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인공녹화

검색결과 91건 처리시간 0.026초

옥상녹화용 인공배합토에서 토심 및 관수주기에 따른 몇몇 자생식물의 생육특성 (Effects of Soil Depth and Irrigation Period on Some of the Native Plants in and Artificial Substrate of Roof Garden)

  • 방광자;주진희;김선혜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7권6호
    • /
    • pp.75-83
    • /
    • 2004
  • 본 연구는 경량형 옥상조경 소재로 도입가능성이 높은 자생식물을 중심으로 인공배합토에서 토심과 관수주기에 따른 식물의 생육반응을 검증함으로써 경량이면서 저관리형의 옥상조경을 실현하고 자생식물의 활용성을 높이고자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토심과 관수주기에 상관없이 생육이 양호하였던 수종은 애기기린초(Sedum middendorffianum Maxim)와 두메부추(Allium senescens L.)로 고사율 0%로 나타나 토심 5cm의 무관수의 조건에서도 생육이 가능한 저관리 경량형 옥상녹화에 적용 가능한 소재라 판단된다. 또한 두메부추는 토심 5cm에서 건물률이 높아 충실한 생장을 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엽록소 측정을 통한 관상가치에서는 토심 10cm에서 양호한 것으로 나타나 관상가치를 고려한다면 토심 10cm 이상의 옥상녹화에 도입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된다. 2. 한라구절초(Chrysanthemum zawadskii Herb. Subsp. Coreanum (Nakai) Y. Lee Stat.)와 술패랭이(Diauthus superbus L. var. longicalycinus (Maxim) Williams)는 토심 5cm에서 고사율이 높았으며 생육이 저조하였다. 관수는 토심이 5cm인 경우 반드시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토심 10cm에서는 무관수에서도 양호한 생장을 하였다. 따라서 무관수의 저관리 경량형 옥상녹화를 조성하기 위해서는 최소 10cm 이상의 토심을 조성하여 식재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된다. 3. 목본류인 백리향(Thymus quinquecostatus Celak)은 토심 5cm에서 무관수이거나 3주간의 관수주기에서 90% 이상 고사하였으며 최소 1주간격으로 관수하였을 경우 생육상태가 양호하였다. 특히 토심 10cm에서는 무관수일 경우에도 생육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토심 10cm에서 저관리 옥상녹화의 조성에 도입 가능한 수종으로 판단된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실험한 수종은 저관리 경량형 옥상녹화에 도입할 경우 최소 토심 10cm가 적정하며 5cm 이하의 토심에서는 최소 2주일에 1회 이상의 관수를 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토심 5cm에서도 애기기린초(Sedium middendorffianum)나 두메부추(Allium senescens L.)와 같은 수종을 도입하였을 경우에는 초경량 저관리의 옥상녹화 조성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자생초화류을 중심으로 토심과 관수와의 관계에 대한 기초적인 자료를 제시한데 그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이에 앞으로 다양한 토양과 수종에 대한 개발과 연구가 진행되어야 하며 특히 인공배지에서의 적정시비량과 저토심에서의 목본류에 대한 실험과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황폐산지(荒廢山地)의 속성녹화공법개발(速成綠化工法開發)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Development of Accelerating Measures of Establishment of Vegetation on Bare Slopes)

  • 우보명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24
    • /
    • 1974
  • 사면나지(斜面裸地)를 속(速)히 녹화(綠化) 보호(保護) 안정(安定)시킬 수 있는 효과적(効果的)인 속성녹화공법(速成綠化工法)을 개발(開發)하고저 녹화종자(綠化種子)의 파종(播種)과 지표피복(地表被覆)을 위주(爲主)로 하는 6개(個) 녹화공법(綠化工法)의 사방효과(砂防効果) 즉(卽) 유수유토(流水流土)의 유출방지효과(流出防止効果), 식피조성효과(植被造成効果), 그리고 시공성(施工性) 및 경관적(景觀的) 효과등(効果等)에 관(關)한 시험(試驗)을 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이 요약(要約)될수 있다. 본(本) 시험(試驗)은 1974년(年) 5월(月)부터 11월(月)까지 7개월간(個月間)에 인공성토사면(人工盛土斜面)(1:1.2) 조사토(粗砂土)에서 수행(遂行)되었으며 1시험구(試驗區)의 크기는 사면적(斜面的) $1.6m^2$(폭(幅) 1m, 사면장(斜面長) 1.6m)이었다. 1. 토사유실량(土砂流失量)에 있어서는 각(各) 처리간(處理間)에 모두 유의성(有意性)이 인정(認定)되었다. 2. 지표유법수(地表流法水)의 유출율(流出率)에 있어서는 처리(處理) III과 처리(處理)VI간(間)을 제외(除外)하고 다른 각(各) 처리간(處理間)에 유의성(有意性)이 인정(認定)되었다. 3. 유수유토방지(流水流土防止) 및 식피조성면(植被造成面)에서 처리(處理) II 및 처리(處理)IV구(區)의 시공(施工)이 다같이 효과적(効果的)인 녹화공법(綠化工法)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시공성(施工性)과 경관적(景觀的) 효과(効果)를 배려(配慮)할 때에는 처리(處理)II공법(工法)은 황폐산지사면(荒廢山地斜面)의 속성녹화공법(速成綠化工法)으로서 적절(適切)하며 처리(處理)IV공법(工法) 노변(路邊)과 같은 인공사면(人工斜面)의 속성녹화공법(速成綠化工法)으로서 보다 효과적(効果的)일 것으로 생각된다.

