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이화학적 성질

검색결과 328건 처리시간 0.027초

생물고분자 생산 알칼리 내성 균주의 분리 및 특성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Biopolymer Producing Alkali-Tolerant Bacterial Strain)

  • 이신영;이범수;신원철;권익부;유주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61-166
    • /
    • 1991
  • 미생물을 이용한 유용물질 생산연구의 일환으로 토양으로부터 생물고분자 생산균주를 분리하고, 이 분리균에 대한 균학적 성질 및 생성 생물고분자의 이화학적 성상을 검토하였다. 분리균주는 Bacillus속의 한 균종으로 동정 하였으며, 알칼리 내성균주의 특징을 나타내었다. 이 균주로부터 생성된 생물고분자는 성분분석, 정색반응 및 I.R. spectrum 분석결과 단백질 함량이 높고, 일부 amino sugar가 존재하나 uronic acid는 함유하지 않았다. 그러나 cetyl pyridinium chloride에는 침전되어 산성의 생물고분자인 것으로 추정되었다.

  • PDF

Peptide계 생분해성 고분자 생산균주의 분리 및 생성 고분자의 특성 (Isolation of the Biodegradable Peptide Polymer-Producing Bacterial Strain and Characterization of the Polymer Produced by This Strain)

  • 이신영;강태수김갑수유주현
    • KSBB Journal
    • /
    • 제8권3호
    • /
    • pp.209-216
    • /
    • 1993
  • 미생물을 이용한 생분해성 고분자 생산연구의 일환으로 토양으로부터 고점성의 생물고분자 생산균주를 분리하고, 이 분리균에 대한 분류학적 성질 및 생성 생물고분자의 이화학적 성상을 검토, 규명하였다. 분리균주는 Alcaligenes속의 한 균종으로 동정하였으며, 호알카리성 균주의 특성을 나타내었다. CPC(cetylpridinium chloride)침전 및 acetone처리하여 정제한 산성 고분자 물질은 carboxyl기를 갖고 자외 흡수가 강한 glutamic acid만을 구성성분으로 하였고, glutamic acid는 $\gamma$-peptide 결합의 $\gamma$-polyglutamic acid로 존재하였다. 중화당량은 약 350으로 $\gamma$-PGA 2.7잔가당 1개의 음이온이 존재하였으며, 분자량은 약 $6.5{\times}10^5$Daltons이었다.

  • PDF

찹쌀 전분의 분자 구조적 성질 (Molecular Structural Properties of Waxy Rice Starch)

  • 김관;최경철;강길진;이용현;김성곤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568-573
    • /
    • 1992
  • 일반계(신선찰벼)와 통일계(한강찰벼) 찹쌀전분의 분자구조적 성질을 조사한 결과 이화학적 성질과 열수가용성 전분의 함량은 큰 차이가 없었다. 전분의 사슬길이와 바깥사슬길이는 한강찰벼가, 안쪽사슬길이는 신선 찰벼가 길었으나, ${\beta}-amylase$ 분해한도는 비슷하였다. 찹쌀전분을 ${\beta}-amylase$로 처리하고 겔크로마토그래피한 결과는 서로 비슷하였으나 pullulanase를 처리하였을 때는 용출패턴에 차이를 보였다. 산처리 2일째의 시료의 ${\beta}-amylase$ 분해한도는 한강찰벼가 $2{\sim}3%$ 높았으나 두 시료 모두 산가수분해시간에 따라 직선적으로 증가하였다. 산처리 시료를 ${\beta}-amylase$ 또는 pullulanase로 처리했을 때 겔크로마토그래피의 용출패턴은 생전분과는 크게 달랐다.

  • PDF

수침이 찹쌀의 이화학적 성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teeping o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Waxy Rice)

