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이화학적 성상

검색결과 111건 처리시간 0.021초

돈분에 볏짚 혼합 수준이 퇴비화 과정중 이화학적 성상 변화와 지렁이 생존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ixing Ratios of Swine Manure and Rice Straw on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Earthworm(Eisenia foetida) Survival)

  • 황보순;손장호;조익환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425-435
    • /
    • 2007
  • 본 연구는 돈분에 볏짚을 0(SM), 10(SRS10), 20(SRS20), 30(SRS30) 및 40(SRS40)의 수준으로 혼합하여 부숙기간별 이화학적 변화를 측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생존율을 조사하여 가축분의 효율적인 vermicomposting의 기초자료로 이용하고자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부숙이 경과함에 따라 지렁이가 생존하기 시작하여 8주부터 지렁이의 생존이 가능하였다. 처리구별 탄질비는 볏짚 혼합구(SRS30과 SRS40)가 순수 돈분구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 지렁이가 생존하기 시작한 8주째의 탄질비는 $10.43{\sim}11.16$으로 나타났다. 부숙이 경과함에 따라 pH와 전기전도도는 순수 돈분구에서 가장 높았고, 볏짚의 혼합 빈율이 높을수록 pH와 전지전도도는 낮은 경향이었다. 지렁이가 생존하기 시작한 pH와 전기전도도는 각각 $7.7{\sim}7.8$$2.72{\sim}4.59mS/cm$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지렁이 먹이로써 돈분에 볏짚을 수준별로 혼합하여 부숙을 시켰을 경우 순수 돈분보다 이화학적 성상이 양호한 것으로 나타나 돈분의 효율적인 vermicomposting을 기대할 수 있었다.

  • PDF

미생물 첨가제가 거세한우 분의 이화학적 특성, 미생물 성상, 가스 발생량 및 퇴비 부숙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icrobial Additives on the Chemical Characteristics, Microbes, Gas Emissions, and Compost Maturity of Hanwoo Steer Manure)

  • 주영호;서명지;정승민;김지윤;김삼철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264-269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미생물 첨가에 따라 거세한우 비육우 분의 이화학적 특성, 미생물 성상, 가스발생량 및 퇴비 부숙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수행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4주 후, 미생물 첨가구에서 수분, 유기물, 총질소 함량 및 pH가 낮았으며, 나머지 이화학적 특성에서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유산균과 효모균 수는 증가하였으며, 대장균 수는 감소하였다. 12주 후, 미생물 첨가구에서 유산균과 고초균 수는 높았으나, 수분, 효모 및 대장균 수는 낮게 낮았다. 하지만 암모니아, 황화수소 발생량과 퇴비 부숙도는 미생물 첨가에 의한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거세한우 분에 미생물을 첨가하면 유익균은 증가하고, 병원성 미생물은 감소하여, 비육우의 생산성은 증진될 것으로 사료되지만, 가스 발생량 및 퇴비 부숙도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는 지속적으로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식염첨가량에 따른 로인햄의 이화학적, 조직학적 및 관능적인 특성 평가

