
    • v.23 no.2
    • /
    • pp.105-110
    • /
    • 2006
  • A three-layer, feed-forward artificial neural network (ANN) with sixteen input neurons, three hidden neurons, and one output neuron was developed to identify the presence of infectious bronchitis (IB) infection as early as possible in laying hen flocks. Retrospective data from flocks that enrolled IB surveillance program between May 2003 and November 2005 were used to build the ANN. Data set of 86 flocks was divided randomly into two sets: 77 cases for training set and 9 cases for testing set. Input factors were 16 epidemiological findings including characteristics of the layer house, management practice, flock size, and the output was either presence or absence of IB. ANN was trained using training set with a back-propagation algorithm and test set was used to determine the network's capability to predict outcomes that it has never seen. Diagnostic performance of the trained network was evaluated by constructing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ROC) curve with the area under the curve (AUC), which were also used to determine the best positivity criterion for the model. Several different ANNs with different structures were created. The best-fitted trained network, IBV_D1, was able to predict IB in 73 cases out of 77 (diagnostic accuracy 94.8%) in the training set.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the trained neural network was 95.5% (42/44, 95% CI, 84.5-99.4) and 93.9% (31/33, 95% CI, 79.8-99.3), respectively. For testing set, AVC of the ROC curve for the IBV_D1 network was 0.948 (SE=0.086, 95% CI 0.592-0.961) in recognizing IB infection status accurately. At a criterion of 0.7149, the diagnostic accuracy was the highest with a 88.9% with the highest sensitivity of 100%. With this value of sensitivity and specificity together with assumed 44% of IB prevalence, IBV_D1 network showed a PPV of 80% and an NPV of 100%. Based on these findings, the authors conclude that neural network can be successfully applied to the development of a screening model for identifying IB infection in laying hen flocks.

Convergence Implementing Emotion Prediction Neural Network Based on Heart Rate Variability (HRV) (심박변이도를 이용한 인공신경망 기반 감정예측 모형에 관한 융복합 연구)

  • Park, Sung Soo;Lee, Kun Chang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9 no.5
    • /
    • pp.33-41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more accurate and robust emotion prediction neural network (EPNN) model by combining heart rate variability (HRV) and neural network. For the sake of improving the prediction performance more reliably, the proposed EPNN model is based on various types of activation functions like hyperbolic tangent, linear, and Gaussian functions, all of which are embedded in hidden nodes to improve its performance. In order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proposed EPNN model, a number of HRV metrics were calculated from 20 valid and qualified participants whose emotions were induced by using money game. To add more rigor to the experiment, the participants' valence and arousal were checked and used as output node of the EPNN. The experiment results reveal that the F-Measure for Valence and Arousal is 80% and 95%, respectively, proving that the EPNN yields very robust and well-balanced performance. The EPNN performance was compared with competing models like neural network, logistic regression, support vector machine, and random forest. The EPNN was more accurate and reliable than those of the competing model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effectively applied to many types of wearable computing devices when ubiquitous digital health environment becomes feasible and permeating into our everyday lives.

A Prediction of Marine Traffic Volume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 and Time Series Analysis (인공신경망과 시계열 분석을 이용한 해상교통량 예측)

  • Yoo, Sang-Lok;Kim, Jong-Su;Jeong, Jung-Sik;Jeong, Jae-Yo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20 no.1
    • /
    • pp.33-41
    • /
    • 2014
  • Unlike the existing regression analysis, this study anticipated future marine traffic volume using time series analysis and artificial neural network model. Especially, it tried to anticipate future marine traffic volume by applying predictive value through time series analysis on artificial neural network model as an additional input variable. This study used monthly observed values of Incheon port from 1996 to 2013. In order for the verification of the forecasting of the model, value for 2013 is anticipated from the built model with observed values from 1996 to 2012 and a proper model is decided by comparing with the actual observed values. Marine traffic volume of Incheon port showed more traffic than average for May and November by 5.9 % and 4.5 % respectably, and January and August showed less traffic than average by 8.6 % and 4.7 % in 2015. Thus, it is found that Incheon port has difference in monthly traffic volume according to the season. This study can be utilized as a basis to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traffic according to the season when investigating marine traffic field observation.

