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이용 수단

Search Result 3,254,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Development of an Integrated network model for Mode Choice and Trip Assignment (통합교통망 수단선택-통행배정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 김현명;임용택;이승재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17 no.5
    • /
    • pp.87-98
    • /
    • 1999
  • 전통적인 교통계획 과정에서 이용되어 온 수요모형들은 대부분 수단선택과 통행배정을 나누어 실시하는 모형이 주를 이루어 왔다. 그러나 교통수단이 다양해짐에 따라 실제 통행자들은 통행 도중 환승을 통해 수단을 전환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며 이 경우 수단선택 과정과 통행배정 과정을 하나로 통합하여 분석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기종점간 수단 분담율은 기점과 종점에서의 그 값이 다르지만 수단선택과 통행배정이 분리되어 있는 기존 모형을 적용할 경우, 출발과 도착시의 수단 분담율이 동일하게 나타나는 비현실적인 결과를 도출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는 통행수단을 통행의 기본단위로 보고, 수단통행량을 추정하기 때문에 그 수단을 이용하는 통행자들의 행태 대신 수단의 특성만이 모형화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기존의 교통계획 과정에서는 수단분담 과정과 통행배정과정이 분리됨에 따라 수단간 환승이 고려되지 않아 통행자들의 경로 구성과정을 정확히 표현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또, 수단분담 모형으로 가장 많이 이용되는 로짓 모형의 경우 환승을 고려하면 비관련 대안간 독립성문제(CIA)가 발생하고, 환승경로 수요추정이 불가능해 사실상 통합 교통망과 같이 복수 수단이 운행하는 교통망은 분석하기 어렵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사람통행(Person Trip)을 기반으로 하는 수단분담-통행배정 통합모형을 개발하고 기존의 결합모형과 그 결과를 비교하였다.

  • PDF

Identification of Key Factors of Travel Time Budget by Mode in Seoul: Using Seemingly Unrelated Regression Model (서울 거주자의 수단별 이용시간 영향요인 규명: SUR모형을 활용하여)

  • Kim, Su-jae;Lim, Su-yeon;Choi, Sung-taek;Choo, Sang-ho;Ahn, Woo-young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 /
    • v.15 no.3
    • /
    • pp.23-33
    • /
    • 2016
  • This study identified the factors that affect travel time budget by mode for traveler in Seoul using the SUR model. Individual, household and TAZ characteristics were selected as the explanatory variables. Transportation modes are summarized from 18 types to 6 types(walking, personal car, bus, subway, rail and bicycle). The results showed a distinct difference between personal transportation and public transportation. First of all, People who owned a car and driver's licence tend to prefer personal transportation. In addition, we can confirm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us and the subway which are most typical public transportation. Passengers who can available a personal mode preferred the subway than the bus. It is expected to suggest various implications related to the public transportation policy for Seoul metropolitan area.

The Relationships between Land Use Patterns and Mode Choices for Home-Based Work Trips: The Case Seoul metropolitan Region (토지이용패턴과 통행수단선택간의 관계 : 서울의 통근통행수단을 중심으로)

  • 전명진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15 no.3
    • /
    • pp.39-49
    • /
    • 1997
  • 본 연구는 서울대도시권을 대상으로 토지이용패턴과 통행수단선택간의 관계를 경헙적으로 분석하여 수도권 토지이용 및 교통정책에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다중 로짓모형을 이용한 분석에서 직장 및 주거빌도가 높을수록 전철과 버스 등 대중교퉁수단에 대한 의존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장중심지의 경우 버스보다는 자가용이용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고밀도 정책이 반드시 대중교통수단으로의 이동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라는 사실을 경험적으로 입증하고 있다.

  • PDF

A Study on Transfering Demands from Duribal to Taxi Using Ordered Logistic Model (순서형 로짓 모델을 이용한 두리발 이용자의 일반택시로의 수단전환에 관한 연구)

  • Jung, Hun Young;Park, Ki-Ju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31 no.5
    • /
    • pp.79-88
    • /
    • 2013
  • Recently, due to THE MOBILITY ENHANCEMENT FOR THE MOBILITY IMPAIRED ACT, local governments have tired to make various efforts on special transport services(STS), low-flow bus, and installing elevator in subway stations for handicapped people. But in case of STS, insufficient numbers of taxi are raised against the increasing demand of hadicapped people due to the limited budget. This study investigated actual use condition of STS and characteristics of selection of handicapped people on Duribal. In addition, an ordered-logistic model was employed for developing taxi use prediction model considering taxi fare discounts for diverting Duribal demands to taxies. The results can be a significant basic data for transportation policies to improve travel efficiency of the handicapped.

