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이앙기

Search Result 94, Processing Time 0.054 seconds

Analysis of paddy rice water demand depending on transplant period and ponding depth (이앙기 및 담수심 변화에 따른 논벼 수요량 분석)

  • Cho, Gun Ho;Choi, Kyung So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488-488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논벼 이앙일수와 담수심의 변화가 논벼 수요량 산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 보았다. 한국농어촌공사 관할지구인 금사, 중흥, 창평, 구성 지구를 대상으로 하여 2013년부터 2019년 기상자료를 활용하여 산정하였다. 이앙일수는 기존의 농업생산기반설계기준에서 제시한 일수 20일과 전국쌀전업농중앙연합회 소속 농업인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를 기반으로 다양한 이앙기간을 적용하였다. 또한 담수심은 최소 0mm, 최대 100mm 범위에서 다양하게 적용해 보았다. 그 결과, 이앙기간이 길어질수록 이앙용수량이 증가하고, 궁극적으로 필지용수량과 논벼 수요량을 증가시켰다. 기존 설계기준인 20일의 이앙일수를 적용한 경우에 비해 이앙일수를 최대 51일 적용할 경우 필지용수량은 평균적으로 16.6 %, 논벼 수요량은 평균적으로 12.9 % 증가를 보였다. 이앙시기를 다르게 한 논벼 수요량과 현장의 농업용수 공급량을 비교 할 경우, 51일의 이앙기간을 적용한 논벼 수요량이 공급량과 가장 적은 차이를 나타내어, 이앙기간 51일이 실제 현장 여건을 가장 잘 반영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담수심과 논벼 수요량과의 관계에서는 최소 담수심 증가는 수요량의 증가를 야기하였으며, 최대 담수심 증가는 수요량의 감소를 야기하였다. 통상적으로 필지에서 최소 담수심일 때 수요량이 발생하고, 최대 담수심일 때 유출량이 발생하는데, 논벼 생육기간동안 일별 담수심의 변화가 최소 담수심에 도달하여 수요량이 발생하는 일수가 최대 담수심에 도달하여 유출량이 발생하는 일수 보다 많기 때문에 발생된 결과로 사료된다. 따라서 논벼 생육기간 수요량이 크게 산정된 연도 일수록, 최소 담수심 변화가 수요량에 미치는 영향이 크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이앙일수의 경우 농업현장을 기준으로 볼 때 기존 설계기준에서 제시하는 논벼 수요량은 실제로 소모되는 필요수량보다 작게 산정되는 것으로 파악되어 이앙일수를 현장여건에 부합되게 더 연장하여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며, 담수심의 경우 기존의 설계기준보다 최소 담수심은 낮게, 최대 담수심은 높게 적용하는 것이 유효우량 산정에 적합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논벼 수요량 산정 결과의 신뢰도 향상을 위해 이앙시기, 담수심 조정 외에도 수로손실 및 침투인자 등에 대한 현장여건 반영도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Sensitivity evaluation of rice by salting water irrigation in different rice growth stages (벼 생육시기별 염수관개에 따른 벼 작물의 민감도 평가)

  • Choi, Sunhwa;Choi, Kwa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178-178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벼 생육시기별로 염수 관개가 벼 작물에 미치는 생육 영향정도(민감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벼 재배실험(포트실험)을 수행하였다. 벼 재배실험은 일반 논토양(삼광벼)과 간척 논토양(신동진벼)을 대상으로 하였고, 벼 생육시기는 이앙기~활착기, 활착기~유수형성기, 유수형성기~수잉기, 수잉기~출수기, 등숙기의 5단계로 구분하였다. 벼 재배는 3반복 실험을 위해 총 126개의 포트(Φ215×Φ170×210mm(H))를 조성하여 5월 20일에 1주 3본으로 이앙을 하였다. 물 관개방식은 생육시기별로 염도를 1,000, 1,500, 2,000, 2,500 ppm으로 조절한 각각의 염수를 관개하고, 그 이외의 기간에는 담수(지하수)를 관개하였다. 벼 생육시기별로 염수 관개에 의한 벼 생육에 대한 민감도를 평가하고자 벼의 초장, 분얼수, 수확량을 조사하였다. 간척 논토양에서 초장, 분얼수는 생육초기인 이앙기의 염수에 의해 가장 민감하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고, 수확량은 이앙기, 분얼기, 유수형성기 순으로 민감하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 논토양에서는 초장, 분얼수는 생육시기에 따른 염수관개에 의한 영향이 크지 않았으며, 수확량은 염분농도에 관계없이 이앙기, 분얼기, 유수형성기 순으로 염수에 의해 민감하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다수의 선행연구(Hassen Ebrahimi 등, 2011)의 벼 생육기인 분얼기, 유수형성기의 염수 관개가 수확량에 가장 많은 영향을 받는 결과와 일치하였다. 일반 논토양과 간척 논토양 모두 이앙기, 분얼기, 유수형성기 순으로 염수 관개에 민감한 영향을 나타내고 있으며, 특히 염분 배경농도가 높은 간척토양은 저농도의 염수에서도 민감한 반응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벼 생육초기의 관개용수 염도관리는 매우 중요하다고 판단된다.