  • PDF

무강우 무관수시 옥상녹화 식물의 토양수분감소 패턴과 그 영향 (Soil Moisture Reduction Pattern and that Influences for Plants in the Condition of No Rainfall and No Irrigation)

  • 안근영;한승원;이은희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745-756
    • /
    • 2013
  • 본 연구는 옥상녹화 시 식물유형별 수분요구도에 대한 사항을 사전에 고려하여 저관리, 최소한의 관리로 조성되는 옥상녹화의 지속가능성을 유지하고자 하는 데에 목적을 두고 있다. 따라서 옥상녹화의 대표적인 식물로 알려진 세덤류 중 애기기린초와 내건성이 강한 일반 초화류 중 상록패랭이가 동일 조건에서 건조에 견디는 저항력과 토양종류별 토양수분감소에 대한 생육변화를 살펴보고자 실험을 수행하였다. 무관수, 무강우 조건에서 30일 경과 후 상록패랭이가 식재된 펄라이트 10cm 토양이 토양 내 수분함량이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고, 애기기린초가 식재된 인공배합토 20cm의 토양이 다른 토양에 비해 가장 많은 수분함량을 나타냈다. 또한 전반적으로 토양종류와 토심에 관계없이 애기기린초가 식재된 토양구보다 상록패랭이가 식재된 토양실험구의 수분함량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상록패랭이의 수분요구도가 애기기린초보다 더 크다는 사실을 증명하는 결과라 할 수 있다. 또한 식물의 생육상태는 펄라이트 토양중에서도 토심이 낮은 10cm, 인공배합토양에서도 20cm 실험구보다 10cm 실험구에서 더 양호한 결과가 도출되었다. 본 실험결과 무강우 무관수 조건에서 토양 종류에 따라 토양수분의 감소패턴에 큰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식물 종류에 따라서도 토양수분감소에 따른 수분스트레스 패턴의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허기술평가활용사례-삼흥산업개발(주)

  • 한국발명진흥회
    • 발명특허
    • /
    • 제30권9호통권351호
    • /
    • pp.40-44
    • /
    • 2005
  • 1960년대 후반에 들어서면서 국내 경제가 급속도로 성장, 식량의 자급화와 산림 녹화 산업이 발달하게 되었고, 화학·철강·기계공업에 대한 투자와 함께 산업이 고도화되기 시작했다. 이와 함께 자연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해 인공적으로 개조를 하는, 즉 종합적인 국토개발이 진행되었는데, 이는 인구의 증가와 더불어 생활의 영역이 확대되면서 발달된 토목 및 과학기술의 발달로 인해 가능한 것이었다. 1962년 제1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이 수립되면서 개발효과가 큰 경인특정지역과 공업단지를 위한 울산지역, 토지개간. 수자원개발을 위한 영산강지역 등을 중심으로 국토를 정비하고 주거의 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국가적인 작업이 추진되었고 자연스럽게 건설 산업이 호황을 이루게 되었다.

  • PDF

인조매트 설치동향과 화재위험성 분석

  • 민세홍;이재문;권영희;김석준;김연황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2013년도 추계학술대회 초록집
    • /
    • pp.33-34
    • /
    • 2013
  • 최근 인조녹화재료의 대표적 제품으로 인공녹지조성, 스포츠시설에 많이 사용되는 인조매트는 그 사용량이 급격히 증가하였다. 주로 건축물 실내에 바닥재로 많이 사용되고 있지만 실내용 바닥재 관련 규정은 전무하다. 본 연구에서는 인조매트를 사용하는 시설 중 화재위험성이 크다고 판단되는 실내골프연습장의 시장조사를 통하여 실제 적용된 인조매트의 화재위험성에 대해 분석하고자 한다.

  • PDF

자생 수생식물의 인공연못에의 이용성 평가 (Evaluation of Native Hydrophytes Suitable for Artificial Pond)

