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이해당사자

검색결과 346건 처리시간 0.025초

대학광고교육에 대한 광고실무자 인식연구 (A Study of Advertisement Businessmen's Perceptions of Advertisement Education in College)

  • 김준회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7권11호
    • /
    • pp.193-204
    • /
    • 2007
  • 광고업계의 급속한 성장에 발맞춰 대학 광고교육도 양적인 성장을 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양적 성장에 비해 교육과정과 졸업생들의 실무능력에 대한 불만족은 아직도 해결해야 할 광고교육의 과제라고 말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광고교육에 이해당사자라고 할 수 있는 광고대행사의 인사담당자와 신입사원과 같이 근무 경험이 있는 실무자들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해, 현장에서 원하는 대학 광고교육을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설문조사는 광고대행사 근무를 하고 있는 137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대학 광고교육이 제공하고 있는 교육내용과 업무수행에 필요한 능력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서 광고업계에서 필요로 하는 능력을 창출할 수 있는 교육과정 운영이 필요하며, 광고교육과 관련된 두 이해 당사자(대학-광고업계)간의 상호 이해의 증진을 위한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의사소통 개선을 위한 프로젝트 통합관리 도구의 설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sign of Project Integrated Management Tool for Improving Communication Process)

  • 문성계;김지혁;류성열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4권7호
    • /
    • pp.133-141
    • /
    • 2009
  • 대규모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젝트의 성공적인 수행을 위해서는 프로젝트 이해당사자 간의 의사소통 문제를 개선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표로젝트 이해당사자 간의 의사소통을 개선하기 위한 통합관리도구를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이를 위하여 S사에서 수행한 정보전략계획 자료와 최근 6년간 수행한 23개 프로젝트의 문제점을 의사소통의 관점에서 요구사항을 수집 정리하고, 이를 기반으로 의사소통 개선을 위한 통합관리도구를 설계하고 제안한다. 제안된 설계의 기본 모형 중 의사소통에 관련된 부문들의 주요 기능과 구조를 정의하고, 주요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세스와 상세 기능을 제시하였다. 제안한 설계의 유효성을 입증하기 위한 정성적인 평가와 의사소통 관점에서의 정량적 분석을 통해 그 가능성을 나타내었다.

원산지표시 제도 당사자들의 인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wareness of Country-of-Origin Labeling System with a Focuses on the Consumer and Parties interested)

  • 허윤석;윤호성;이용완
    • 무역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99-124
    • /
    • 2017
  • 우리나라에서는 1991년부터 소비자 보호를 위하여 원산지를 표시하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원산지규정 및 표시제도는 대외무역법, 관세법 등 다양한 제도들에 의하여 효율적인 시행이 어려운 실정이며, 이로 인하여 원산지표시 이해관계자들은 시스템 이해 및 운영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원산지표시제도 이해관계자 중 표시의무자와 소비자를 대상으로 시스템에 대한 인식 및 실태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당사자들은 시스템에 대한 이해 및 인식이 미흡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이러한 낮은 인식은 원산지표시 위반이라는 결과로 연결이 되고 있기에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 수립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하천유지용수 편익을 고려한 가뭄 시 하천유지용수 최적 감량 방안 연구 (Optimal Instream Flow Reduction during Drought through Benefit Analysis)

