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이온 전극

Search Result 874,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Measurement of Ionization rate in Ne-Xe Mixture Gas and Ne Gas in AC-PDP

  • 조대식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1999.07a
    • /
    • pp.238-238
    • /
    • 1999
  • 현대 AC-PDP(Plasma Display Panel)의 유지전극 구조는 공면 전극구조를 가지고 있다. 공면 전극구조하에서 Ne-Xe 혼합가스에 대한 이온화율 측정을 시도하였다. 일정한 전극 간격을 가지고 있는 공면 전극 구조에서 암전류와 방전류를 측정함으로써 이온화율을 측정하였다. 본 실험의 결과를 통하여 압력으로 규격화된 전기장에 대하여 압력으로 규격화된 이온화율을 나타낼 수 있으며 단일 가스에 대한 이온화율과 혼합값에 대한 이온화율을 비교할 수 있으며 실제 PDP구조하에서의 이온화율을 적용할 수 있다.

  • PDF

ICP소스를 이용한 FIB용 가스 이온원 개발

  • Lee, Seung-Hun;Yun, Seong-Hwan;Gang, Jae-Uk;Kim, Do-Geun;Kim, Jong-Guk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0.02a
    • /
    • pp.99-99
    • /
    • 2010
  • 최근 집속이온빔을 이용한 미세회로 교정, MEMS 공정 및 이온 도핑 등에 대한 연구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기존에 널리 사용되었던 액체 금속 이온 소스의 경우 비교적 큰 angular divergence 및 Ga 이온 소스에 의한 오염이 문제시 되고 있어 이를 대체할 수 있는 가스 이온 소스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가스 이온 소스는 2 turn 안테나(1/4 inch Cu tube)가 감긴 반경 4 cm 석영관 내부에 Ar 가스를 주입 후 RF(13.56MHz)-ICP 타입 방전을 이용하였다. 운전 압력은 $10^{-5}\;Torr$ 범위이며 인가된 RF 전력은 최대 150 W이다. 석영관 내 발생된 플라즈마로부터 Ar 이온을 인출하기 위해 2단 인출 전극 구조가 사용되었으며 상단 전극에 고전압이 인가되고 하단 전극이 접지되는 형태이다. 2단 인출 전극의 최대 인출 전압은 10 kV, 상단 및 하단 전극의 구멍 크기는 각각 0.3 mm, 2 mm이다. 이온빔의 퍼짐을 최소화하기 위해 전극 간 공간 내 이온 거동 전산모사를 통해 전극 구조를 설계하였으며 이를 통해 최대 $30\;mA/cm^2$의 이온 전류 밀도 값을 얻을 수 있었다.

  • PDF

Study on PVC Mixed Silver Iodide Membrane Electrode (PVC 를 섞은 요오드화은 막전극에 관한 연구)

  • Kwon Young-Soon;Kim Jung-Hee;Park Kee-Chae
    •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v.20 no.6
    • /
    • pp.486-493
    • /
    • 1976
  • The PVC mixed silver iodide pellet was prepared by means of the Infrared Pellet presser and the pellet was used as an indicating membrane electrode, to measure the potentials for various silver ion activities, ranging from $10^{-1}$ to $10^{-6}$ M. The potential responses to silver ion activities were linear and the slope was much close to Nernstian relation as compared with that of the pure silver iodide pellet membrane electrode and the PVC coated silver iodide pellet membrane electrode. The mechanical property and chemical durability of this electrode were found much better than the others. This electrode did not show significant response to the other except silver ion, but had good response to halide ions, i.e., iodide, chloride, bromide and cyanide ions, in the concentration range $10^{-1}$ to $10^{-6}$ M. This electrode could be used as an indicating electrode in potentiometric titrations of single halide ion and also halide mixture with standard solution of silver nitrate.

