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인간-로봇관계

Search Result 45,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Human-Robot Social Interaction: Applying Attachment Theory (기술진화로 인한 인간과 기계의 사회적 관계 연구)

  • Song, Geunhye;Lee, Seungmin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Conference
    • /
    • 2017.11a
    • /
    • pp.425-438
    • /
    • 2017
  • 기술혁신으로 인간과 로봇의 문자 음성형 대화가 가능한 사회가 도래하고 있다. 인간이 로봇에 정서적 반응을 나타낸다는 선행연구 결과는 로봇이 도구적 장치에서 벗어나 친밀감을 맺을 수 있는 대상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이러한 흐름을 반영하여 본 연구는 심리학에서 연구되어온 애착이론이 인간과 로봇의 관계에도 적용되는지를 분석하였다. 먼저 인간이 기계를 의인화한다는 기존의 인간-로봇 상호작용 연구를 검토하고, 인간이 타인과 관계를 맺는 방식에 대한 애착이론을 고찰하였다. 또한 인간이 기계와 정서적 관계를 맺을 수 있으나 타인과는 다른 방식으로 형성함을 선행연구를 통해 살펴보았다. 그런 다음, 애착이론을 토대로 인간과 로봇의 가능한 사회적 관계양상을 그려보았다. 마지막으로 로봇과의 소통이 일상적으로 이루어질 가까운 미래사회에 인간과 로봇의 건전한 관계형성을 위한 후속연구 주제들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최신 기술흐름을 반영하여 대화가 가능한 로봇을 대상으로 연구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인간이 타인과 관계를 맺는 방식을 바탕으로 인간이 로봇의 관계양상을 심층적으로 모색해 보았다는 점에서 함의를 지닌다.

  • PDF

인간보조 및 재활 제어시스템 기술동향

  • Heo, Geun-Seop;Lee, Chun-Yeong
    • ICROS
    • /
    • v.21 no.2
    • /
    • pp.39-46
    • /
    • 2015
  • 근래에 들어서 노인인구과 장애인구의 지속적인 증가로 인해 재활용 로봇 산업이 지속적인 관심을 받고 있다. 특히 재활 로봇은 환자의 삶의 질 향상과 밀접한 관계가 있고, 인간의 기능을 보조하는 시스템기술로 로봇공학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분야이므로 더욱 주목받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 활발히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다양한 재활 로봇의 기술 분류와 공개된 시스템의 개발현황을 소개하며 시스템들의 특징을 간략하게 소개하였다. 재활 로봇은 치료 목적 운동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개발될 수 있으며, 실제 상용화된 제품들이 있지만 임상적 효능과 실제 사용성 평가와 관련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실사용자 및 의료계와의 지속적인 협력으로 지속적인 기술 개발의 필요성이 요구될 것으로 전망된다.

  • PDF

Position Improvement of a Mobile Robot by Real Time Tracking of Multiple Moving Objects (실시간 다중이동물체 추적을 통한 이동로봇의 위치개선)

  • Jin, Tae-Seok;Lee, Min-Jung;Tak, Han-Ho;Lee, In-Yong;Lee, Jun-Ta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Conference
    • /
    • 2007.11a
    • /
    • pp.415-418
    • /
    • 2007
  • 가까운 미래에 인간생활에 활용될 지능형 로봇은 인간과 공존하면서도 효과적으로 인간을 도와줄 수 있는 인간친화형 로봇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것을 실현하기 위해서 로봇은 미지의 환경 내에서 자신의 위치 및 방향을 인식해야 할 필요가 있다. 더욱이, 이것은 일상생활에서 자연스럽게 이뤄지는 것이 당연하다. 로봇을 제어하는 가장 중요한 문제중의 하나로서 이동로봇의 주행에서의 위치불확실성을 해결함으로서 로봇의 위치를 추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실내외 공간에서 인간을 포한함 이동물체의 영상정보를 이용하여 이동로봇의 자기위치를 인식하기 위한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제시한 방법은 로봇자체의 DR센서 정보와 카메라에서 얻은 영상정보로부터 로봇의 위치추정방법을 결합 한 것이다. 그리고 이동물체의 이전 위치정보와 관측 카메라의 모델을 사용하여 이동물체에 대한 영상프레임 좌표와 추정된 로봇위치 간의 관계를 표현할 수 있는 식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이동하는 인간과 로봇의 위치와 방향을 추정하기 위한 제어방법을 제시하고 이동로봇의 위치를 추정하기위해서 칼만필터 방법을 적용하였다. 그리고 시뮬레이션 및 실험을 통하여 제시한 방법을 검증하였다.