The Transportation Problem in Depopulated Area: A Case Study of Boun County, Chungcheongbuk-do(province) (과소지역의 교통수요와 이용 교통수단의 기능 : 충북 보은군을 사례로)

  • 한주성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35 no.4
    • /
    • pp.529-547
    • /
    • 2000
  • 과소지역 보은군의 목적별 통행이라는 교통수요와 이용 교통수단의 기능을 고찰한 결과 다음과 같은 점이 밝혀졌다. 먼저 보은군 주민은 의무적 통행보다 자유재량 통행의 공간적 범위가 넓고, 교통수단의 선택은 제한성, 편리성, 신속성에 의한다. 또 비벽지지역에서 근무.통근, 고급품 구매, 통원통행은 편리성 때문에 자가용 자동차의 이용이 많고, 통학은 제한성 때문에 비벼지지역이나, 벽지지역 모두 군내버스를 , 벽지지역에서의 고급품 구매는 편리성과 제한성 때문에 자가용 자동차와 시외버스를 많이 이용한다. 그리고 벽지지역의 통원은 공공 교통수단의 제한성에도 불구하고 병.의원이 집중한 상위 중심지를 방문한다.

  • PDF

Development of a Behavioral Mode Choice Model for Road Goods Movement (형태요소를 적용한 화물수송수단 선택 모형의 개발)

  • 최창호
    • Proceedings of the KOR-KST Conference
    • /
    • 1999.03a
    • /
    • pp.95-109
    • /
    • 1999
  • 기존의 추정된 화물 수요모형은 화물의 출하특성과 관련된 설명변수를 중심으로 추정되었으며, 이에 따라 수송수단 선택 과정에서 화주가 느끼는 실제의 인식 상황을 모형내에 적절히 반영하지 못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 연구가 갖는 한계점을 극복하고자 화주가 수송수단을 선택할 때 느끼는 인식상황을 모형 내에 적용시켜 수단 선택 특성을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우리나라의 188개 제조업체에서 화물자동차로 출하한 내수용 화물이며, 연구의 범위도 현실 운송체계 내에서 화주의 수단선택 행태를 설명하는 단기간의 예측으로 제한하였다. 모형추정결과 우리나라의 공로화물수송을 해석하기 위해서는, 출하중량까지를 고려한 다항로짓모형 형태이면서 인식 요소를 행태변수로 추가한 모형을 이용하는 것이 가장 적절하다는 결론을 내렸다. 그리고 이에 따라 주요한 설명 변수들의 탄력성과 화주의 인식 요소에 대한 특성값을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연구결과는 활용성 측면에서 직접 활용이 가능한 것과 잠재적인 변화를 예측하는데 이용되는 것으로 구분된다. 먼저 직접활용이 가능한 것은 수송수단과 관계된 변수들을 해석하여 얻는데, 수송비용과 수송시간에 대한 계수값의 크기와 부호, 그리고 탄력성은 정부의 정책부서나 운송인의 계획수립에 직접 적용된다. 다음으로 화주의 인식 요소는 잠재적인 변화를 예측하는데 이용되며 각 요소가 갖는 탄력성 및 특징은 운송인의 고객관리 기준이된다.

Analysis of Traffic Characteristics for the Transportation Vulnerable (교통약자의 이동수단 이용특성 분석에 관한 연구 - 이동지수 산정 및 적용을 중심으로 -)

  • Jung, Hun Young;Lee, Sang Yong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3 no.1
    • /
    • pp.241-249
    • /
    • 2013
  • Since the enactment of "Mobility Promotion Law for Transportation Vulnerable", each municipality has been various efforts to improve the transportation vulnerable's the right of movement. However, the effectiveness of mobility promotion policy for the transportation vulnerable is awfully inadequate because circumstances which associated with operation of transportation of the handicapped such as local conditions and transport characteristics have not been considered. Thus, in this study investigated traffic characteristics of the transportation vulnerable through the data of regional slope, non-step buses and handicap vehicles operating conditions and so on in Busan Metropolitan. Also, we proposed to introduction of the 'mobility index' which is based on local condition analysis of Busan. And we suggested that how to improve the convenience of transportation vulnerable's movement.