  • 유형균;이재연;김범진;이승엽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2년도 학술발표회
    • /
    • pp.504-504
    • /
    • 2022
  • 국내 금강유역의 경우 충남 서부와 북부지역을 중심으로 강수량 부족과 가뭄이 빈번히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되며, '14년에도 강수량이 부족하였고, '15년에는 제한급수에 돌입하는 등 가뭄 피해가 최대 3년에 걸쳐 다년 발생하였다. 가뭄 발생 시 댐은 가뭄 대응단계별 용수공급조정기준에 따라 생공용수 여유량, 하천유지용수, 농업용수, 생공용수 순으로 감량 후 운영된다. 이중 하천유지용수는 수 생태계 및 하천과 관련이 있는 다양한 자연 자원의 보호와 보전을 위해 하천에 남아 흘러야 하는 물로 정의되며, 환경 및 생태계에 관한 중요성이 커짐에 따라 가뭄 시에도 하천이 유수의 정상적인 기능과 상태 유지를 위해 필요한 용수이다. 용수공급조정 기준은 지금까지 총 5차례 개정되었으며, 가장 최근인 '19년에는 가뭄 주의단계시 하천유지 용수 감량기준을 기존 하천유지용수 "100% 감량"에서 "최대 100% 감량"으로 개정되었다. 이를 통해 다양한 의사결정이 가능해졌지만, 한편으로는 구체적인 기준이 제시되지 않아 이해당사자 간 상호 협의를 통해 감량(주로 50%)하는 실정이다. 이러한 상호 협의의 과정은 다양한 이해당사자들의 의사를 반영할 수 있는 과정이긴 하지만 수자원의 부족은 직접적으로 주민들에게 심각한 피해로 이어지기에 보다 정교하고 합리적인 기준의 설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의사결정 과정에 활용할 수 있는 하천유지용수 최적 감량 방안을 제시한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방안은 각 이해당사자의 향후 체계적인 의사결정을 위해 근거를 제공하는 것이 목표이다. 이를 위해, 하천유지용수의 공급에 따른 편익과 가뭄 위험도 간의 관계를 규명하고, 관계에 따른 하천유지용수 감량 정도에 따른 피해를 추정한다.

  • PDF

공공사업(댐)의 의사결정시 사회성 평가 방법 (Evaluation Methods of Sociality in the Decision Making Process for Dam Construction)

  • 김우구;김태영;이광만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6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657-662
    • /
    • 2006
  • 공공사업의 목적은 사업을 통해서 발생하는 혜택을 인간 및 사회가치 적합하도록 최대한 확산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당해 사회적 가치를 고려하지 않는 경제 및 정책 범주에서만의 분석은 공공사업의 추진타당성에 신뢰저하를 가져오거나 사업추진지역사회의 막연한 불안감(저항)에 효과적으로 대응하지 못하는 문제를 일으키고 있다. 따라서 타당성 있는 사업추진 및 지역사회 저항을 극복할 수 있는 방법발견은 중요하다고 하겠다. 해결방향은 공공사업으로 영향 받는 당해지역에서의 경제(정책포함)외적인 제약조건까지 파악하여서 전반적인 사회경제적가치(시장가치)를 재발견해 가는데 있다. 그것은 공공사업의 예비타당성 평가시에 잠재적으로 부딪힐 저항이나, 개발이후에 발생할 수 있는 확산가치까지도 대상에 포함시켜야 한다는 의미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잠재적 가치는 경제적 요소에서만 발생하기 보다는 당해지역의 사회문화적 잠재성 극대화에서 나온다. 지금까지의 계획수립과정은 정부와 전문가집단이 중심이 되어 계획을 수립하고 작성된 계획안에 대해 시민단체, 환경단체 등 이해당사자들이 공청회나 공람을 통해 의견을 제시하는 소극적 프로세스였다. 한편, 대안적 프로세스는 계획수립의 초기단계부터 다양한 이해당사자를 참여시키고 이들을 보조자가 아닌 계획수립의 주체로서 인정하고 협의와 조정과정을 거쳐 합의를 도출함으로써 계획의 정당성을 확보하고 실행가능성을 높이는 방식이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는 미래지향적 가치를 포괄하고 있는 예비적인 사회적 타당성의 평가항목 및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것은 일반적으로 사회영향평가(SIA: Social Impact Assesment)모델을 통해서 공공사업 및 민간사업이 당해 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이의 대응방안 마련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주요 내용은 공공사업관리방식의 체계를 파악하고 공공사업의 사회적 타당성 및 국내외 적용사례 분석을 통한 시사점 도출과 사회성 검토항목 및 평가방법을 제시한 후, 우리나라에의 적용방안을 검토하였다.