  • 김관;이용현;강길진;김성곤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535-540
    • /
    • 1993
  • 찹쌀을 $20^{\circ}C$ 에서 30시간 수침하고 찹쌀가루의 성질과 전분의 분자구조적 성질을 조사하였다. 수침액의 pH는 수침시간의 증가에 따라 낮아졌고, 고형분의 손실량은 증가하였다. 찹쌀가루의 명도는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나 적색도와 황색도는 감소하였다. 찹쌀의 단백질, 지방질과 회분 함량도 수침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감소하였다. 찹쌀가루의 물결합능력은 증가하다가 감소하였고, $80^{\circ}C$에서의 팽윤력과 용해도는 수침 24시간까지 증가하였다. 아밀로그래프에 의한 찹쌀가루(10%)의 최고점도는 수침시간에 따라 직선적으로 증가하였고, 점도붕괴도는 수침시간의 증가에 따라 같이 증가하였으나 setback은 변화가 없었다. $98^{\circ}C$에서의 가용성물질의 양은 수침시간이 갈수록 낮아졌다. 전분의 X-선회절도, 고유점도, ${\beta}$-아밀라아제 분해한도, 겔크로마토그래피와 산처리 분해속도는 수침시간에 영향을 받지 않았다.

  • PDF

구기엽을 이용한 차류의 개발 (Development of Teas from Leaves of Korean Box thorn (Lycium chinense Miller) Leaves)

  • 김성렬;이경행;김승겸
    • 농업과학연구
    • /
    • 제24권1호
    • /
    • pp.29-40
    • /
    • 1997
  • 본 연구는 구기자 나무 재배중에 속아서 폐기하고있는 대량의 구기자 나무순에서 딴 구기엽을 이용하여 6가지 방법으로 차류를 제조하여 각종 방법으로 열탕 추출한 용액의 가용성 고형물 함량을 비롯한 몇가지 이화학적 성질과 기호성을 검토하였고 기호성이 가장 우수한 덖음차 중에 함유되어 있는 주요 맛성분을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원료로 사용한 구기엽의 일반화학 성분은 수분 87.71%, 조지방 0.69%, 조단백질 4.77%, 조섬유 2.13%, 탄수화물 3.11% 및 회분 1.59%를 나타내었다. 시험제조한 6종의 차류를 열탕으로 추출하여 몇 가지 이화학적 성질을 측정 비교하였을 때 차의 종류와 추출방법에 따라 약간의 차이를 나타냈으나 관능검사에 의하여 기호성을 검토한 결과, 덖음차가 특출하였으며 통계처리 결과 시판 설록차와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다. 기호성이 가장 우수한 덖음차를 열탕으로 추출하여 주요 맛성분 함량을 측정한 결과, 18종의 유리아미노산이 동정되었고 그들 중 proline(170.15mg%)과 glutamic acid(112.34mg%)의 함량이 특히 많았고 유리당으로서는 glucose(1.07%), maltose(0.87%), sucrose(0.63%) 및 fructose(0.55%)의 순으로 함유되어 있었고 유기산으로서는 citric acid(337.43mg%)가 대부분이었고 malonic acid(54.17mg%), oxalic acid(48.66mg%), malic acid(27.41mg%), succinic acid(4.48mg%), fumaric acid(1.08mg%), lactic acid(FT)의 순으로 함유되어 있었다.

  • PDF

한국산 밀의 품종별 제면 특성과 밀가루의 이화학적 성질과의 관계 (Quality of Korean Wheat Noodles and Its Relations to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Flour)

  • 장은희;손혜숙;고봉경;임승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38-146
    • /
    • 1999
  • 한국산 밀 우리, 은파, 올그루, 그루, 탑동 5 품종과 호주산 연질 밀(ASW), 미국산 연질 밀(WW)과 경질 밀(DNS)로 국수를 제조한 후 조리특성, 기계적 및 관능적 조직감 특성을 비교 검토하였으며 밀가루의 이화학적 성질과의 연관성을 살펴보았다. 국수의 조리 손실율은 밀가루의 단백질 함량이 높을수록 낮고, 수분흡수율은 손상전분의 함량이 높을수록 컸다. 측정 방법을 달리한 기계적 특성에서는 견고성, 씹음성, 인장력 등이 경질 밀인 탑동밀과 DNS가 연질 밀보다는 높은 값을 보이고, 외국산 연질 밀인 ASW, WW가 한국산 밀들보다 낮은 값을 나타냈다. 관능적 특성과 기계적 특성과의 상관관계를 맺어본 결과 multi-blade compression shear test가 10% 압착시험이나 반복 압착시험 및 인장력 시험보다도 더 나은 관계를 보였으며, 표면굳기는 multi-blade compression shear test의 면적과 가장 나은 상관관계를 보였고(r=0.76) 내부굳기와 씹음성은 기울기와 잘 연관되었다. 국수의 관능적 특성과 밀가루의 물리화학적 특성과의 상관관계에서는 단백질의 함량이 국수의 조직감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 아밀로즈의 함량은 국수의 유연성 및 미끄럼성과 양의 관계를, 표면굳기, 내부굳기, 씹음성과는 음의 관계를 보였다. 삶은 국수의 색도는 외국산 밀(WW, ASW)에 비해 한국산 밀의 국수가 더욱 더 어두운 색을 띄었다. 기호도 검사 결과, 한국산 연질밀인 그루밀이 수입밀인 WW 및 ASW보다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계면활성제 첨가 고구마 전분의 호화와 노화특성 (Gelatinization and Retrogradation Properties of Surfactant Added Sweet Potato Starches)

