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이해성

Search Result 11,150, Processing Time 0.047 seconds

Analyzing user satisfaction factors for mobile health apps (모바일 헬스케어 앱 사용자 경험 요인 분석)

  • Kim, Guyeop;Kim, Hyun K.;Shin, Yuan;Park, Gyuwon;Park, Sunyoung;Lee, Yury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fall
    • /
    • pp.129-131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모바일 헬스케어 앱의 사용자 경험 요인을 분석하여 제안하는 데 있다. 의료 관련 앱은 주로 의료 서비스 제공자 중심의 기능으로 디자인되어 개인의 서비스 접근성이 낮으며, 데이터 활용에 대한 고려가 부족하다. 개인이 주도적으로 건강 데이터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개인 - 건강 데이터 커뮤니케이션을 고려한 앱 개발이 필수적이며, 이와 관련된 사용자 경험을 평가하는 도구가 필요하다. 먼저 문헌 조사를 통해 사용 편의성, 사용 만족도, 정보 구조, 유용성, 정보 품질, 심미성 6가지 사용자 경험 요인을 수집하였다. 이후, '나의건강기록' 앱을 대상으로 사용자 심층인터뷰를 진행하여 모바일 헬스케어 앱 사용자 경험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심층인터뷰 결과, 사용자 경험 요인에 정보의 이해용이성 요인이 새롭게 도출되었다. 정보의 이해용이성은 건강 정보를 알기 쉽게 제공하여, 사용자들이 어려움 없이 정보를 이해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하고 건강정보이해능력과 관련이 높다. 각 도출된 요인은 정보 주체(사용자)의 편의성, 활용성, 유지율을 높일 수 있는 모바일 헬스케어 앱을 디자인하는 데 유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 Study on necessity of Stakeholder Management for Urban Regeneration (도시재생사업에서의 Stakeholder Management 필요성에 관한 연구)

  • Lee, Seul-Ki;Yu, Jung-Ho;Kim, Chang-Du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2008.11a
    • /
    • pp.909-913
    • /
    • 2008
  • We face with difficulty of Urban Regeneration because of conflict between complex stakeholders by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Urban Regeneration. Actually, many parts of stakeholder are assumed and conflicts of stakeholder aren't solved using systematic management. Therefore, In this study, I analyzed definition and special quality of Urban Regeneration and proposed necessity of Stakeholder Management that manages suitable communication and their relation of each stakeholder through grasping and analyzing stakeholder as Program Management for Urban Regeneration.

  • PDF

The Selective Effect of Cohesive Devices on Scientific Text Reading and Comprehension (과학텍스트의 읽기 및 이해에 대한 결속장치의 선택적 영향)

  • Kim, Say-Young;Han, Kwang-Hee;Cho, Sook-Wha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01.10d
    • /
    • pp.226-232
    • /
    • 2001
  • 본 연구는 결속장치(cohesive devices)가 과학텍스트의 읽기 속도와 내용 이해에 끼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위한 실험을 통해서 먼저, 텍스트의 문단별 읽기 시간을 측정하여 온라인 처리 과정을 검토하였고, 둘째, 회상과 재인 검사를 실시하여 오프라인 상태에서의 이해도를 조사하였다. 이 연구의 재료로 사용된 텍스트는 번개 생성과정에 대한 과학텍스트로서, 반복, 지시사, 정박(anchoring), 인과적 접속사 등의 결속장치를 이용하여 응집성(coherence)의 강도를 높고, 낮게 조작하였다. 실험 결과, 결속장치가 길속장치의 종류와 지엽적 응집성의 강도에 따라 과학텍스트 읽기와 이해에 선택적으로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첫째, 인과적 접속사는 읽기 시간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 반면, 이해를 촉진했는데, 이 긍정적 효과는 과제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즉, 회상 검사 결과에서는 인과적 접속사가 쓰인 모든 문단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재인 검사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부분적으로만 나타났다. 둘째, 반복 결속장치는 다른 결속장치와 같이 발생할 경우에만 읽기 시간과 이해를 부분적으로 촉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정박 결속장치의 영향은 읽기와 이해 두 처리 과정에 모두 선택적으로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인과적 접속사와 함께 쓰인 문단의 경우에는 회상 검사에서만, 반복 결속장치가 함께 쓰인 문단에서는 회상, 재인 검사에서 모두 긍정적 영향을 준 것으로 관찰되었다.

