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이차전령 체계

Search Result 2,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세포배양과 전기생리학적 방법을 통한 도파민 수용체의 연구

  • 김경만;임동구;오기완;최수형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Pharmacology
    • /
    • 1994.04a
    • /
    • pp.231-231
    • /
    • 1994
  • 이 연구는 인삼 성분 약물이 도파민 수용체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기 위한 첫 단계로써 그 기본적인 assay system을 정착 시키기 위함이 목적이었다. 우리는 이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생후 2-4 일의 쥐를 사용하여 흑질, 선조체, 해마구, nucleus accumbens등의 뇌 부위에서 신경세포 배양을 시도하였다. 흑질로 부터 배양한 신경세포들의 경우엔 면역 세포학적방법을 써서 살펴본 결과 대부분의 신경이 도파민성 신경이나 GABA성 신경들 이었다. 또한 이들 세포들의 전기 생리학적 상태를 알아보기 위하여 흑질에서 신호 전달체계가 잘 확립된 GABA 수용체의 작용을 살펴 본 결과 이 신경세포들은 GABA-A 및 GABA-B 수용체의 발현은 물론 이온 채널에 미치는 신호 전달체계를 완전히 갖추고 있었다. 도파민 수용체의 작용을 전기 생리학적으로 연구하기 위하여 배양한 신경세포에 도파민agonist를 가해서 이온 채널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 보았다. 선조체에서 배양한 신경세포들은 Dl 과 D2 agonist에 대해서 상반되는 반응을 나타냈다. 즉 Dl agonist는 선조체 신경세포를 활성화 시켰으나 D2 agonist는 선조체 신경세포들을 억제 하였다. 한편 해마구의 CAI 과 CA3 부위로 부터 배양한 신경세포에 대한 도파민 agonists의 작용은 선조체의 신경세포에 대한도파민 agonists의 작용과는 상반되는 반응 이었다. Dl agonist는 해마구로 부터 배양한 신경세포의 활성을 억제 하였으나 D2 agonist는 이들 신경세포들의 활성을 증가 시켰다. Nucleus accumbens 에서 배양한 신경세포들은 도파민에 의해서 그 활성이 억제 되었다. 이러한 결과로 미루어 봐서 같은 도파민 수용체라도 분포되어 있는 조직에 따라서 신호전달 에 관여 하고 있는 C-단백이나 이차 전령물질이 달라서 신경세포에 대한 작용이 다르든지. 약리학적으로는 구분되지 않으나 뇌의 조직에 따라서 분포가 다른 도파민 수용체의 아그룹이 존재 한다고 생각된다.

  • PDF

The Effects of Chronic Carbamazepine Administration on Protein Kinase A and Protein Kinase C Activities in Rat Brain (카바마제핀 장기 투여가 백서(白鼠) 뇌의 Protein Kinase A와 Protein Kinase C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 Rheem, Doo-Won;Kim, Leen;Suh, Kwang-Yoon
    • Korean Journal of Biological Psychiatry
    • /
    • v.5 no.2
    • /
    • pp.227-234
    • /
    • 1998
  • Objective : Many evidences suggest that patients with bipolar disorder have functional abnormalities in their postreceptor signal transduction pathways, and mood stabilizing effect of lithium is exerted by modulating this dysfunctioning system. Carbamazepine, an antiepileptic agent, is also known to be effective in the treatment and prevention of bipolar disorder. But the precise mechanism of action of the drug is still poorly understood.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lucidate the possible therapeutic mechanism of carbamazepine. Method : The effects of chronic carbamazepine administration on protein kinase A and protein kinase C activities in frontal cortex of rat brain after 2 weeks of drug administration were measured and compared with those of control subjects. Results : Mean(${\pm}SE$) value of activity(phosphate transfer ${\mu}mol/mg$ of $protein{\cdot}min$) of protein kinase A in control and test group was $0.249563{\pm}0.036$ and $0.539853{\pm}0.078$, and that of protein kinase C was $0.654817{\pm}0.053$ and $1.146205{\pm}0.052$ respectively, being increased in test group. And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both enzymes(protein kinase A ; p<0.01, protein kinase C ; p<0.001). Conclusion : These results show that chronic carbamazepine administration increases protein kinase A and C activities, and concerning the possible mode of therapeutic action in bipolar disorder it is suggested that enhanced enzymes phosphorylate receptor-G-protein-effector complexes to dampen hyperfunctioning neuronal activity and thus stabilize the system.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