  • PDF

고밀도 플라즈마 응용 고효율 스퍼터링 증착 공정 개발

  • Kim, Jong-Guk;Lee, Seung-Hun;Kim, Chang-Su;Gang, Jae-Uk;Kim, Do-Geun
    • Proceedings of the Materials Research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1.05a
    • /
    • pp.56.1-56.1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90% 이상의 스퍼터링 전극 사용이 가능한 새로운 방식의 스퍼터링 증착 기술을 개발하였다. 본 장치는 기존의 마그네트론 스퍼터링법과 달리 플라즈마 발생부와 스퍼터링 전극이 따로 존재하며, 플라즈마 발생부에서 생성된 이온을 통해 전극 스퍼터링을 일으킨다. 플라즈마 발생부에서 생성된 $10^{13}cm^{-3}$ 이상의 고밀도 Ar 플라즈마는 전자석 코일을 통해 형성된 자기장을 따라 스퍼터링 전극으로 균일하게 수송되며, 스퍼터링 전극 전압에 의해 가속된 이온은 전극 대부분 영역에서 스퍼터링을 발생시킨다. 스퍼터링 전류는 플라즈마 발생부의 전력에만 비례하며 직경 100 mm 스퍼터링 전극 사용시 최대 3.8 A의 이온 전류 값을 나타냈다. 따라서 스퍼터링 전압과 전류의 독립적인 제어가 가능하며 일정한 스퍼터링 전류 조건에서 300 V 이하의 저전압 스퍼터링 공정 및 1 kV 이상의 고전압 스퍼터링 공정이 가능하였다. 이를 통해 스퍼터링된 이온 및 중성입자의 에너지 조절이 가능하며, 다양한 증착공정 분야에 응용 가능하다.

  • PDF

Effect of Nation binder with different equivalent weight on cell performance (이온당량(EW)이 다른 Nafion binder가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의 성능에 미치는 영향)

  • Kim, Kun-Ho;Kim, Hyoung-Juhn;Lim, Tae-Hoon;Lee, Kwan-Young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11a
    • /
    • pp.129-132
    • /
    • 2007
  •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의 성능에 영향을 주는 많은 인자들 중에서도 촉매층의 조성과 구조의 최적화는 성능변화에 큰 요인으로 작용 된다. 촉매층내 반응 활성점인 삼상계면을 형성시키기 위해 함침하는 Nafion binder를 anode와 cathode의 두 전극에 이온당량(Equivalent weight, EW)이 동일하게 함침시켜 그 성능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를 토대로 anode와 cathode에 이온당량을 각기 다르게 하여 각각의 전극마다 이온당량이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Anode와 cathode의 이온당량을 동일하게 EW1100, EW1000, EW900으로 변화 시켜주었을 경우 이온당량의 물성치가 상대적으로 향상된 EW900의 단위 전지 성능이 가장 우수하였으며, 이온당량이 EW900이었을 때 최적의 Nafion binder 함침량은 EW1100의 Nafion binder 함침량과 동일하였다. Anode와 cathode에 함침하는 Nafion binder의 이온당량을 각각 EW1100과 EW900, EW900과 EW1100으로 MEA를 제조하여 전극에 따라 이용당량이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 PDF

Effect of Protection Circuit Module for Li-Secondary Battery on Electrolyte Leakage (전해액 누액에 의한 리튬이차전지 보호회로의 영향)

  • Nam, Jong-ha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6.07a
    • /
    • pp.413-414
    • /
    • 2016
  • 리튬이차전지는 양극과 음극이 충전과 방전을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전극 내에서의 이온의 삽입 및 탈리가 용이하고 이들 과정이 진행되는 동안 전극의 구조가 안정하게 유지되어야 하는 전해질은 이온의 전달을 용이하게 하여야 한다. 전지에서 전극 내로 삽입되는 이온은 집전체를 통해 전극으로 들어온 전자와 전하중성을 이루어 전극 내에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는 매개체가 된다. 리튬이차전지에서 전해액은 유기 전해액이 사용되고 있으며, 유기용매에 이온원으로서 용질인 리튬염을 용해시킨 것이지만 폭 넓은 환경조건하에서도 이온의 이동을 계속적으로 원활하게 하여 실용전지로서 충분한 역할을 하도록 만드는 중요한 재료이다. 본 논문에서는 전지에서 유기 전해액의 누액이 발생시 보호회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 PDF

