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이용 수단

검색결과 3,261건 처리시간 0.037초

근적외선분광법을 이용한 수수×수단그라스 교잡종 종자의 품종 판별 (Variey Discrimination of Sorghum-Sudangrass Hybrids Seed Using near Infrared Spectroscopy)

  • 이기원;송요욱;김지혜;라하만 아티쿨;오미래;박형수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259-264
    • /
    • 2020
  • 본 연구는 근적외선분광법을 이용하여 국내에서 재배중인 수수×수단그라스 교잡종 품 판별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수행되었다. 근적외선분광기를 이용하여 수수×수단그라스 교잡종 종자를 가시파장 대역대 (680 - 1,099 nm), NIRS 파장 대역대 (1,100 - 2,500 nm) 및 NIRS 전체 파장 대역대 (680 - 2,500 nm)로 구분하여 스펙트라를 얻은 후 1차 미분과 8 nm gap으로 수 처리를 수행하였으며 부분최소자승 (PLS) 회귀분석법을 통해 품종판별 검량식을 개발하고 판별 정확성을 검증하였다. 수수×수단그라스 교잡종품종 판별의 정확성은 NIR파장대역에서 SECV 8.44 그리고 R2CV 0.89로 가장 판별 정확성이 낮았으며 NIRS 전체 파장대역에서 SECV 7.88 그리고 R2CV 0.90로 가장 높은 판별 정확성을 나타내었다. 파장대역별 예측 정확성은 NIR 파장대역 (1,100 - 2,500 nm)이 가장 우수하였으며, 교차검증오차 (SECV) 8.44에서 예측오차 (SEP) 12.03로 높아졌으며 가시영역대 (680 - 1,099)는 SECV 8.23에서 SEP 12.51로 높아졌다. Discrimination equation 분석법에 의한 NIRS 전체 파장대역별 수수×수단그라스 교잡종 종자의 판별 결과는 품종간에 판별 정확성의 차이가 크게 나타났으며 1, 2, 4 그리고 8번 품종 (G-7, BMR Gold II, Honey chew and SX-17)에서는 100 %의 정확성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NIRS를 이용한 수수×수단그라스 교잡종 종자의 판별분석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식품 중 수단색소의 분석법에 관한 연구 (A Study for Analytical Method of Sudan Colorants in Foods)

  • 김희연;윤혜정;최장덕;최우정;박선영;이경주;김지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549-552
    • /
    • 2004
  • 본 연구는 식품 중 식품에 사용이 불가한 수단 1호, 2호, 3호 및 4호 등 4종의 유용성 색소에 대한 안전성 확보 및 효율적 품질관리를 위해 박층크로마토그래피 (TLC)와 고속액체 크로마토그래피 (HPLC-PDA)를 이용한 정성, 정량분석법을 확립하고자 수행하였다. $C_{18}$-silica를 사용하여 methanol : water(95 : 5)으로 전개하였을 때 수단색소들의 R$_{f}$ 값은 0.27~0.59로 산출되었다. HPLC-PDA를 이용하여 water와 acetonitrile용매를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 20분내에 모두 분리되었으며 검량선의 농도 범위는 0.1 ∼ 100.0 $\mu\textrm{g}$/mL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고춧가루, 김치 및 깍두기 등 식품을 대상으로 적용한 결과, 회수율은 고춧가루에서는 85.84∼96.95%, 김치에서는 86.24∼104.30%, 깍두기에서는 83.02∼99.93%의 양호한 결과를 얻었으며 , 검출한계는 수단 1호 및 2호는 0.01 $\mu\textrm{g}$/mL, 수단3호 및 4호는 0.02 $\mu\textrm{g}$/mL으로 나타났다.

