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이온 전극

Search Result 874,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A STUDY ON THE CHANGE OF SALIVARY FLUORIDE CONCENTRATION WITH TIME AFTER VARIOUS TOPICAL FLUORIDE TREATMENTS (각종 불소처치 이후 시간변화에 따른 타액내 불소농도 변화에 관한 연구)

  • Park, Soo-Jin;Kim, Hyung-Doo;Kim, Chong-Chul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Pediatric Dentistry
    • /
    • v.26 no.2
    • /
    • pp.262-274
    • /
    • 1999
  • Several alternatives for increasing the fluoride concentration in the mouth, such as water fluoridation, ingestion of fluoride supplements, fluoride paste, fluoride mouthrinse, application of fluoride gel are available. There is an impressive body of evidence that the topically deliverd fluorides are clinically effective in inhibiting the progression of dental caries. Recent studies on the cariostatic action of fluoride have indicated the importance of fluoride in the fluid environment of the teeth. The fluoride levels in unstimulated whole saliva can be considered indicative of F in the aqueous phase available for interaction with the tooth surface at a given time. The retention of F in the mouth after topical fluoride treatment is considered to be an important factor in the clinical efficacy of F.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levation and clearance of fluoride in whole saliv after the following topical flouride treatments using HMDS-diffusion technique and fluoride ion electrode.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 1. Average salivary fluoride concentration in the unstimulated whole saliva was $0.0152ppm{\pm}0.0091ppm$. Unstimulated salivary flow rate was between 0.34-0.36ml/min and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groups(p>0.05). 2. Except for the immediate time after treatment, fluoride levels followed as APF gel>neutral gel>F-rinse>F-paste.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the salivary F concentration of F-paste group and that of control group after 2 hours. In case of F-rinse group, after 3 hours the concentration had dropped to baseline value. But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F concentraion of F gel groups and that of control group(p<0.05). 3. The mean $AUC_{0-120min}$ values were followed as neutral gel>APF gel>F-rinse>F-paste, and the values of the two former group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two latter groups(p<0.05).

  • PDF

Effect of Prenatal Fluoride on Bone Compositions of Rat (태생 전 불소투여로 인한 태생직후 백서 골조성 변화)

  • Kim, Hye-Young;Kwun, Hyun-Sook;Song, Keun-Bae;Hong, Suk-Ji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 /
    • v.2 no.2
    • /
    • pp.175-186
    • /
    • 2002
  • Fluoride has been one of the most widely studied caries-preventive agents. But the effect of prenatal administration had been controversies for many years.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no influence on reproductive rate of rats with administration of fluoride from 0 to 20 ppm during pregnancy(p>0.05). There was a trend towards slightly increased the mean ash weight in the 1, 5 and 20 ppm groups, as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groups (p>0.05). The contents of calcium, magnesium and phosphorus in the total bone were increased with the administrated fluoride concentration were increased, but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groups(p>0.05). The mean fluoride level of 1 ppm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control group, but the concentrations of fluoride in total carcass pups of 5 and 20 ppm groups were significantly less than that of 1 ppm group(p>0.05).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amount of fluoride transferred to the offspring, which may produce anticariogenic effects in the primary teeth of their effects in the primary teeth of their offspring.

  • PDF

Properties of the interfacial oxide and high-k dielectrics in $HfO_2/Si$ system ($HfO_2/Si$시스템의 계면산화막 및 고유전박막의 특성연구)