Nitrate Ion-Selective Membrane Electrode Based on Complex of (Bakelite-A)-(2,2'-Bipyridine)-Ni(Ⅱ) Nitrate ((Bakelite-A)-(2,2'-Bipyridine)-Ni(Ⅱ) 착물의 질산이온 선택성 막전극)

  • Doo-Soon Shin;Chung Ki-Won
    •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v.36 no.3
    • /
    • pp.383-392
    • /
    • 1992
  • (Bakelite-A)-(2,2'-Bipyridine)-Ni(Ⅱ) Nitrate complexes were tested as ion exchanger for nitrate ion-selective electrode. The experimentally observed selectivity and electrode characteristics were relatively in good agreement with the exchanger lipophilicity in the membrane phase. Based on chemical composition, mechanisms for exchange with nitrate ion and internal electrical conduction were postulated. Analytical application to the determination of nitrate were studied.

  • PDF

Silicone Rubber Membrane-Based Chloride Ion-Selective Electrode (실리콘러버-지지체 염화이온선택성 막전극)

  • Sakong, Dong-Sik;Kim, Jin-Mog;Cha, Jin-Mog
    •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v.41 no.12
    • /
    • pp.653-660
    • /
    • 1997
  • Silicone rubber-matrix membranes doped with tetradecyltrimethylammonium chloride (TDTMACl) are used to enhance electrode performance for chloride measurements in physiological samples. The optimized membrane formulation incorporates 95.4 wt% silicone rubber and 4.6 wt% TDTMACl, and its pH response is negligible in the range of pH 6-10. The TDTMACl-doped silicone rubber membrane exhibits sub-Nernstian response to chloride from 10 to 300 mM (-37.5 mV/decade), but its selectivities for chloride over other anions are remarkably enhanced: KpotCl,NO3=1.3, KpotCl,I=2.0, KpotCl,Sal=0.8, KpotCl,SCN=2.0 and KpotCl,ClO4=0.8. Furthermore, since the silicone rubber-matrix membrane exhibits better adhesion to the solid surface than do PVC membranes, the lifetime of the coated-wire type membrane electrode is greatly improved. The response properties toward chloride and salicylate for solid-state sensor are not significantly changed after at least 35 days of use.

  • PDF

Detection of chlorine in tap water using a metal gold electrode (금속 Au 전극을 이용한 먹는 물 속 염소 이온 검출)

  • Ly, Suw-Young;Choa, Sung-Hoon
    • Analytical Science and Technology
    • /
    • v.24 no.3
    • /
    • pp.219-224
    • /
    • 2011
  • Voltammetric analysis of Cl(I) ion was performed using a metal gold (Au) electrode (AE) and a carbon nanotube electrode (CNTE). After the examination, the AE was found to have more sensitively detected Cl(I) than CNTE. The optimum analytical conditions for the cyclic voltammetry (CV) and the square wave (SW) stripping voltammetry were performed using AE. The detection limit of $6.5\;{\mu}g/L$ Cl(I) was attained. The developed techniques were compared with the common Cl meter and applied to water systems.

Characterization of Cold Hollow Cathode Ion Source by Modification of Electrode Structure (전극 구조 변화에 따른 Cold Hollow Cathode Ion Source의 특성 변화)

  • Seok, Jin-Woo;Chernysh, V.S.;Han, Sung;Beag, Young-Hwoan;Koh, Seok-Keun;Yoon, Ki-Hyun
    • Journal of the Korean Ceramic Society
    • /
    • v.40 no.10
    • /
    • pp.967-972
    • /
    • 2003
  • The inner-diameter 5 cm cold hollow cathode ion source was designed for the high current density and the homogeneous beam profile of ion beam. The ion source consisted of a cylindrical cathode, a generation part of magnetic field, a plasma chamber, convex type ion optic system with two grid electrode, and DC power supply system. The cold hollow cathode ion sources were classified into standard type (I), electron output electrode modified type (II). The operation of the ion source was done with discharge current, ion beam potential and argon gas flow rate. The modification of electron output electrode resulted in uniform plasma generation and uniform area of ion beam was extended from 5 cm to 20 cm. Improved ion source was evaluated with beam uniformity, ion current, team extraction efficiency, and ionization efficienc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