  • 이홍철;황지숙;진구복
    • 한국축산식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축산식품학회 2005년도 제36차 추계 학술발표대회
    • /
    • pp.182-185
    • /
    • 2005
  • 본 연구는 식염첨가량을 달리하여 제조한 로인 햄의 품질특성을 평가하고, 제조 가능한 최저식염첨가수준을 결정하고자 실시하였다. 식염첨가량을 0, 0.5, 1.0, 1.5, 2.0%로 달리하여 염지액을 다침주사로 주입한 로인 햄의 이화학적 및 조직학적 및 관능적 성상을 평가하였고, 고염처리구와 비교하였다. 제조한 로인 햄의 pH, 그리고 수분, 지방, 단백질 함량은 각각 5,8${\sim}$5.9, 66${\sim}$70%, 1${\sim}$l.3%, 21${\sim}$26%였다. 수분함량은 식염 무첨가구가 첨가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고, 반면에 단백질함량은 식염 무첨가구가 첨가구에 비하여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며 높게 나타났다. 색도는 명도에서만 고염 처리구 중 1.5%가 저염 처리구 0.5%이하와 차이를 보였다. 보수력은 식염첨가량에 따른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반면에 가열감량은 식염 무첨가구가 0.5%이상의 식염 첨가구에 비해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며 높게 나타났다. 조직학적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실시한 allo-kramer 전단력 측정 결과, 식염 무첨가처리구는 0.5${\sim}$1% 식염첨가구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으나, 1.5${\sim}$2% 첨가처리구와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관능검사 곁과에서 식염 무첨가구는 평가항목 전반에 걸쳐서 좋지 않은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특히 다즙성, 색도, 염도 및 총체적인 항목에서 매우 낮게 평가되어 제품으로서 가치를 상실하였다. 반면에 0.5% 이상의 식염 첨가구는 식염첨가량에 관계없이 유사한 관능적 특성을 보였으며, 2.0%의 고염 처리구는 오히려 염도에서 다른 평가항목보다 낮게 평가되었고, 1.0% 식염 첨가구는 오히려 조직감과 염도에서 매우 좋게 평가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제조 가능한 식염첨가최저수준은 0.5%이상임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로인 햄의 제조에 필요로 되는 식염의 첨가량은 0.5${\sim}$1.5% 범위로 평가된다. 차후의 연구로는 저염 로인 햄의 경우 품질의 저하를 보완할 수 있는 기능성 첨가물이나 가공기법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PDF

토종오리의 교배 조합이 오리고기의 부분육 생산수율, 육질 및 관능검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rossbred Korean Native Ducks on the Retail Cut Yield, Meat Quality, and Sensory Evaluation of Duck Meats)

  • 김학규;홍의철;강보석;박미나;채현석;방한태;서보영;추효준;나승환;서옥석;황보종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423-431
    • /
    • 2010
  • 본 시험은 토종오리와 육용오리의 교배 조합이 부분육 비율과 육질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토종오리와 육용오리의 교배 조합으로 발생된 4처리구의 오리 360수를 평사에서 사육하고, 일정 주령(A, B, C 8주령, D 6주령)에 도달하였을 때 각 처리구에서 암수 각각 9수씩 선별하였다. 교배 조합 방법은 토종오리(female)$\times$토종오리(male), 육용오리(female)$\times$토종오리(male), 토종오리(female)$\times$육용오리(male), 육용오리(female)$\times$육용오리(male)의 4처리구를 각각 A, B, C, D로 하였다. 선별된 개체들은 도압(屠鴨)하여 부분육 비율을 측정하고, 오리고기의 이화학적 성상과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날개와 목 부위의 비율은 D 처리구가 가장 낮았으며(P<0.05), 가슴 부위는 B 처리구에서 가장 높았다(P<0.05). 다리 부위는 처리구간 차이가 없었으며, 부분육을 제외한 부위는 A, B, D 처리구에서 C 처리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오리고기의 pH는 처리구간 차이가 없었으나(P>0.05), 지방, 단백질 함량은 B 처리구가 가장 높았으며(P<0.05), 콜라겐 함량은 D 처리구가 가장 높았다(P<0.05). 오리고기의 육색과 물리학적 성상(전단력, 가열 감량, 보수력)은 처리구간 차이가 없었다(P>0.05). 오리고기의 관능검사는 다즙성에서 D 처리구가 가장 높았으나(P<0.05), B와 D 처리구 사이에는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토종오리와 육용오리의 교배 조합은 이화학적 성상이나 관능검사의 개선 효과가 뚜렷하지 않지만 가슴육 수율 향상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사료된다.

전남 해안지역의 해수, 개펄, 수족관내 어패류 및 주방환경에서 장염 패혈증균(Vibrio vulnificus)의 분리와 미생물학적 연구 (Microbiological Study and Isolation of the Vibrio vulnificus in the Sea Water, Sediment, Fish and Shellfish, Kithen Environment of Chunnam Coastal Area)