  • PDF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reservice Teachers' Mathematical Understanding in Visual Expressions and Problem-Posing Ability: Focusing on Multiplication and Division of Fractions (예비교사의 시각적 표현에서의 수학적 이해와 문제 만들기 능력의 관련성 분석: 분수의 곱셈과 나눗셈을 중심으로)

  • Son, Taekwon
    • Education of Primary School Mathematics
    • /
    • v.26 no.4
    • /
    • pp.219-236
    • /
    • 2023
  •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preservice teachers' mathematical understanding and problem posing in fractions multiplication and division. To this purpose, 41 preservice teachers performed visual representation and problem posing tasks for fraction multiplication and division, measured their mathematical understanding and problem posing ability, and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mathematical understanding and problem posing ability using cross-tabulation analysis. As a result, most of the preservice teachers showed conceptual understanding of fraction multiplication and division, and five types of difficulties appeared. In problem posing, most of the preservice teachers failed to pose a math problem that could be solved, and four types of difficulties appeared. As a result of cross-tabulation analysis, the degree of mathematical understanding was related to the ability to pose problems.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for preservice teachers' mathematical understanding and problem posing were suggested.

양명학자 정제두의 『중용』 이해

  • Seon, Byeong-Sam
    • (The)Study of the Eastern Classic
    • /
    • no.55
    • /
    • pp.85-113
    • /
    • 2014
  • 정제두는 조선시대를 대표하는 양명학자라는 평가를 받기는 하지만 구체적 학문경향에 대해서는 다양한 평가가 공존하는데 이와 같은 현상은 말년에 갈수록 양명학보다는 경세론, 예설, 경학으로 그 관심의 무게를 확대한 데에 주요한 원인이 있을 것이다. 한편 경학 연구가 반드시 양명학의 기본정신에 위배된다고는 할 수 없기 때문에 문제의 핵심은 경전 해석에 적용된 관점에 대한 평가가 중요하게 된다. 그의 중용설을 분석해 보았을 때 정제두는 인간을 포함한 만물의 보편적 존재를 규명한 책으로서 "중용"을 이해하기 보다는 인간수양서로서 "중용"을 이해하고 있었다. 이는 그가 경학 연구에서도 도덕실천을 중시한 양명학적 입장에 서 있었음을 잘 보여준다.

A Study on Effectiveness of Hang-Tag Type and Preferred Method of Functional Information for Outdoor Jackets (아웃도어 재킷의 기능성표기 행택 유형에 대한 소비자의 이해도 및 선호도 연구)

  • Bang, Giseong;Yoo, Shinjung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19 no.4
    • /
    • pp.83-94
    • /
    • 2016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ffective expression method of performance information of functional clothing and preferred alternatives for the categorized consumer groups according to the perception about the functional outdoor jacket. 472 males and females in their 20s-60s' were surveyed and their answers were analysed and categorized by using SPSS 21.0 statistical program. For the study, four different expression methods for waterproof & breathable fabric, 'illustration only', 'illustration+Korean text', 'illustration+foreign text', and 'chart with Korean text', were presented and asked for finding correct answers. The analysis was done for three categorized consumer groups from the former study, 'unconversant/brand & design pursuing group', 'conversant/function pursuing group' and 'high price/high function preferring group'. The results showed that regardless of groups, 'picture only' was the most preferred method and 'graph' was the least. However, the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for the 'graph' was the biggest, especially for 'conversant/function pursuing group'. It implied that the effective expression method should be differentiated depending on the target consumer groups. 'Conversant/function pursuing group' more agreed on the need for additional information, such as 'after-washed performance', than other two groups.