A Comparative Study on the Commuter Mode Choice Behavior between Regions : Case of Seoul and Ilsan New Town (촐근통행 교통수단 선택행태의 지역간 비교연구: -서울과 일산 신도시를 중심으로-)

  • 조중래
    • Proceedings of the KOR-KST Conference
    • /
    • 1998.10a
    • /
    • pp.83-92
    • /
    • 1998
  • 서울과 일산 신도시의 출근통행 교통수단 선택모형을 구축하고, 두 도시간 수단선택행태를 분석.비교하였다. 분석을 위한 자료로는 1996년 서울시에서 수행한 가구통행실태조사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수단선택모형으로는 다항로짓모형을 사용하였다. 두 지역 출근통행 수단선택모형의 모형구조상의 차이 및 모형의 지역간 이전가능성을 분석하였고, 출근통행의 시간가치 및 탄력성을 분석하고 비교하였다. 통계적 검증의 결과 출근통행의 수단선택에 있어서, 모형구조적 측면에서나 선택행태적 측면에서 수단 선택모형의 두 도시간 이전은 불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의 출근통행의 시간가치가 일산보다 전반적으로 큰 것으로 분석되었고, 특히 서울의 경우, 택시이용자의 시간가치가 자가용 이용자의 시간가치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두 도시 모두 통행시간에 대한 탄력성 통행비용에 대한 탄력성보다 전반적으로 크며, 버스와 지하철간의 통행시간에 대한 교차탄력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A Regional Comparative Study on the Commuter Mode Choice Behavior -Case of Seoul and llsan New Town- (출근통행 교통수단 선택행태의 지역간 비교연구 -서울과 일산신도시를 중심으로-)

  • 조중래;김채만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16 no.4
    • /
    • pp.75-88
    • /
    • 1998
  • 서울과 일산 신도시의 출근통행 교통수단 선택모형을 구축하고, 두 도시간 수단선택형태를 분석.비교하였다. 분석을 위한 자료로는 1996년 서울시에서 수행한 가구통행실태조사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수단선택모형으로는 다항로짓모형을 사용하였다. 두 지역 출근통행 수단선택모형의 모형구조상의 차이 및 모형의 지역간 이전가능성을 분석하였고, 출근통행의 시간가치 및 탄력성을 분석하고 비교하였다. 통계적 검증의 결과 출근통행의 수단선택에 있어서, 모형구조적 측면에서나 선택행태적 측면에서 수단선택모형의 두 도시간 이전은 불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의 출근통행의 시간가치가 일산보다 전반적으로 큰 것으로 분석되었고, 특히 서울의 경우, 택시이용자의 시간가치가 자가용 이용자의 시간가치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두 도시 모두 통행시간에 대한 탄력성 통행비용에 대한 탄력성보다 전반적으로 크며, 버스와 지하철간의 통행시간에 대한 교차탄력성이 매유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Inherent Random Heterogeneity Logit Model for Stated Preference Freight Mode Choice (SP 화물수단선택을 위한 Inherent Random Heterogeneity 로짓 모형 연구)

  • KIM, Kang-Soo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0 no.3
    • /
    • pp.83-92
    • /
    • 2002
  • Freight mode choice models are essential to the analysis of many areas of transport research. However, observations of actual market choices have only been made in a limited number of situations. Therefore, stated preference(SP) techniques have emerged as an alternative source of actual market choices to be used for estimating freight mode choice models. Considerable confidence exists about SP data, but little consideration has been given to the potential for estimation bias. This paper has been motivated by the theoretical side of estimating SP discrete choice models, focusing on a case study of freight mode choice. Recently developed simulation methods are used to construct inherent random heterogeneity legit models, which consider individual heterogeneity, its inheritance to the next choices and overcome the independence from irrelevant alternatives (IIA) property. This Paper contributes to the development of models dealing with heterogeneity and its inheritance, and sheds light on the heterogeneity of freight transpo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