  • PDF

장애인을 위한 도서관 대체자료 연구 - 정책 및 법령 분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Materials at Libraries for the Disabled: Focused on the Analysis of Related Policies and Legislations)

  • 백록담;김유승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135-155
    • /
    • 2016
  • 본 연구는 장애인을 위한 도서관 대체자료 제작 및 활용의 근거가 되는 정책 및 법령의 분석과 이해당사자와의 면담을 통해 관련 문제점을 논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대체자료의 정의와 유형을 논하고, 장애인 정보접근권을 위한 제도적 노력의 연혁을 살펴본다. 정책 영역에서 제1차 및 제2차 도서관발전종합계획 중장애인 서비스 관련 부문을 분석하고, 법률 영역에서 도서관 대체자료와 관련하여 장애인, 도서관, 출판사 등 관련 집단의 권리와 의무를 규정하고 있는 "도서관법", "장애인복지법", "저작권법"을 논한다. 정책 및 법률 분석을 기반으로 대체자료 관련 이해당사자들의 인식과 입장을 분석하고자 심층 면담을 실시한다. 결론에 갈음하여, 이상의 논의를 바탕으로, 대체자료에 관한 5가지 문제를 논한다.

소프트웨어 수명주기에서 품질특성의 중요도 결정 기법 (A Weight Decision Technique of Quality Characteristics in Software Development Life Cycle)

  • 조재규;이길섭;이승종
    •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 /
    • 제11D권6호
    • /
    • pp.1277-1286
    • /
    • 2004
  • 정보화 사회로 발전이 되면서 고품질 소프트웨어에 대한 관심과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이에 따라 소프트웨어 제품 품질을 평가 및 관리하는 활동이 개발 활동과 함께 중요시되고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는 관련되는 이해당사자 마다 품질을 바라보는 다양한 시각이 존재할 수 있으며, 개발의 각 단계에서 중점적으로 관리되어야 할 품질특성이 필요하게 된다. 이러한 다양한 관점과 수명주기의 특성을 고려한 품질특성의 중요도는 품질관리 활동을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해준다. 그러나 소프트웨어 품질의 중요도에 대한 연구는 그 필요성과 효과성이 제대로 부각되지 않아 많은 연구가 진행되지 않았다. 본 논문에서는 소프트웨어 제품 품질의 기준이 되는 ISO/IEC 9126을 기반으로 소프트웨어 수명주기에서 품질특성의 중요도를 결정하는 기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제안된 기법은 소프트웨어와 관련되는 주요 이해당사자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와 AHP 기법을 이용한 중요도 분석을 통해 이루어진다. 이를 통하여 수명주기에서 중요도 우선순위에 의하여 품질특성을 선별할 수 있으며, 소프트웨어 품질을 정량적으로 측정하고 개발 완료 후의 소프트웨어의 품질을 예상할 수 있게 하여 고품질의 소프트웨어를 획득할 수 있게 한다.

수직적 추상의 도입에 의한 BPMN 추상기능의 확장 (Extending the Abstraction Capability of BPMN by Introducing Vertical Abstraction)

  • 강성원;이단형;안유환
    •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 /
    • 제16D권2호
    • /
    • pp.223-236
    • /
    • 2009
  • OMG가 개발한 비즈니스 프로세스 모델링 언어인 BPMN은 하위 프로세스를 하나의 노드로 나타낼 수 있게 하여, 사용자가 프로세스의 세부사항으로부터 추상화된 뷰(view)를 볼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능력은 수평적 추상으로 불릴 수 있는 유용한 추상의 방향이다. 그러나 다양한 비즈니스 이해당사자(stakeholder)들이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자신의 관심(interest)의 관점에서 볼 수 있기를 희망하는 경우에는 수직적 추상이라는 다른 종류의 추상능력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이해당사자들이 특정 수행자집단의 관점에서 프로세스를 보기를 원할 수도 있고, 특정한 목표들의 관점에서 프로세스를 보고자 할 수도 있다. 이 논문은 슈퍼에지(super edge)의 개념을 도입하여 BPMN의 수평적 추상능력을 확장하고, 나아가 '관점속성(aspect attribute)'과 '관심명세(interest specification)'의 개념과 기호를 도입하여 BPMN이 수직적 추상능력을 갖도록 확장한다.