  • 남서은;남석우;유정호;고대홍
    • Proceedings of the Korea Crystallographic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2.11a
    • /
    • pp.45-47
    • /
    • 2002
  • 반도체 소자의 고집적화 및 고속화가 요구됨에 따라 MOSFET 구조의 게이트 절연막으로 사용되고 있는 SiO₂ 박막의 두께를 감소시키려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0.1㎛ 이하의 소자를 위해서는 15Å 이하의 두께를 갖는 SiO₂가 요구된다. 하지만 두께감소는 절연체의 두께와 지수적인 관계가 있는 누설전류를 증가시킨다[1-3]. 따라서 같은 게이트 개패시턴스를 유지하면서 누설전류를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높은 유전상수를 갖는 두꺼운 박막이 요구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약 25정도의 높은 유전상수를 갖고 5.2~7.8 eV 정도의 비교적 높은 bandgap을 갖으며, 실리콘과 열역학적으로 안정한 물질로 알려진 HfO2[4-5]가 최근 큰 관심을 끌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HfO₂ 박막을 실제 소자에 적용하기 위하여 전극 및 열처리에 따른 HfO₂ 박막의 미세구조 및 전기적 특성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HfO₂ 박막을 reactive DC magnetron sputtering 방법으로 증착하고, XRD, TEM, XPS를 사용하여 ZrO₂ 박막의 미세구조를 관찰하였으며, MOS 캐패시터 구조의 C-V 및 I-V 특성을 측정하여 HfO₂ 박막의 전기적 특성을 관찰하였다. HfO₂ 타겟을 스퍼터링하면 Ar 스퍼터링에 의해 에너지를 가진 산소가 기판에 스퍼터링되어 Si 기판과 반응하기 때문에 HfO₂ 박막 형성과 더불어 Si 기판이 산화된다[6]. 그래서 HfO₂같은 금속 산화물 타겟 대신에 순수 금속인 Hf 타겟을 사용하고 반응성 기체로 O₂를 유입시켜 타겟이나 시편위에서 high-k 산화물을 만들면 SiO/sub X/ 계면층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저유전율을 갖는 계면층은 증착과 열처리 과정에서 형성되고 특히 500℃ 이상에서 high-k/Si를 열처리하면 계면 SiO₂층은 증가하는 데, 이것은 산소가 HfO₂의 high-k 박막층을 뚫고 확산하여 Si 기판을 급속히 산화시키기 때문이다. 본 방법은 증착에 앞서 Si 표면을 희석된 HF를 이용해 자연 산화막과 오염원을 제거한 후 Hf 금속층과 HfO₂ 박막을 직류 스퍼터링으로 증착하였다. 우선 Hf 긍속층이 Ar 가스 만의 분위기에서 증착되고 난 후 공기중에 노출되지 않고 연속으로 Ar/O₂ 가스 혼합 분위기에서 반응 스퍼터링 방법으로 HfO₂를 형성하였다. 일반적으로 Si 기판의 표면 위에 자연적으로 생기는 비정질 자연 산화막의 두께는 10~15Å이다. 그러나 Hf을 증착한 후 단면 TEM으로 HfO₂/Si 계면을 관찰하면 자연 산화막이 Hf 환원으로 제거되기 때문에 비정질 SiO₂ 층은 관찰되지 않았다. 본 실험에서는 HfO2의 두께를 고정하고 Hf층의 두께를 변수로 한 게이트 stack의 물리적 특성을 살펴보았다. 선증착되는 Hf 금속층을 0, 10, 25Å의 두께 (TEM 기준으로 한 실제 물리적 두께) 로 증착시키고 미세구조를 관찰하였다. Fig. 1(a)에서 볼 수 있듯이 Hf 금속층의 두께가 0Å일때 13Å의 HfO₂를 반응성 스퍼터링 방법으로 증착하면 HfO₂와 Si 기판 사이에는 25Å의 계면층이 생기며, 이것은 Ar/O₂의 혼합 분위기에서의 스퍼터링으로 인한 Si-rich 산화막 또는 SiO₂ 박막일 것이다. Hf 금속층의 두께를 증가시키면 계면층의 성장은 억제되는데 25Å의 Hf 금속을 증착시키면 HfO₂ 계면층은 10Å미만으로 관찰된다. 그러므로 Hf 금속층이 충분히 얇으면 플라즈마내 산소 라디칼, 이온, 그리고 분자가 HfO₂ 층을 뚫고 Si 기판으로 확산되어 SiO₂의 계면층을 성장시키고 Hf 금속층이 두꺼우면 SiO/sub X/ 계면층을 환원시키면서 Si 기판으로의 산소의 확산은 막기 때문에 계면층의 성장은 억제된다. 따라서 HfO₂/Hf(Variable)/Si 계에서 HfO₂ 박막이 Si 기판위에 직접 증착되면, 순수 HfO₂ 박막의 두께보다 높은 CET값을 보이고 Hf 금속층의 두께를 증가시키면 CET는 급격하게 감소한다. 그러므로 HfO₂/Hf 박막의 유효 유전율은 단순 반응성 스퍼터링에 의해 형성된 HfO₂ 박막의 유전율보다 크다. Fig. 2에서 볼 수 있듯이 Hf 금속층이 너무 얇으면 계면층의 두께가 두꺼워 지고 Hf 금속층이 두꺼우면 HfO₂층의 물리적 두께가 두꺼워지므로 CET나 EOT 곡선은 U자 형태를 그린다. Fig. 3에서 Hf 10초 (THf=25Å) 에서 정전 용량이 최대가 되고 CET가 20Å 이상일 때는 high-k 두께를 제어해야 하지만 20Å 미만의 두께를 유지하려면 계면층의 두께를 제어해야 한다.

  • PDF

Study on LiFePO4 Composite Cathode Materials to Enhance Thermal Stability of Hybrid Capacitor (하이브리드 커패시터의 열안정성 개선을 위한 LiFePO4 복합양극 소재에 관한 연구)

  • Kwon, Tae-Soon;Park, Ji-Hyun;Kang, Seok-Won;Jeong, Rag-Gyo;Han, Sang-Jin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v.55 no.2
    • /
    • pp.242-246
    • /
    • 2017
  • The application of composite cathode materials including $LiFePO_4$ (lithium iron phosphate) of olivine crystal structure, which has high thermal stability, were investigated as alternatives for hybrid battery-capacitors with a $LiMn_2O_4$ (spinel crystal structure) cathode, which exhibits decreased performance at high temperatures due to Mn-dissolution. However, these composite cathode materials have been shown to have a reduction in capacity by conducting life cycle experiments in which a $LiFePO_4$/activated carbon cell was charged and discharged between 1.0 V and 2.3 V at two temperatures, $25^{\circ}C$ and $60^{\circ}C$, which caused a degradation of the anode due to the lowered voltage in the anode. To avoid the degradation of the anode, composite cathodes of $LiFePO_4/LiMn_2O_4$ (50:50 wt%), $LiFePO_4$/activated carbon (50:50 wt%) and $LiNi_{1/3}Co_{1/3}Mn_{1/3}O_2$ (50:50 wt%) were prepared and the life cycle experiments were conducted on these cells. The composite cathode including $LiNi_{1/3}Co_{1/3}Mn_{1/3}O_2$ of layered crystal structure showed stable voltage behavior. The discharge capacity retention ratio of $LiNi_{1/3}Co_{1/3}Mn_{1/3}O_2$ was about twice as high as that of a $LiFePO_4/LiMn_2O_4$ cell at thermal stability experiment for a duration of 1,000 hours charged at 2.3 V and a temperature of $80^{\circ}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