  • PDF

An Analysis of Demand Variation for Paddy field Water by Applying Penmna-Monetith (Penman-Monteith 기법을 적용한 논벼 수요량 변화 분석)

  • Cho, Gun Ho;Choi, Kyung So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125-125
    • /
    • 2019
  • 현재 국내 논벼 수요량 산정방법은 수정 Penman방식에 의한 증발산량을 계산하여 구하고 있다. 증발산량 산정은 여러 가지 방식에 의해 산정될 수 있으나, 유엔의 식량농업기구 (FAO,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에서는 작물 수요량 산정에 수정 Penman 공식을 사용할 경우 증발산량이 과다산정 되는 점을 지적하여, 건조 및 습윤 기후에서 비교적 정확하고 일정한 경향을 나타내는 Penman-Monteith(P-M)공식을 사용하도록 추천하였다. 이에 따라 국내 기상청 및 농촌진흥청에서도 증발산량 산정에 P-M공식을 적용하기 시작했으며, 이와 더불어 농촌진흥청에서는 P-M 추정법에 따른 벼를 포함한 주요 작물의 생육단계별 작물계수(Kc)를 제안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논용수 공급지구 8곳을 선정하여 대상지구별로 기존의 수정 Penman 방식과 P-M 방식을 적용한 경우의 증발산량 차이와 이에 따른 논벼 수요량 변화를 분석해 보았다. 그 결과, 수정 Penman 공식을 적용한 경우에 비해 P-M공식을 적용한 경우 증발산량이 모두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증발산량 산정방법 변화에 따른 대상지구별로 증발산량 결과값의 변화는 모두 비슷하게 나타났다. P-M방식을 적용했을 경우 잠재증발산량은 11.1%~14.9%(평균 12%)로 감소하였으며, 작물계수를 적용한 실제증발산량의 경우에도 3.8~5.1%(평균 4.6%)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에 따른 논벼 수요량의 변화도 실제증발산량의 변화와 비슷한 감소 경향을 보였다. 다음으로 P-M방식을 채택한 경우의 논벼 수요량의 생육시기별 변화를 조사해 본 결과, 이앙기 수요량은 2.1%~6.3% (평균 4.4%)로 증가하다가, 본답기에는 수요량이 5.1%~11.3%(평균 8.4%)로 감소하였다. 전반적인 증발산량은 본답기 수요량 감소분이 이앙기 수요량 증가분보다 더 크기 때문에 감소경향을 나타낸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이앙기 수요량과 본답기 수요량의 증감의 경향이 다르게 나타난 것은 증발산량 산정방식의 변화에 따른 생육시기별 작물계수의 차이로 인한 변화로 파악되었다. 논벼 수요량은 농업용수 공급계획 수립의 주요기준이 되는 인자이므로, P-M방식 적용에 따른 논벼 수요량의 산정결과에 대해 보다 면밀한 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Effect Analysis of the Factors Affacting Yield and Its Components in Rice (수도의 수량 및 수량구성요소에 관여하는 주요 요인의 효과분석)

  • Hahn, Weon-Sik;Chae, Yeong-Am
    •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 /
    • v.28 no.3
    • /
    • pp.291-298
    • /
    • 1983
  • The effects of various factors affacting yield and its components in rice were estimated by analzing the yield forcasting trial data from 1966 to 1979. The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1. The year effects was increased by 3.46kg per year, and one day early planting increased by 2,26kg. 2. The effect of japonica vareties was negative while that of indica-japonica hybrid varieties was positive and the effect of each varities was increased by 3.46kg per year. 3. The contribution of each effect of the planting date, nitrogen varity, pest control and other improvement of cultivation to yield was estimated as 1.76kg (14.5%), I.04kg (8.7%), 5.84kg(48.2%), 3.47kg(28.6%) per year, respectively.