  • 이신경;신말식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7권6호
    • /
    • pp.463-471
    • /
    • 1994
  • 고구마 생전분에 0.5% 농도의 계면활성제, SSL(sodium stearoyl-2-lactylate), Dimodan(mono/diglyceride), SE 1670(sucrose fatty acid ester 1670)을 첨가하여 이들 전분의 이화학적 성질과 호화 및 노화특성을 측정하였다. 고구마 전분 입자의 모양과 결정형은 계면활성제 첨가 후에도 변화되지 않았다. 계면활성제 첨가에 의해 총지방 함량이 증가하였으며 아밀로오스 함량은 감소하였고 그 정도는 SE1670>SSL>Dimodan순이었다. $80^{\circ}C$에서의 팽윤력과 용해도는 무처리 전분에 비해 계면활성제 첨가 전분은 감소하였다. 아밀로그래프에 의한 호화개시온도는 무처리 전분이 $72.5^{\circ}C$였고 계면활성제 첨가시 변화는 없었으며 Dimodan과 SE1670 첨가 전분의 경우 최고 점도가 나타났다. 시차주사열량기에 의한 호화 양상은 무처리 전분의 피크 온도와 엔탈피는 각각 $73.7^{\circ}C$, 1.3 cal/g이며, 계면활성제 첨가 전분의 호화 피크 온도는 증가하였으나 엔탈피는 감소하였다. 알칼리 호화 양상은 초기에 급격한 점도의 증가를 보이다 완만해졌으며 계면활성제 첨가 전분의 점도는 무처리 전분에 비해 감소하였으며 계면활성제 종류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alpha}$-아밀라아제-요오드법에 의한 노화도는 무처리 전분에 비해 SSL과 SE1670 첨가한 전분의 노화도는 감소하였다. 시차주사열량기에 의한 노화도는 계면활성제 첨가 전분은 무처리 전분에 비해 모두 감소하였다.

  • PDF

해동방법에 따른 해동돈육의 품질변화 (Quality Changes of Thawed Porcine Meat on the Thawing Methods)

  • 김영호;양승용;이무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23-128
    • /
    • 1990
  • 여러 가지 해동방법 중에서 비교적 급속해동을 할 수 있는 열풍해동방법과 microwave 해동방법으로 냉동 돈육을 해동하여 해동육의 이화학적 성질을 조사하였으며, $4^{\circ}C$ 냉장해동육의 이화학적 성질을 비교하여 최적 해동방법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열풍온도를 높이고 해동육 표면온도를 낮출수록 열풍해동속도는 빨랐으며, microwave 해동시에는 출력이 크고 해동육심부온도가 낮을수록 해동속도가 빨랐다. 이 때 microwave 해동방법은 열풍해동방법보다 유의적으로 빠른 해동속도를 보였다. $4^{\circ}C$ 냉장해동육의 TBA가와 microwave 해동육의 TBA가는 유사하였으나 열풍해동육인 경우에는 열풍온도가 높아질수록 TBA가는 유의적으로 높았다. Microwave해동육의 가용성단백질추출성은 $4^{\circ}C$ 냉장해동육과 유사하였지만 열풍해동육보다는 높았다. 해동육의 보수성과 조리손실과의 관계는 고도의 상관성을 나타냈으며, microwave 해동육이 열풍 해동육보다 보수성이 좋았고 조리손실은 줄었다. 육표면에 존재하는 세균수는 $4^{\circ}C$ 냉장해동육에서보다 열풍 해동육과 microwave 해동육에서 적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냉동육을 해동할 때, 육량감소를 줄이고 해동육의 기능성을 좋게 유지할 수 있는 해동조건으로서는 열풍해동에서는 $50^{\circ}C$ 열풍으로 육표면온도를 $25^{\circ}C$까지 해동시킬 때가, microwave로 해동하면 195W의 출력으로 육심부온도를 $-2^{\circ}C$까지 해동시키는 것이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아끼바레 및 밀양 23호 쌀전분의 이화학적 성질비교 (Comparison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Akibare and Milyang 23 Rice Starch)

