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이용자 로그 분석

검색결과 81건 처리시간 0.032초

이용자 참여 로그 기반 도서관 문화프로그램 운영현황 분석: 국립세종도서관 사례를 통해 (An Analysis of Library Culture Program Management based on Users' Participation Logs: A Case Study of National Library of Korea, Sejong)

  • 최두원;강주연;양동민;이현주;오효정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9권1호
    • /
    • pp.293-320
    • /
    • 2018
  • 본 연구는 도서관의 문화프로그램 운영 현황을 살펴보고 개선사항을 제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국립세종도서관 문화프로그램의 이용자 참여 로그를 분석하여 프로그램의 운영과 이에 대한 이용자의 실질적인 참여 현황을 살펴보았다. 이용자 참여 로그의 누적기간은 2015년 3월부터 2017년 12월까지이며, 해당 로그에서 프로그램 정보 722건, 프로그램 참여 정보 24,816건, 이용자 정보 6,729건을 추출 분석하였다. 세부 분석은 프로그램 분석, 이용자 분석, 시계열 분석 등 다각도로 진행되었으며, 분석결과를 토대로 국립세종도서관 문화프로그램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이를 개선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서비스 제공 측면에서 문화프로그램을 분석했던 기존 연구와는 달리 실제 이용자 참여 로그를 활용하여 이용자 측면에서 문화프로그램을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질의 로그 분석을 통한 네이버 이용자의 검색 형태 연구 (Information Seeking Behavior of the NAVER Users via Query Log Analysis)

  • 이준호;박소연;권혁성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27-41
    • /
    • 2003
  • 이용자와 검색 서비스 시스템의 모든 검색 과정을 기록한 질의 로그는 이용자의 실제 검색 행위를 사실적으로 반영한다. 따라서, 웹 검색 이용자들의 검색 행태를 이해하기위하여 웹 검색 서비스 시스템이 생성한 질의 로그를 분석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네이버 이용자의 웹 검색 행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기존의 질의 로그 분석 방법론을 보완하여 제시한다. 또한, 본 연구는 통합 검색, 디텍토리 검색, 웹 문서 검색과 같은 다양한 검색 유형에 대하여 일주일 동안 생성된 질의 로그를 분석함으로써 네이버 웹 검색 이용자들의 전반적인 검색 행태를 파악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보다 효과적인 웹 검색 시스템 개발과 서비스 구축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미지 기반 디지털 도서관에서 이용자 검색 패턴의 효과적 이해를 위한 트랜잭션 로그 데이터 분석 (Using Transaction Logs to Better Understand User Search Session Patterns in an Image-based Digital Library)

  • Han, Hye-Jung;Joo, Soohyung;Wolfram, Dietmar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9-37
    • /
    • 2014
  • 본 연구는 이미지 기반 디지털 도서관의 이용자 검색 패턴을 효과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이용자 검색 로그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기술 통계와 네트워크 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한 달간 수집한 트랜잭션 로그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이용자들이 특정 주제 내에서 검색 결과 보기와 이미지 아이템 평가를 반복적으로 수행하고 있음을 밝혀내었다. 본 연구는 이미지 자료 검색의 로그 분석을 위해 복합적 데이터 분석 방법을 이용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로그데이터를 이용한 디스크립터의 외형적 특성 분석 (Analysis of the Candidate Terms and Structure Using the Log-data)

  • 남영준;이두영
    • 한국정보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관리학회 2004년도 제11회 학술대회 논문집
    • /
    • pp.61-66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시소러스를 구축하기 위해 필요한 디스크립터 수집원으로써 이용자 로그데이터를 분석하여 후보 디스크립터의 외형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분석대상인 이용자 로그데이터는 국내 검색엔진가운데 야후와 라이코스를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결과, 이용자들은 대부분 검색어로써 명사와 복합명사를 사용하였으며, 조사 '의'이외에는 다른 품사로 이루어진 검색어는 거의 존재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검색어로써 이용자들은 고유명사(외국어 포함)를 많이 사용함으로써, 국내외 지침에서 권고하는 고유명사의 최소한 사용지침과 실제 이용자 사이의 이용행태와의 차이를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국내외 시소러스 개발지침을 수용하면서, 이용자 중심의 시소러스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전거어나 유사어 사전을 대등관계와 연동하여 개발하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

  • PDF

웹 검색 분야에서의 로그 분석 방법론의 활용도 (Applications of Transaction Log Analysis for the Web Searching Field)

  • 박소연;이준호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231-242
    • /
    • 2007
  • 웹 검색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는 다양한 연구 방법들 중 로그 분석 방법은 이용자의 실제 검색 행위를 사실적으로 반영한다. 로그 분석을 통하여 대다수 이용자의 전반적인 이용 행태를 분석할 수 있으므로, 로그 분석 방법은 이용자 계층이 다양하고 이질적인 웹 검색 분야의 연구에 적합한 방법이라고 할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네이버의 트랜잭션 로그를 분석한 일련의 연구를 중심으로 로그 분석 방법론이 웽 검색 분야에 어떻게 활용되고 기여할 수 있는지를 파악하고 향후 활용 분야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웹 검색 분야의 학문적 발전과 보다 효율적인 웹 검색 시스템 개발과 서비스 구축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로그분석을 통한 이용자의 웹 문서 검색 행태에 관한 연구 (Investigating Web Search Behavior via Query Log Analysis)