  • 김귀순
    • 화훼연구
    • /
    • 제16권1호
    • /
    • pp.63-70
    • /
    • 2008
  • 인공연못 녹화를 위해 국내 11개 연못에서 수집한 84종의 자생 수생식물을 $6m{\times}3m{\times}1.5m$ 크기의 인공연못에 식재하여 12개월간 생장시킨 후 관상가치가 뛰어나고, 체내 N, P함량이 많아 수질정화용으로 이용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예상되는 종을 선발하였다. 체내 N함량이 높은 종은 마름, 어리연꽃, 수련, 벗풀, 물수세미였으며, P함량은 물옥잠, 벗풀, 소귀나물에서 높았다. 생태연못 조성에 이용할 수 있는 종으로 4월에 5종, 5월 19종, 6월 23종, 7월 32종, 8월 31종, 9월 28종, 10월 26종을 각각 선발하였다. 연못의 pH는 22개월 동안 6.8~7.6수준이 유지되었으며, EC는 식물 생장기인 봄과 여름에는 비교적 낮았으나 가을로 갈수록 높았다. 인공조성 연못의 1년 경과 후 식생은 당초 78종(Potamogeton octqandrus, Salvinia natans, Potamogeton malaianus etc.)에서 38종(Scirpus tarbernaemontani, Scirpus karuizawensis, Scirpus triqueter etc)으로 감소되었으며, 종 다양성면에서 종수는 38종, 총 개체수는 1,437개, 종풍부성지수는 11.72, 최대 다양성지수는 0.97로 나타나 인공연못이 비교적 안정되게 유지되었다.

인공녹화 공간 확대를 위한 제도개선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System for Enlarging Artificial Planting Spaces)

  • 윤소원;이동근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86-96
    • /
    • 2003
  • This study aims to improve system for the enlargement of artificial planting spaces through grasp several problems about it and related system in domestic and foreign. In order to improve system for the extension of artificial planting spaces in the urban area following plans have been presented. First, it is necessary to launch various bonus, subsidies and incentives for making planting spaces in the urban area. Second, subdivision of related regulations for using diverse planting methods is needed. Third, government has to take the initiative in pushing on with planting of artificial spaces. Fourth, it is necessary to development of concrete techniques. Finally, it is desirable to plant artificial spaces which animal and plant can live, low effect to environment and material can be circulated although the value of plantation as a meaning of simple green also are admitted. Planting of artificial spaces should be introduced in a positive light for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of urban ecosystem.

인공지반이 건물 열환경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The Effect of the Artificial Ground on Building Thermal Environment)

  • 황효근;임종연;류민경;송두삼
    • 한국태양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태양에너지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170-175
    • /
    • 2009
  • Apartment housing block has been spreaded according to rapid economic development and urbanization in Korea. A parking lot is located at underground, artificial ground is inevitably created in apartment housing block. Artificial ground creates different thermal environment compared to natural ground, because the composition and coverage of artificial ground are diverse. In this study, the effect of the artificial ground on building thermal environment will be disscussed by simulation. Considering the result of simulation, surface albedo is more important for building energy performance. A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he characteristic of surface effect to thermal environment, and to develop design method for sustainable outdoor space.

  • PDF

인공지반녹화용 방근 설계 및 품질 향상을 위한 가이드라인 및 기준 고찰 (Literature Review of Construction Guide and Design Standard for Root Barrier Design of Green Roof System)

  • 서정일;김영삼;신홍철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9년도 추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239-240
    • /
    • 2019
  • The existing evaluation of root barrier resistance takes at least two years as an evaluation based on plant growth, and it is difficult to determine early performance in the process of quality control in the field. In this study, thus, the direction of the root barrier resistance evaluation system was presented by considering the construction specifications and design standards for root barrier design. As a result, it was necessary to establish a test method for reproducing simple and consistent test results for evaluating the durability of root barrier materials.

  • PDF

폐목질 자원을 이용한 옥상녹화용 식생기반재의 물리 및 화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Vegetation Foundation for Rooftop Greening Using Wood Waste)

  • 김대영;김미미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6권1호
    • /
    • pp.79-87
    • /
    • 2008
  • 경제가 성장함에 따라 도시 곳곳에 인공구조물이 건설되면서 녹지공간이 줄어들고 있다. 녹지공간의 축소는 도시의 열섬현상, 지구온난화 등을 가중시키고 삶의 질을 저하시키는 등의 문제를 가져왔다. 최근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건물의 옥상과 같이 버려진 공간을 이용한 옥상녹화에 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옥상녹화 시 가장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는 것은 건물에 미치는 토양의 하중으로 건물에 부하되는 하중을 줄이기 위해 경량성 녹화소재가 필요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경량성 소재인 폐목재칩과 폐지 슬러리를 이용하여 녹화용 식생기반재를 제작하였다. 폐목재칩과 폐지 슬러리의 사용은 자원을 재활용한다는 의미에서도 의의를 가진다. 폐목재칩과 폐지 슬러리를 60 : 40으로 혼합하고 습윤지력증강제의 처리를 달리하였고, 보수력을 위해 표면사이즈제를 처리하여 각 처리 조건에 따라 물리적 특성과 화학적 특성을 평가하였다. 실험결과 15%의 습윤지력증강제를 첨가한 식생기반재가 습윤 시 최대의 강도를 보였고, 표면사이즈제를 도포하지 않은 식생기반재에서는 도포한 것에 비해 높은 수분증발량을 보여 표면사이즈제가 보수력을 높이는데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흡수 시 두께변화는 1 mm 이하로 그 변화가 적어 치수안정성이 우수한 소재임을 알 수 있었다. 식생기반재의 pH는 7.6~8.25로 중성에서 약 알카리성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