  • 정혜민;안승요;김성곤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5권2호
    • /
    • pp.67-74
    • /
    • 1982
  • 아끼바레 및 밀양 23호 쌀 전분의 이화학적 성질, 전분 gel의 노화 및 음이온에 의한 호화양상을 조사하였다. 두 전분입자의 성상은 다각형이며 입자의 크기는 $3{\sim}6{\mu}m$ 정도였으며, 아끼바레가 밀양 23호 보다 다소 작았다. 두 전분의 X-ray 회절도는 A형으로 peak 형태와 강도에서 약간의 차이를 보였다. 아끼바레 및 밀양 23호 쌀 전분의 아밀로스함량은 각각 18.5 및 19.5%이었고 물 결합능력은 106 및 100%이었다. 팽화력은 $50^{\circ}C$까지는 큰 변화가 없었으나 이후에 급격히 증가하였고 밀양 23호 쌀 전분의 팽화력이 더 컸다. 전분 현탁액(0.1%)의 광투과도는 두 전분 모두 $60^{\circ}C$ 이후에서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밀앙 23호 쌀 전분이 더 큰 광투과도를 보였다. 음이온에 의한 아밀로 그람 pattern은 NaCl과 NaF는 동일하였고 NaSCN과 NaI는 유사였다. 호화온도 및 최고점도시의 온도는 SCN-${SO_4}^=$의 순으로 증가하였고 SCN- 및 I-이온은 최고점도를 증가시켰으나 NaCl은 감소시켰다. ${SO_4}^=$ 이온을 첨가한 경우 점도는 계속 증가하였고 최고점도에 도달하지 않았다. 아끼바레 및 밀양 23호 전분 gel을 $21^{\circ}C$에서 저장한 경우 시간 상수가 각각 6.72 및 6.42일이었다.

  • PDF

유기농 자재의 시용이 토양의 이화학적 특성과 배추의 생육 및 체내성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Soil Physicochemistry Property and Plant Growth and Components of Chinese Cabbage after Application Organic Farming Materials)

  • 정순재;정원복;김회태;강경희;이종성;오주성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131-146
    • /
    • 2000
  • 화학비료와 농약의 대용으로 가축분의 발효퇴비 및 미생물 발효퇴비를 시용하여 토양의 이화학적 성질 변화와 배추의 생육 및 체내 성분변화을 알아보기 위하여 본 시험을 수행하였던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유기농 자재를 시용한 토양의 화학적 성질을 보면 pH 및 유기물함량은 화학비료 처리구에서는 거의 변화가 없었던 반면 발효퇴비 및 미생물 발효퇴비 처리구에서는 약간 증가하였고, 인산, 칼슘 및 칼리 성분은 발효퇴비 및 미생물 발효퇴비 처리구에서 화학비료 처리구보다 증가하였으며, 특히 계분+미생물 발효퇴비 처리구에서 가장 높았다. 2. 유기농 자재를 시용한 토양의 미생물상의 변화는 화학비료 처리구에서는 세균 및 방선균수는 거의 일정한 경향을 보였고 사상균수는 약간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 반면 발효퇴비 및 미생물 발효퇴비 처리구에서는 세균, 방선균 및 사상균수가 모두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미생물 발효퇴비 처리구에서는 세균수가 상당히 증가하였다. 3, 유기농 자재의 시용에 따른 배추의 생육은 화학비료 처리구> 미생물 발효퇴비 처리구> 발효퇴비 처리구순으로 높았고, 체내 NO$_3$$^{-}$ 함량은 내엽보다 외엽에서 많았고, 처리간에는 화학비료 처리구에서 내.외엽 모두 가장 많았으며, 미생물 발효퇴비 처리구에서 다소 적었다. 4. 유기농 자재의 시용에 따른 배추의 체내성분은 처리간 뚜렷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