  • PDF

농업기술 - 녹비작물 피복 논의 부분경운 이앙기술

  • Gang, Tae-Gyeong
    • 농업기술회보
    • /
    • v.51 no.3
    • /
    • pp.30-31
    • /
    • 2014
  • 지구온난화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서 농업분야에도 저탄소 녹색성장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친환경 유기 농산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화학비료 대신 녹비작물을 심어 잡초발생을 억제하는 새로운 농업기법이 확대되고 있다. 농촌진흥청에서는 녹비작물을 피복한 논에서 별도의 경운작업 없이 이앙할 부분만 경운과 동시에 이앙할 수 있는 부분경운이앙기를 개발하였다.

  • PDF

Design of a rice transplanting mechanism with noncircular planetary-gear-train system (비원형 유성기어열을 사용한 이앙기 식부기구의 설계)

  • Bae, Kang-Yul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Precision Engineering
    • /
    • v.22 no.12 s.177
    • /
    • pp.108-116
    • /
    • 2005
  • Transplanting accuracy of a rice transplanter mainly depends on the trajectory of the hoe for picking, conveying and transplanting of seedlings as well as the return motion. The trajectory can be decided and prescribed to be suitable in treating seedlings fur a prevailing soil condition. For the purpose of the transplanting accuracy, the design of a transplanting mechanism would be carried out using a planetary-gear-train system instead of the four bar linkage system. In this study, a design method of transplanting mechanism is theoretically proposed by synthesizing a noncircular planetary-gear-train system fur the tool (hoe) to trace a prescribed trajectory. The method utilizes an optimization approach to decide the lengths of an arm and a tool, the inverse kinematics to figure out the configuration angles of the two links, the roll contact condition in transmitting motion between the gears, and a linearization approach to obtain the shapes of the gears. Based on the proposed method, the shapes of the gears and the lengths of the tools of the planetary-gear-train system are determined fur three prescribed trajectories. A kinematical simulation with a commercialized package program is also carried out to confirm that the gear-train system synthesized with the proposed method is able to trace the prescribed trajectory.

Estimation of the Water Requirement with the Farming Conditions in Paddy Field (영농방식변화에 따른 논용수수요량의 산정 -직파재배, 이앙방법 중심-)

  • Kim Jin Taek;Joo Uk Jong;Park Ki Wook;Lee Jong Na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5.05b
    • /
    • pp.1445-1449
    • /
    • 2005
  • 벼재배에 있어서 기계이앙은 1970년 이후 급속히 이루어졌으며 90년대에 이르러서는 노동력과 농업용수 절감을 위하여 직파재배의 보급이 이루어지고 있어 영농방식 변화가 농업용수의 이용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따라서 실제 영농상황과 농업용수 수요량 산정방법간의 차이를 조사 분석하고 농업용수 수요량 산정을 위한 적절한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문헌 및 실제 현장에서의 영농상황을 조사하고 수원공으로부터 관개구역으로 공급하는 용수공급량을 측정하였으며 3개지구를 대상으로 필요수량을 산정하여 비교하였다. 이앙재배에 있어서 기계화의 보급과 비닐하우스 등의 설치에 의하여 이앙기간과 이앙시기에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는데 과거에 비하여 이앙시기는 앞당겨지고 이앙기간은 짧아졌는데 이러한 변화는 지역에 따라 다른 특성을 보이고 있다. 또한, 이러한 변화는 과거와 비교하여 농업용수 수요량에 변화를 가져왔으며 변화는 대부분 4월, 5월에 집중되어 나타났다. 직파재배는 이앙재배에 비하여 용수를 많이 필요로 하는데 본답기 이전에 용수수요량의 차이가 많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직파재배의 면적은 1997년까지 계속적으로 증가하다 잡초성 벼의 번성, 연작의 피해 등으로 인하여 재배면적이 줄어든 상태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