개인의 선호다양성을 고려한 지역간 수단선택 모형 구축 및 시간가치 추정 연구 (Estimation of Interregional Mode Choice Models and Value of Travel Time Accommodating Taste Variation of Individuals)

  • 조신형;서영현;고승영;이성모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20권2호
    • /
    • pp.288-298
    • /
    • 2017
  • 고속 및 일반철도 차량의 시스템이 다양화되고 성능 측면에서 상당한 기술발전에 이르고 있다. 통행자가 현재 인지하고 있는 철도 수단에 대한 시간 및 비용 개선에 따른 수단전환 특성을 분석하고 통행자들의 시간가치를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통행자의 수단선택 모형을 구축하고 개인의 선호다양성을 반영한 혼합로짓모형과의 비교를 수행한다. 또한, 도출된 모형에 의한 통행시간가치 추정을 통해서 분석의 타당성을 제시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중교통 이용객 510여명을 대상으로 SP 조사를 통해 철도 차량 개선에 따른 철도의 통행비용 및 통행시간 변화에 따른 통행시간가치를 다양한 모형을 이용하여 제시하였다. 또한, 개인의 선호다양성을 반영한 다양한 모형 간 비교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개인의 선호에 의한 한계대체율법을 통하여 철도의 통행시간가치를 추정함으로써 철도 사업에서의 통행시간 절감편익을 보다 정확하게 산정할 수 있다.

광역전철의 승용차 경쟁력 평가모형 개발 : 경의선·중앙선 급행열차 직결운행을 중심으로 (Development of a Model for Evaluating Metropolitan Railways' Competitiveness Against Passenger Cars: Focusing on the Express Train Service of Gyeongeui·Joongang Connected Line)

  • 이택영;진장원;최창호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6권4호
    • /
    • pp.54-63
    • /
    • 2017
  • 본 연구는 광역전철 활성화를 목표로 승용차 대비 경쟁력 평가를 위한 수단선택모형을 개발하였다. 연구대상 노선은 수도권의 경의선과 중앙선이며, 열차운행 구간은 두 노선을 연결하는 일산역부터 구리역까지 설정하였다. 수단선택모형은 잠재선호조사(SP) 자료를 이용한 개별행태모형이며, 교통수단선택의 경쟁구도는 승용차와 급행열차이다. 연구 결과, 수단선택모형이 적정한 수준으로 도출되었으며, 이를 이용하여 통행자의 시간가치와 탄력성 값이 나타내는 특성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광역전철에서 급행열차를 운행할 경우에는 통행비용의 감소보다는 통행시간의 단축에 주안점을 두는 것이 더욱 효과적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 같은 측면에서 개별노선간의 직결운행을 확대하고 급행열차를 운행하여 환승시간과 차내시간을 줄여주는 정책 추진이 요구된다.

블루투스를 이용한 10포트 코일리프트 콘트롤러에 관한 연구 (Research About 10Port Coil Lift Controller Using Bluetooth)

  • 김정호;배종일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8년도 제39회 하계학술대회
    • /
    • pp.1724-1726
    • /
    • 2008
  • 본 연구는 릴레이의 코일 접점 신호의 검출을 송신기에서 코일의 데이터를 검출하고 4-20mA데이터를 1/5,000까지의 분해능으로 환산하되 블루투스를 이용한 무선통신으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하여 송신기의 각 코일에서 검출된 데이터 값을 인디케이터에 전송하고 다시 릴레이 코일 신호로 만들어 표시하고 제어하도록 한 것이다. 데이터의 전송은 1Port 에서 10 Port까지 릴레이 코일 및 4-20mA 물리량을 이용하여 검출대상의 접점 리액턴스를 각각 측정하여 블루투스를 이용한 무선통신 데이터 값을 송신하는 코일의 접점 송신수단과 상기 릴레이 접점 송신수단으로부터 전송된 데이터 값을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무선통신으로 수신한 후, 상기 릴레이 접점에서 전송된 각각의 데이터 값과 전체 물리량으로 연산 처리된 데이터 값을 디스플레이 하고, 데이터의 디스플레이된 값을 통해 리액턴스 출력, 경보음출력, RS232, 4-20mA 출력이 발생되게 하는 인디케이터로 구성하는 블루투스를 이용한 10 Port 코일 리프트 제어 콘트롤러이다.