Framework for Image Understanding System using Ontology (온톨로지를 이용한 영상이해 시스템의 설계)

  • Lee, In-Geun;Seo, Seok-Tae;Jeong, Hye-Cheon;Son, Se-Ho;Gwon, Sun-Ha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Conference
    • /
    • 2006.11a
    • /
    • pp.33-38
    • /
    • 2006
  • 인공지능 분야에서는 합의된 개념을 정의하고, 개념과 개념사이의 관계를 표현하여 인간과 시스템이 지식을 공유하는 것으로 온톨로지를 정의하고 있다. 현재까지 영상이해를 위해 온톨로지를 설계하고 이용하는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기존의 영상이해에 관한 연구는 개념적인 연구에 그칠 뿐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하지는 못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온톨로지로 표현한 지식에 근거하여 영상의 처리, 분석 해석 과정을 통해 영상을 이해하는 영상이해 시스템의 프레임워크를 제안한다. 영상이해 과정은 i)특정 부야의 지식을 온톨로지로 표현하고, ii)영상 처리 및 분석 과정을 통해 영상을 구성하는 객체들의 속성을 추출하며, iii)온톨로지 추론을 통해 객체의 속성으로부터 객체를 정의하여 영상을 해석한다. 그리고 제안한 프로세스에 기반 하여 영상이해 시스템을 구축하고 특정 분야에서의 실험을 통하여 제안된 시스템의 효용성을 확인한다.

  • PDF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ncentration and Settling Velocity of Cohesive Sediment (점착성 유사의 침강 속도와 농도의 관계에 대한 고찰)

  • Son, Minwoo;Byun, Jisun;Park, Byeounge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87-87
    • /
    • 2019
  • 흔히 진흙으로 대표되는 점착성 유사는 모래와 같은 비점착성 유사와 달리 응집 현상으로 인해 지속적으로 유사 입자의 크기가 변화한다. 응집 현상은 점착성 유사 입자의 응집 과정과 파괴과정으로 구성된다. 응집 현상 중 응집 과정은 유사 입자 간의 충돌로 인해 발생하는 것으로 이해되며, 충돌을 야기하는 메커니즘으로는 브라운 운동(Brownian Motion), 차등침강(Differential Settling), 난류 전단 (Turbulent Flow Shear)이 있다. 파괴 과정은 입자간 충돌로 인해 깨지는 것이 아닌 난류 전단(Turbulent Shear)로 인한 덩어리 분리(Massive Splitting)가 발생하는 것으로 이해한다. 이러한 유체의 특성, 흐름 특성 (난류 거동) 뿐만 아니라 유사 입자의 특성 모두의 영향을 받으며 지속적인 응집 현상을 겪는 점착성 유사 입자들은 하나의 커다란 덩어리인 플럭(Floc)을 형성한다. 형성된 플럭의 구조는 프랙탈 기하학을 따르는 것으로 이해된다. 따라서 플럭의 구조는 자기 유사성을 띠며, 플럭의 밀도는 형성된 플럭 크기의 함수가 된다. 플럭의 크기가 증가할수록 플럭의 프랙탈 차원이 감소하며, 플럭의 밀도는 감소한다. 많은 이전의 연구에서 플럭의 침강 속도를 농도에 따른 함수로 가정하고 경험식을 이용하여 산정하나, 유사 입자의 침강 속도는 크기와 밀도의 함수임을 Stokes Law를 통해 생각해 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응집 현상의 결과물로 형성된 응집물의 크기와 밀도를 각각 산정하고, Stokes Law를 이용하여 침강 속도와 응집물 크기의 관계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보다 심도 있는 연구를 위해서는 응집 현상을 야기하는 메커니즘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이다. 간소화된 응집 모형으로부터 얻어진 플럭 크기를 이용하여 프랙탈 차원, 플럭의 밀도를 산정한다. 형성된 응집물의 크기와 침강 속도의 관계에 대한 이해를 통해 보다 정확한 플럭의 침강 속도 산정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회원작품

  • Korea Institute of Registered Architects
    • Korean Architects
    • /
    • no.7 s.89
    • /
    • pp.35-48
    • /
    • 1976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