  • 박경수;한철;석근영;정해창;김영휘;김천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449-455
    • /
    • 1993
  • 장염 패혈증균으로 알려진 Vibrio vulnificus는 비교적 최근에 알려진 호염성균으로 이 균이 잠복된 어패류를 생식하면 사람에게 패혈증을 일으키며 높은 사망률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이 균은 주로 해양환경에 서식하며 수온이 높은 하절기에 발생되고 있다. 본 실험에서는 전남 해안지역에서 해수, 개펄, 수족관내의 어패류와 주방환경의 시료원에서 장염 패혈증균의 분리율과 해수와 개펄의 이화학적인 성상과 일반 미생물 수, Vibrio균 수, Coloform 세균수의 분포를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즉 조사된 총 314건의 시료원 중에서 37.9%의 Vibrio 균종의 분리율을 보였으며 V. vulnificus가 7.1%, V parahemolyticus가 9.6%, V. alginolyticus가 12.4%, V. sp.가 8.9%가 나타났다. 또한 V. vulnificus의 시료원별 분리율은 해수에서 33.3% 개펄에서 55.6%, 수족관내 어패류에서 1.7%, 주방환경에서 6.3%로서 개펄에서 가장 높은 분리율을 보였다. 각 지역별 V. vulnificus의 분리율은 대략3.6%에서 11.4%의 범위를 가지고 있었으며 무안, 해남에서 10% 이상의 높은 분리율을 보였다. 그러나 지역별의 분리율 차이는 크게 인정되지 않는 경향이었다. 어패류에 있어서 V. vulnificus의 분리율은 1.7%였으며 주방환경에서는 6.3%였다. 어종별에 따른 차이는 인정할 수가 없었고 행주와 도마에서 높은 분리율을 보였다. 전남 각 지역별의 해수의 이화학적 성상은 염도가 $13.3{\sim}24.8%$, pH는 $7.64{\sim}8.36$, COD는 $0.8{\sim}12.6ppm$, 총인은 $0.003{\sim}0.175ppm$, 총질소량이 $0.219{\sim}1.634ppm$의 범위를 가지고 있었다. 개펄의 이화학적 성상은 총 유기물량이 $2.12{\sim}8.26%$, COD량이 $0.539{\sim}1.562ppm$, 총인은 $0.012{\sim}0.203ppm$, 총질소량이 $0.244{\sim}1.738ppm$의 범위로 나타났다. 한편 해수의 총세균수는 $4.5{\times}10^3{\sim}3.5{\times}10^5\;CFU/ml$, Vibrio 균수는 $1.8{\times}10^2{\sim}4.6{\times}10^3\;CFU/ml$, Coliform 세균수는 $1.9{\times}10^1{\times}3.7{\times}10^2\;CFU/100ml$이었으며, 개펄의 총 세균수는 $4.8{\times}10^3{\sim}5.2{\times}10^5\;CFU/ml$, Vibrio 균수는 $1.9{\times}10^2{\sim}8.4{\times}10^4\;CFU/ml$, Coliform 세균수는 $7.2{\times}10^1{\sim}9.9{\times}10^2\;CFU/100ml$으로 나타났다.

  • PDF

단삼(丹蔘)으로부터 항균물질의 분리 (Isolation of Antimicrobial Compounds from Salvia miltiorrhiza Bunge)

  • 한완수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179-182
    • /
    • 2004
  • 단삼(丹蔘)을 bioassay-directed fractionation에 의한 에탄올 추출물의 클로로포롬 분획물을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recycling preparative-HPLC 등을 실시하여 항균활성을 나타내는 2개의 화합물을 분리하여 이화학적 성상 및 spectra data (IR,$^1H-NMR,\;^{13}C-NMR$ 및 Mass)에 의해 각각 Cryptotanshinone과 dihydrotanshinone I으로 동정하였으며, 이들 화합물의 항균성 (MIC)은 각각 S. epidermidis에 대하며 $6.3,\;3.1\;{\mu}g/ml$와 S. pyogenes에 대해 $6.3\;{\mu}g/ml$로 비교적 높은 활성을 나타내어 항생제로서 개발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대두경화유의 감자 튀김시 이화학적 성상과 맛의 변화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Taste Variation of Hydrogenated Soybean oil in Deep-frying Potatoes)

  • 권혜순;염초애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293-297
    • /
    • 1993
  • This study aims to seek ways to improve frying stability of soybean oil which is widely used for deep frying while at the same time attempting to develop new frying oil and fat of high quality. Taking soybean oil as a control group, the study fried frozen potatoes with hydrogenated soybean oil with iodine value ranging from 60 to 110 for 15 hours. The test results showed that in frying stability, hydrogenated soybean oil with iodine value of 87 and 63 was superior to normal soybean oil and hydrogenated soybean oil with iodine value of 111(P<0.05). In sensory evaluation,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 can be detected among groups(P>0.05). The correlation between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sensory evaluation results was highest for smoke point and viscosity. This study concludes, therefore, that hydrogenated soybean oil with iodine value of 60~90 is better than normal soybean oil as deep-frying oil.