  • PDF

"Live within your role!": The impact of communication style of social robot on companionship ("Live within your role!": 소셜 로봇의 커뮤니케이션 스타일이 사용자와의 동반자 관계에 미치는 영향)

  • Lee, Wonouk;Jeon, Seongjun;Kim, Jinwoo
    • Journal of the HCI Society of Korea
    • /
    • v.13 no.1
    • /
    • pp.5-10
    • /
    • 2018
  • This paper provokes considerations on companionship. As human-robot relation becomes important, the role and communication styles of robot become crucial. In order to see how we should design communication styles of social robots, we generated scenarios based on pre-studies. Then, we conducted a $2{\times}2$ experiment to compare four different conditions by expected role and communication style. We divided expected roles into playing and serving role by dominance level. Also, we matched communication style on one condition and mismatched on the other. The results imply matching role with communication style is crucial in some role, however not in every role. As HCI expands to human-computer relation, our study would inspire future research on companionship between human and robots.

  • PDF

Operation Analysis of ARM for Design Smooth ARM Motion Algorithm (Smooth ARM Motion 알고리즘 설계를 위한 소형 로봇 ARM의 동작 특성 분석)

  • WENHAI, JIN;Chang, Yun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5.10a
    • /
    • pp.69-72
    • /
    • 2015
  • 로봇의 ARM에 대한 연구는 로봇공학의 매우 중요한 부분이고 이에 대하여 오랜 기간 동안 많은 연구 개발들이 꾸준히 진행되고 있으며, 인간과 로봇의 동작에 있어서 움직임의 차이를 줄이기 위하여 다양한 연구 방법론들이 제시되고 있다. 특히 인간의 동작에 근접하는 로봇의 동작을 구현하기 위해서 로봇의 중요한 구성 요소 중의 하나인 ARM을 더욱더 중점으로 연구를 진행하고 있고, ARM을 로봇뿐만 아니라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인간의 팔 동작에 근접하는 로봇 ARM 동작을 구현하는 Smooth ARM Motion 알고리즘을 설계하기 위하여 로봇의 기존 ARM 동작을 파악하고 그 특성을 분석하였다. Smooth ARM Motion은 중대형 로봇 설계에서 이미 적용되어 있지만 소형의 모터 서보를 사용하는 로봇에서는 적용되기 어려운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소형 모터 서보 시스템에서 Smooth ARM Motion을 구현하기 위하여 효과적으로 ARM을 제어하는 방법론을 도출하는 데에 필요한 제어 변수들을 제시하고, Arduino 환경에서 Smooth ARM Motion설계하기 위한 ARM에 대한 제어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들을 실험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Teleoperation of a Robot Manipulator using Bioimpedance (생체 임피던스를 이용한 로봇의 원격제어)

  • 김근영;김경환;김덕원;김수찬
    • Proceedings of the IEEK Conference
    • /
    • 2001.06e
    • /
    • pp.13-16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인간의 생체 임피던스를 이용하여 인간의 팔 운동을 추정하고자 한다. 생체 신호를 이용하여 인간의 운동을 추정하기 위해서는 먼저 생체 신호와 인간의 운동 사이의 정량적인 관계를 구해야 하며 특히, 다자유도 운동의 추정에는 생체 신호간의 간섭등을 고려하여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먼저 일자유도 운동실험을 통해 생체 임피던스와 인간 팔 관절의 회전각 사이의 선형성을 고찰한다. 그리고, 다자유도 측정시에 발생하는 근육간의 결합성과 방향성의 문제에 대해 주파수 분할 측정법을 도입하여 팔의 다자유도 운동을 추정하였다. 마지막으로, 실제의 로봇을 제어하는데 응용하였다.