언론소송에 나타난 보도의 개별적 연관성과 당사자적격 (A Study on the Doctrine of Standing in the Suits caused by the Press Reports)

  • 이승선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34권
    • /
    • pp.161-195
    • /
    • 2006
  • 언론보도로 인한 피해의 구제를 도모하기 위한 '언론중재법'이 제정 시행에 들어가고, 법원은 공적존재의 공적사안에 관한 언론보도의 면책범위를 확대하는 법리를 채택하고 있다. 법의 시행과 소송실무에서 가장 중요한 문제 중의 하나가 누가 언론보도의 피해자인가 하는 점인데 흔히 보도의 '개별적 연관성'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는 당사자적격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이 되는바, 이 논문에서는 당사자적격의 법리 변화와 이를 언론소송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가, 하는 점을 탐색하였다. 언론이 익명 모자이크 처리해서 보도한 경우, 집단 기관 단체에 대한 보도와 그 구성원간의 개별적 연관성, 혹은 그 반대의 경우, 그리고 정부기관의 당사자적격에 대한 법원의 판례를 검토한 바, 우리 법원은 언론보도로 인한 피해자의 특정, 즉, 개별적 연관성의 범위를 대체로 넓히고 있었다. 이러한 당사자적격의 확대가 법원의 공적존재의 공적사안 면책론 법리와 배치되는 것이라고 보기 어렵고 사인의 사적사안에 대한 언론보도의 익명원칙을 준수할 필요성이 언론에 요구된다. 물론 공적존재의 공적사안 면책론은 확대될 필요가 있고, 언론소송에서 언론이 패하지 않은 지름길은 보도의 공공성과 진실성 확보를 위해 최선을 다하는 길이라 여겨진다.

  • PDF

정신장애인의 정신적 위기 발생과 자조적 지원과정에 관한 질적 연구 - 베델의 집 당사자연구 참여경험을 중심으로 - (A Qualitative Study on the Mental Crisis Occurence and Self-Help Support Process of People with Mental Disabilities - Focused on the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Self-Study and Mutual Help of Bethel's House)

  • 이용표;정유석;배진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7호
    • /
    • pp.304-316
    • /
    • 2021
  • 본 연구는 베델의 집 당사자연구에 참여한 8명의 정신장애인의 기록을 근거이론방법으로 분석하여 정신장애인의 정신적 위기발생과 자조적 지원과정을 규명하고자 한다. 개방코딩으로 106개의 개념, 34개의 하위범주, 15개의 범주가 확인되었으며, 축코딩 작업 결과 정신장애인 위기경험의 중심현상은 '정신장애인 삶에서 증상과 결부된 생활상의 고통에 압도당함'으로 도출되었다. 중심현상을 발생시키는 맥락적 조건은 '주변환경에 대한 민감성과 초조함', '극도의 고립감과 은둔', '약물의 과다사용 및 중단', '지루하고 한가한 일상'으로 나타났다. 위기극복의 자조과정에서는 '당사자 주도적인 고생의 패턴과 의미를 이해하기'와 '당사자와 함께 고생 극복방법 찾기' 등의 중재적 조건을 통하여 '고생에 대해 이야기하기', '동료와 함께 연구하고 연습하기', '다양한 모임에 참여하기' 등의 작용-상호작용전략이 나타났다. 이러한 전략은 정신장애인이 위기상황에서 위기에 대한 통치권을 회복하면서 살아가는 과정으로 분석되었다. 분석 결과는 정신장애인의 정책적 위기의 개념을 확대할 필요가 있으며, 동료지원을 기반으로 당사자가 주체로 참여하는 자조적 접근이 위기상황에서 유용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