  • PDF

희첨의 새로운 Diterpene 배당체에 관하여 (A New Diterpenic Glucoside of Siegesbeckia pubescens)

  • 김제훈
    • 생약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21-22
    • /
    • 1972
  • 우리 나라 한방요법(漢方療法)에서 고혈압치료(高血壓治療)에 널리 쓰이고 있는 희염은 털진득찰 Siegesbeckia pubescens의 전초(全草)로서 그 유효성분(有成分)으로서는 이미 물질(物質) $A\;C_{20}H_{34}O_4\;mp\;192{\sim}193^{\circ}\;[{\alpha}]^{20}_D\;-22\;(in\;dioxane),\;B\;C_{20}H_{32}O_4\;260.2^{\circ}[{\alpha}]^{20}_D\;-88\;(in{\;}pyridine)$의 화학구조(化學構造) 및 생리작용(生理作用)을 밝힌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또하나의 새로운 배당체(配糖體) $compound(I)\;C_{26}H_{44}O_8\;mp\;225{\sim}6^{\circ}[{\alpha}]^{20}_D\;-40$을 얻어 그의 이화학적(理化學的) 성상(性狀) 및 유도체(誘導體)의 합성(合成)으로서 화학구조(化學構造)를 구명(究明)하였다.

  • PDF

Phytochemical Constituents of Urtica angustifolia Fisch

  • Kwon, Hak-Cheol;Kwak, Jong-Hwan;Lee, Kang-Ro;Zee, Ok-Pyo;Yu, Seung-Jo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6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68-168
    • /
    • 1996
  • 가는잎쇄기풀(Urtica angustifolia Fisch.)은 쇄기풀과(Urticaceae)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 중약 또는 민간에서 동속 근연식물과 함께 전초를 담마라하여 류마치스성 동통, 산후의 산풍, 소아의 추풍, 경풍,담마진의 치료에 사용되고 있다. Rat에서 실험적 항당뇨 효과를 검토해본 결과 혈당강하 작용이 있는 본 식물로부터 그 혈당강하 성분의 분리에 앞서 식물화학 성분을 규명하고자 본 실험에 착수하였다. 가는잎쇄기풀 전초의 MeOH ex.를 CH$_2$Cl$_2$, EtOAc, n-BuOT 및 $H_2O$로 분획하고 각종 column chromatography를 통하여 다수의 화합물을 분리하였다. 각 화합물은 이화학적 성상 및 spectral data로부터 scopoletin, esculetin dimethyl ether(scoparone), sterol mixture, $\beta$-sitosteryl-3-o-glucoside, kaempferol-3-o-glucoside, quercetin-3-o-glucoside, kaempferol-3-o-rutinoside로 확인하였으며 그 외 다수의 화합물은 그 구조를 규명중이다.

  • PDF

수종(數種) 자양(滋養) 강장생약류(强壯生藥類)의 형태(形態) 및 이화학적(理化學的) 성상(性狀) 비교(比較) (Morphological and Physico-chemical Comparison of Some Nutrient and Tonic Drugs)

  • 도정애
    • 생약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243-253
    • /
    • 1989
  • Anatomical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ome nutrient and tonic crude drugs have been estimated and compared. Resin duct and druse crystal were observed more in Acanthopanax Cortex than in Ginseng Radix. Bast fiber bundle and solitary crystals were abandantly present in Glycyrrhizae Radix. Mucilage crude drugs contained mucilage ducts and bundles of raphides as common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of vascular bundles were different. TLC analysis showed different patterns of saponin, flavonoid, ${\gamma}-aminobutyric$ acid and sitosterol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