  • PDF

An Exploratory study on Student-Intelligent Robot Teacher relationship recognized by Middle School Students (중학생이 인식하는 학습자-지능형로봇 교사의 관계 형성 요인)

  • Lee, Sang-Soog;Kim, Jinhee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8 no.4
    • /
    • pp.37-44
    • /
    • 2020
  •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lligent Robot Reacher(IRT)-student by examining the factors of their relationship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In doing so, we developed questionnaires based on the existing teacher-student relationship scale and conducted an online survey of 283 first graders in middle school. The collected date were analyzed using exploratory factor analyses with SPSS 23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ith Amos 21. The study findings identified four factors of IRT-student relationship namely "trust", "competence", "emotional exchange", and "tolerance". It is expected that the study can be used to discuss ways to enhance educationally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students-IRT and teaching methods using intelligent robots(IRs). Also, the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understanding and development of various services using IRs. Based on the study finidngs, future studies should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various education stockholders (teachers, parets, etc) on IRT to elevate the Human-Robot Interaction in the education field.

The Ethics of Robots and Humans in the Post-Human Age (포스트휴먼 시대의 로봇과 인간의 윤리)

  • You, Eun-Soon;Cho, Mi-Ra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8 no.3
    • /
    • pp.592-600
    • /
    • 2018
  • As the field of robots is evolving to intelligent robots that can replace even humans' mental or emotional labor, 'robot ethics' needed in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robots is becoming a crucial issue these day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the ethics of robots and humans that is essential in this post-human age. It will deal with the followings as the main contents. First, with the cases of developing ethics software intended to make robots practice ethics, the authors begin this research being conscious about the matter of whether robots can really judge what is right or wrong only with the ethics codes entered forcibly. Second, regarding robot ethics, we should consider unethicality that might arise from learning data internalizing human biasness and also reflect ethical differences between countries or between cultures, that is, ethical relativism. Third, robot ethics should not be just about ethics codes intended for robots but reflect the new concept of 'human ethics' that allows humans and robots to coevolve.

The effect of trust repair behavior on human-robot interaction (로봇의 신뢰회복 행동이 인간-로봇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 Hoyoung, Maeng;Whani, Kim;Jaeun, Park;Sowon, Hahn
    • Korean Journal of Cognitive Science
    • /
    • v.33 no.4
    • /
    • pp.205-228
    • /
    • 2022
  • This study aimed to confirm the effect of social and relational behavior types of robots on human cognition in human-robot interaction. In the experiment, the participants evaluated trust in robots by watching a video on the robot Nao interacting with a human, in which the robot made an error and then made an effort to restore trust. The trust recovery behavior was set as three conditions: an internal attribution in which the robot acknowledges and apologizes for an error, a condition in which the robot apologizes for an error but attributes it externally, and a non-action condition in which the robot denies the error itself and does not take any action for the error. As the result, in all three cases, the error was perceived as less serious when the robot apologized than when it did not, and the ability of the robot was also highly evaluated. These results provide evidence that human attitudes towards robots can respond sensitively depending on the robot's behavior and how they overcome errors, suggesting that human perception towards robots can change. In particular, the fact that robots are more trustworthy when they acknowledge and apologize for their own errors shows that robots can promote positive human-robot interactions through human-like social and polite behavior.

Uncanny Valley: Relationships Between Anthropomorphic Attribution to Robots, Mind Perception, and Moral Care (불쾌한 골짜기: 로봇 속성의 의인화, 마음지각 및 도덕적 처우의 관계)

  • Shin, Hong Im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24 no.4
    • /
    • pp.3-16
    • /
    • 2021
  • The attribution of human traits, emotions, and intentions to nonhuman entities such as robots is known as anthropomorphism. Two studies were conducted to check whether human-robot interaction is affected by anthropomorphic framing of robots. In Study 1, participants were presented with pictures of robots that varied in human similarity in appearance. According to the results, uncanny feelings toward a robot increased with the higher levels of human similarity. Furthermore, as the level of mind attribution increased, participants tended to attribute more humanlike abilities to nonhuman agents. In Study 2, a robot was described as either a machine-like robot or a humanlike robot in a priming story; then, it was examined whether significant differences exist in mind attribution and moral care. The participants tended to perceive robots as more humanlike in the mind attribution when anthropomorphism was used in a robot's behavior, according to the findings. Furthermore, in the condition of increased anthropomorphism, a higher level of moral care could be observed compared with that in the other condition. This means that humanlike appearances may increase uncanny feelings, whereas anthropomorphic attribution may facilitate social interactions between humans and robots. Limitations as well as the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