  • PDF

함정설계 지원 시스템 기술동향

  • 이종갑;양승일
    • 대한조선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40-46
    • /
    • 1996
  • 함정설계지원시스템이란 함정 설계의 목표를 효율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제반 기술적인 수단과 이들의 운용체제로, 함정 고유의 설계기술과 결합한 컴퓨터 이용기술의 집합체로 정의할 수 있다. 함정설계 및 건조에 있어서 컴퓨터기술의 이용은 아나로그 컴퓨터가 실용화되면서부터 활발하게 추진되기 시작하였다. 초기에는 주로 진동해석 및 제어시스템과 같은 여러가지 동적인 문제의 해결에 촛점이 맞추어져 왔다. 1960년대 초 컴퓨터 기술이 설계 분야에 이용되면서 선박의 설계 및 건조의 전 과정에 적용될 범용 컴퓨터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본격화되었으며, CAD tool이 상용화되기 전까지는 간단한 도형처리 기능을 포함한 특정 공학 해석을 신속하게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들이 개발, 사용되어 왔다. 컴퓨터 관련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함정설계지원시스템도 종래의 부분적인 설계업무의 자동화에서 함정의 획득(acquistion) 및 전 수명주기의 지원(life-cycle support) 과정에서의 생산성 향상, 품질향상 및 예산절감을 위한 수단으로 확대 발전되어 왔으며 최근에는 (CALS(Continuous Acquistion and Life-cycle Support)라는 새로운 문제로 정착되고 있다. 본 고에서는 21세기 대양해군을 지향하는 우리나라 해군력의 기본이 되는 함정의 설계, 건조 및 운용 지원분야의 획기적인 발전을 위해, 그 핵심적인 수단이 ㅗ딜 함정설계지원시스템의 개발동향에 대해 이 분야의 기술을 주도하고 있는 미 해군의 사례를 중심으로 살펴보고 현 단계에서 우리 해군이 추진가능한 몇가지 과제에 대해 제안하였다.

  • PDF

선택기반 화물데이타를 이용한 개별로짓모형의 적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Disaggregate Logit Models from Choice-Based Freight Data)

  • 남기찬
    • 한국항만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25-42
    • /
    • 1993
  • 지난 20여년간 화물수송 분야에는 큰 변화가 있었다. 수송 공급 측면에서는 보다 다양하고 기술적으로 앞선 수송수단들이 등장했으며, 수송 수요 측면에서는 로지스틱스 개념의 도입으로 화주들의 보다 높은 수송 서비스가 요구 되었다. 수송수단의 수송 분담에 있어서도 특히 철도에서 공로로의 두드러진 화물이동 현상이 나타났다. 이러한 변화는 수송 현안 해결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 화물수송수요 예측기법의 이론적, 개념적인 발달을 가져왔다. 그 중 두드러진 발달은 화주의 행태를 반영하는 행태모형의 개발과 새로운 자료수집 방법 및 자료형태이다. 전통적으로 화물수송 및 교통 연구에 널리 사용된 행태모형은 확률표본을 사용하여 왔으나, 80년대 부터 비확률 표본 사용에 관심이 높아졌다. 그 대표적인 것으로 기반근거 데이터를 들 수 있다. 이 데이터는 제한된 정보를 제공한다는 자료자체의 한계를 지니고 있으나, 자료수집이 용이하고 비용이 저렴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화물수송 분야에서 선택기반 데이터를 이용한 연구는 현재까지 두 편이 발표 되어 있다. 따라서 볼 연구는 선택기반 데이터를 이용한 개별선택모형의 잠재력을 검증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고, 네 종류의 제조품 그룹을 대상으로 기반근거 데이터를 수집하여 로짓모형을 추정하였으며, 추정결과를 이전 연구들의 결과와 비교하여 그 타당성을 검토 하였다. 추정된 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며 직관적으로 타당한 것으로 나타난다. 또한 그 결과는 문헌의 결과와도 일치하였다. 수송계획에 있어서 자료수집비용 절감의 필요성을 생각할 때 이것은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 PDF

개통 초기의 KTX 운영현황 및 문제점 고찰 (A Study on the Status Quo of Short-term Operation and Issues of KTX)