  • 박소연;이준호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111-122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웹 검색 이용자들의 전반적인 검색 행태를 이해하기 위하여 국내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웹 검색 서비스 네이버에서 생성된 검색 트랜잭션 로그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웹 검색 트랜잭션 로그 분석에 필요한 세션 정의 방법을 설명하고 로그 정제 및 질의 유형 분류방법을 제시하였으며, 한글 검색 트랜잭션 로그 분석에 필수절인 검색어 정의 방법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보다 효과적인 국내 웹 검색 시스템 개발과 서비스 구축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국가기록원 질의로그 빅데이터 기반 이용자 정보요구 유형 분석 (User Information Needs Analysis based on Query Log Big Data of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

  • 백지연;오효정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183-205
    • /
    • 2019
  • 이용자의 정보요구를 파악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 중 로그 분석 방법은 이용자의 실제 검색 행위를 사실적으로 반영하고, 대다수 이용자의 전반적인 이용행태를 분석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가기록원 웹 포털서비스를 통해 입수된 대량의 질의로그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이용자의 정보요구를 파악하기 위해 1) 질의에 내포된 정보요구 유형별과 2) 검색결과로 제공한 기록 유형별 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에 활용한 질의로그는 국가기록원이 웹을 통해 검색서비스를 제공한 2007년부터 2018년 12월까지, 총 141개월 동안 수집된 월별 상위 100개 질의어 1,571,547개를 대상으로 하였다. 나아가 분석결과를 토대로 이용자 검색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국가기록원 검색 서비스 개선 및 고도화를 위한 구체적이고 실질적 방안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빅데이터 로그 기반 도서관 이용자 및 대출 현황 분석 - 국립세종도서관을 중심으로 - (An Analysis of Library User and Circulation Status based on Bigdata Logs A Case Study of National Library of Korea, Sejong)

  • 김태영;백지연;오효정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357-388
    • /
    • 2018
  • 본 연구는 빅데이터 로그를 기반으로 도서관 이용자 및 대출 현황을 분석함으로써 이용자 그룹별특성을 파악하고 궁극적으로는 도서관의 효율적인 운영 방안을 제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분석 대상 로그는 국립세종도서관에 등록된 이용자 정보, 대출 정보, 서비스 이용 정보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중 이용자 관련 정보로는 연령 정보 107,369건, 성별 정보 106,918건, 거주지 정보 106,838건이 활용되었다. 대출 관련 정보로는 대출 이용자 정보 536,083건, 대출 횟수 정보 6,509,369건이, 서비스 이용 정보로는 82,813건이 활용되었다. 이용자 그룹별특성 분석은 연령별, 성별, 거주지별 이용자 현황 분석 및 연도별, 월별, 요일별 대출 현황 분석 등 다각도로 진행되었다. 뿐만 아니라 이용 현황 결과의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FGI 및 외부 데이터와의 연계 분석도 수행하였다. 이를 토대로 향후 국립세종도서관 운영 시 효율적인 의사결정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개선 방안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분석 데이터가 적은 기존 연구와는 달리 실제 도서관 운영 시 발생한 빅데이터 로그를 기반으로 이용자 및 대출 현황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클릭 로그에 근거한 네이버 검색 질의의 형태 및 주제 분석 (An Analysis of Query Types and Topics Submitted to Navel)

  • 박소연;이준호;김지승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265-278
    • /
    • 2005
  • 웹 검색 분야의 대부분의 선행 연구들은 검색 질의를 살펴본 연구자의 판단에 근거하여 질의의 주제를 분석하였다. 그러나 웹 검색 질의의 주제 분야가 방대하고 다양하여서 이용자가 검색 결과에서 실제로 조회한 문서를 모르는 상태에서 연구자의 판단에 근거하여 질의의 주제를 분류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1년 동안 네이버 이용자들이 입력한 질의를 기록한 질의로그와 질의에 대한 검색 결과에서 이용자가 조회한 문서를 기록한 클릭 로그에 근거하여 국내 웹 검색 질의의 형태 및 주제를 분석하였다. 질의를 형태별로 분류한 결과 사이트 검색 질의가 내용 검색 질의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용자들이 전반적으로 가장 많이 검색한 주제는 컴퓨터/인터넷. 엔터테인먼트, 쇼핑, 게임. 교육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인터넷 포탈 업체들의 효과적인 컨텐츠 구축 및 효율적인 검색 시스템 개발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로그 분석을 통한 네이버 이용자의 디렉토리 접근 행태에 관한 연구 (Directory Access Behavior of the NAVER users via Log Analysis)

  • 배희진;이준호;박소연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1-17
    • /
    • 2004
  • 대다수의 웹 검색 포탈들은 인터넷 상의 정보들을 주제별로 분류한 디렉토리 서비스를 제공하며, 이러한 디렉토리들에 대한 접근 과정을 기록한 로그는 이용자의 실제 디렉토리 접근 행위를 사실적으로 반영한다. 본 연구는 디렉토리 서비스 이용자들의 다양한 디렉토리 접근 행태를 파악하기 위해 네이버에서 생성된 디렉토리 접근 로그들을 분석하였다. "세션"을 한 명의 이용자가 단일한 정보 요구를 지니고 디렉토리들을 접근한 일련의 과정으로 정의한 후, 본 연구에서는 전체 세션들을 정보 획득까지의 경로에 따라 여섯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는 방법론을 개발하였다. 또한 세션 유형별 디렉토리 접근 빈도, 세션 내 항해 길이, 세션 내 주제에 대한 분석 결과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보다 효과적인 디렉토리 서비스 구축을 위한 근거로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것으로 기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