A Neural Networks Model for Flow Forecasting in Nakdong River Basin (낙동강 유역에서의 유량 예측 신경망 모형에 관한 연구)

  • Han, Kun-Yeun;Kim, Dong-Il;Choi, Hyun-Gu;Yoon, Young-Sa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1727-1731
    • /
    • 2008
  • 수자원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서는 신뢰성 있는 유량자료의 획득이 대단히 중요하다. 우리나라는 양질의 유량자료를 획득하기 위해 매년 많은 시간과 돈을 투자하고 있으나 자료의 질적인 면에서 만족할 만한 성과를 얻지 못하고 있다. 현재까지 우리나라의 유량자료는 댐의 수문자료와 수량관리 부처인 건교부에서 운영하는 수위표 지점의 수위-유량곡선에서 산출된 자료에 의존하고 있다. 그러나 수위-유량 관계식을 보정하기 위한 유량측정사업이 지속적이지 못하며, 이 관계식은 유량이 적은 저수기 및 갈수기에는 부정확하다는 한계가 있다. 또한, 국립환경과학원 낙동강물환경연구소에서 오염총량관리를 위한 낙동강수계 유량측정사업을 실시하고 있지만, 목적은 낙동강수계의 오염총량관리 단위유역 말단 47개 지점에서 유량측정을 효율적으로 실시하여 수질정책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 자료 역시 오염총량관리를 위하여 유량측정을 실시하여 수자원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한 일 유량을 알 수가 없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저수기 및 갈수기에 수질정책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서 하천을 포함한 유역의 정확한 강우-유출특성의 파악이 필요하다. 그러나 강우-유출특성 또한 유역 내 강우의 시 공간적 분포가 다르며 그 자가 비선형성이 강하고 여러 변동성을 포함하므로, 강우로부터 하천의 유출량의 정확한 해석이 불가능하다. 그러나 최근 인공지능 분야에서 신호처리, 지능제어 및 패턴인식 등의 수단으로 사용되고 있는 신경망은 학습이라는 최적화 과정을 통해 입력과 출력으로 구성되는 하나의 시스템을 비선형적으로 구축할 수 있으며 이러한 이점을 활용하여 수자원 분야에서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강우-유출자료 및 댐 방류량 자료의 비선형적인 특정을 가장 잘 반영할 수 있는 신경망모형을 적용하여 수질정책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신뢰성 있는 유량자료를 산정하는 모형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낙동강물환경연구소에서 오염총량관리를 위한 낙동강수계 유량측정 지점 상류의 댐 방류량의 일 방류량자료와 강우자료를 입력 자료로 하여 유량을 예측할 수 있는 유량예측 신경망 모형 FFBN(Flow Forecasting By Neural)을 개발하였다. 그리고 입력 자료로서 장기유출모형인 SWAT의 모의결과를 입력 자료로 추가한 FFBNS(Flow Forecasting By Neural and SWAT)을 개발하였다. 신경망 모형의 구조는 입력층과 출력층 사이에 하나의 은닉층이 존재하는 다층 신경망으로 구성하였으며, 학습단계에서는 오류 역전파 알고리듬 학습방법 중 모멘텀법을 사용하였다. 예측된 유출량을 실측치와의 비교를 위하여 낙본D지점과 낙본 E지점에 대하여 $2005{\sim}2006$년까지의 모의 결과를 낙동 수위측정지점과 구미 수위측정지점의 실측치 통하여 복잡한 비선형성을 가지는 유출 시계열 자료에 대한 효과적인 최적의 신경망모델을 개발하여 유량을 예측하고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한다. 모의 결과는 수질정책의 기초자료 제공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