  • 안병욱;오세창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219-226
    • /
    • 2004
  • 본 연구는 지속적인 여객 및 화물량의 증가로 기존 수송수단이 포화에 이른 실정에 새로운 교통수단으로 추진한 고속철도 사업에 대해, 고속철도 개통 후 단기간에 드러난 이용현황 및 문제점을 도출해 기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관련 단체 및 기관의 자료를 수집 분석하였으며, 설문조사를 수행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또한 광범 위한 고속철도 사업의 특성아래 여객 부문에 대한 대중교통 측면으로 연구의 범위를 한정하였다. 고속철도 개통 후, 여객 및 화물 수송의 형태에는 단기간이나마 큰 변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그에 반해 고속철도의 이용에 있어서 주목할 만한 문제점 또한 조사되었다. 주요 사항으로는 역방향 유해성, 일반열차로의 불편전이, 터널통과시의 소음 등으로서 이는 개통 초기 고속철도에 대한 그릇된 대국민 인식을 가져오게 함과 동시에 향후 개인들간 교통수단 선택에 있어서까지 그릇된 영향을 끼칠 수 있다. 현재 각각의 문제점에 대한 개선방안으로 일반열차 확대 및 할인혜택, 점진적인 순방향 좌석으로서 교체 및 소음 저감방안을 위한 연구 용역 등이 실행되거나 준비되고 있으나 그에 대한 뚜렷한 개선 징후는 아직 미미한 상태로 분석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 아직까지는 고속철도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인 수준을 보이고 있으나 개별 문제점에 대한 좀더 깊은 고찰과 개선안 제시가 이루어진다면 향후 고속철도에 대한 대국민 인식을 한 단계 더 높여, 그 이용을 활성화 시킬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Low field NMR을 이용한 참깨의 원산지 판별 (Discriminating the Geographical Origin of Sesame Seeds by Low Field NMR)

  • 노정혜;이선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1062-1066
    • /
    • 2002
  • 참깨의 원산지를 판별하기 위하여 일반성분 및 low field NMR을 이용하여 relaxation time을 측정하였다. 일반성분으로는 한국산, 중국산 및 수단산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NMR 데이터 중 CPMG를 제외한 나머지 측정항목인 $T_1-IR,\;T_1-SR,\;T_2-SE,\;SFC$는 원산지별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가장 유의적인 차이가 높았던 SFC, IR, SR을 이용하여 정준 판별분석을 시행한 결과 수단산은 100% 판별이 가능하였고, 한국산 및 중국산은 각각 80%, 90%의 정확성을 나타내었으며, 5가지 NMR 측정항목을 모두 사용하여 판별한 결과 한국산, 중국산, 수단산이 각각 95%, 90%, 100%의 원산지 판별이 가능하였다.

응급환자 이송 서비스의 이용 특성과 예측 인자: 한국의료패널 2009년 데이터를 중심으로 (Predictors of Emergency Medical Transports Use Based on 2009 Korea Health Panel)

  • 강경희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8권3호
    • /
    • pp.80-86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한국보건사회연구원과 국민건강보험공단(2013)의 한국의료패널 2009년 데이터를 이용해 응급환자 이송 서비스의 이용과 관련된 사회경제적 임상적 특성을 조사하고, 예측 인자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119 구급차, 민간 구급차 등 응급환자 이송 수단을 이용한 경우가 자가용, 택시, 도보 등 응급환자 이송 수단을 이용하지 않은 경우보다 많았다. 둘째, 개인 및 가구 특성 변수 중 연령, 교육 수준, 세대 구성, 주거 형태, 월 평균 가구 소득, 가구주와의 관계 등에서, 응급 상황 특성 변수 중 의료 보장 형태, 장애 유무, 만성질환 유무, 응급실 방문 이유, 응급실 이용 후 조치 등에서 응급환자 이송 수단을 이용한 경우와 이용하지 않은 경우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셋째, 개인 및 가구 특성 변수 중에서는 연령과 월 평균 가구 소득, 응급 상황 특성 변수 중에서는 장애 유무, 응급실 방문 이유, 응급실 이용 후 조치 등이 응급환자 이송 서비스의 이용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예측 인자로 나타났다. 따라서 병원 전 응급환자 이송 단계에서 응급 처치의 적절성 제고와 함께 응급환자 이송 서비스의 이용 특성과 예측 인자를 감안한 효과적 대응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