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이수

Search Result 10,599,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Development of Operating Rule Curve for Multipurpose Water Supply in Heightened Agricultural Reservoir (농업용 둑높임저수지의 다중 용수공급을 위한 이수운영기준곡선 개발)

  • Park, Jong-Yoon;Jung, In-Kyun;Lee, Kwang-Ya;Kim, Seong-Joon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3 no.4
    • /
    • pp.1389-1400
    • /
    • 2013
  • This study developed an operating rule curve (ORC) for multipurpose water supply (irrigation and environmental water) in heightened agricultural reservoir. Among the 20 reservoirs in improvement project of agricultural reservoir dam heightening, the 4 representative reservoirs (Ungyang, Gungchon, Yongam and Unam) were selected for the study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statistical characteristics. Available environmental water supply amounts during irrigation and non-irrigation periods, which is the range from release restricted water level to high water level were estimated by water balance analysis using reservoir operation model. Reliability, resiliency and vulnerability criteria for water system performance were used to assess the multiple water supply capacity. The ORC was presented as the percentile rank for the daily reservoir water level from the results of reservoir operation using the past couple of decades weather data. The water levels for each percentile were divided into 3 buffer sections representing drought (5~25%), normal (25~75%), and flood (75~95%) year to operate the heightened agricultural reservoir with ORC.

Backwater Effect Analysis of Serial Weir by Pre-release in Nakdong River (낙동강 직렬보의 예비방류에 따른 배수효과 분석)

  • Keum, Ho-Jun;Choo, Tai-Ho;Jee, Hong-Ki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276-276
    • /
    • 2011
  • 우리나라는 강우의 계절적 편기가 심하여 겪는 홍수 조절의 어려움 이외에도 최근 생 공 용수의 증가와 더불어 생태학적 환경 보전, 미관을 위한 물 수요등이 증가, 홍수 범람구역 내의 인구 밀도의 상승과 산업의 증대, 수해 내성이 취약한 전자 통신망의 구축 등에 따라 홍수 피해가 발생할 경우 그 피해가 막대하다. 따라서 실제적으로 보(weir) 운영은 홍수와 이수를 고려하여 운영한다.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는 이수를 고려한 직렬보의 홍수기 운영시 예비방류의 효과에 대하여 논하였다. 예비방류는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도입한다. 1)홍수 조절용량의 일부를 이수용량으로 할당한다. 2)홍수가 예상될 경우 이수용량의 일부를 홍수조절을 위해 이용한다. 3) 홍수조절후 예비방류로 초기 저수위를 확보하지 못하는 경우 이수용량의 감소에 따른 벌칙을 가한다. 제시된 기법을 기상청의 강우 예보자료를 이용하여 낙동강의 실제 홍수사상에 대해 적용하였다.

  • PDF

Assessment of water supply reliability under climate stress scenarios (기후 스트레스 시나리오 기반 댐 이수안전도 평가)

  • Jihyeon Jo;Dong Kook W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385-385
    • /
    • 2023
  • 우리나라의 경우 여름철에 강우가 집중되는 특성 및 기후변동을 체감하고 있는 현 시점에서 수자원 시스템을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것은 점차 중요해지고 있다. 그러나 IPCC의 미래 기후변화 예측 시나리오는 특정 복사강제력에 기반을 하기에 그 자체만으로도 불확실성이 존재하며, 전 지구적 모형을 활용하는 점에서 우리나라 기후변화 예측 정확성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 장래 수자원 공급의 의사결정 객관성 및 체계를 확보하고 위에 제시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Decision-Scaling을 적용하여 댐 이수안전도를 분석하였다. 연구지역은 충주, 용담, 합천, 섬진강댐을 선정하였다. 기후스트레스 시나리오는 총 91개(순위 기반 강우 스트레스 시나리오 13개 및 0℃에서 6℃까지의 7개 온도 스트레스 시나리오)를 1995년부터 2014년까지 관측된 자료를 바탕으로 구축하였다. 수문모형(IHACRES)과 저수지모형(HEC-ResSim)을 결합하여 이수안전도 분석 모형을 개발하였다. 모형의 검정은 과거 댐 유입량과 비교하였으며, 개발된 모형은 매우 높은 정확도(R2≥0.81)를 보여, 과거 사상에 대한 모의가 가능한 것으로 평가 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 여름철 강우 변동이 온도와 비교하여 용수공급에 더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평가 되었다. (i) 강우와 온도가 동시에 변화하는 시나리오와, (ii) 개별적으로 변화하는 시나리오에 대한 이수안전도의 합과 비교하여, (i)의 경우가 이수안전도에 더 큰 영향 주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여름철 강수량의 감소와 증가로 인해 각각 물과 에너지가 제한된 실제증발산이 발생한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의 결과는 미래를 포함한 기후 스트레스 발생 시 효율적인 댐 관리 및 운영을 위한 의사결정에 활용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 study on the face pressure control and slurry leakage possibility using shield TBM model test (축소 모형실험을 통한 토피조건별 이수압식 쉴드 TBM의 챔버압 및 이수분출 가능성 평가)

  • Koh, Sungyil;Shin, Hyunkang;La, You-Sung;Jung, Hyuksang
    • Journal of Korean Tunnelling and Underground Space Association
    • /
    • v.22 no.3
    • /
    • pp.277-291
    • /
    • 2020
  • Shield TBM is a tunnelling method that has a wider range of applications in the poor ground condition compared to conventional tunnels (Drill and Blast). Currently, a 13.3 m large-diameter slurry shield TBM is preparing for construction to pass under the Han River. Shield TBM is divided into slurry and EPB shield TBM, and management items during construction are different depending on each characteristic. In this paper, the equipment type, origin, application case and trouble case were analyzed for slurry shield TBM, which is mainly constructed in soft ground. In addition, 2D and 3D model tests were conducted on the condition of soil depth for the possibility of slurry leakage into front of the equipment, with appropriate chamber pressure. Based on this paper, it proposed to provide basic and reference data for proper excavation surface pressure and chamber pressure during construction of slurry shield TBM under soft ground conditions, and proposed measures to minimize stability and environmental decline due to slurry ejection.

A study for recycling plan of excavated soil and filter cake of slurry shield TBM for road construction (도로공사 이수식 쉴드 TBM 굴착토 및 필터케이크 재활용방안 연구)

  • Nam, Sung-min;Park, Seo-young;Ahn, Byung-cheol
    • Journal of Korean Tunnelling and Underground Space Association
    • /
    • v.24 no.6
    • /
    • pp.599-615
    • /
    • 2022
  • In order to excavate underground tunnel most safely such as Han river, the slurry shield TBM method is applied to cope with face of high water pressure for many metro projects. In downtown subway project most of excavated soil is discharged externally whereas in road construction excavated soil is used as filling materials so it becomes important factor for success of the project. After excavated soil, weathered rock and soft rock are discharged with bentonite through discharge pipe to slurry treatment plant then those soils are separated in separation plant according to those size. Fine grained soil has been discarded together with filter cake but it is not toxic and can be mixed with coarse aggregate in proper ratio so this study is performed to find use of qualified filling material to meet quality standard. Therefore, in this study, legal standards and quality standards for the utilization of excavated soil of the slurry shield TBM method were examined and test was conducted to derive recycling way for filter cake and aggregate. And a plan for using it as a filling material for road construction was derived. Because bentonite is a clay composed of montmorillonite, and the excavated soil in the tunnel is also non-toxic, disposal of this material can waste social cost so it is expected to be helpful in the underground space development project that carries out the TBM project by recycling it as a valuable resource.

Constraints to the Transmission and Solutions of the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Related to Dance Successors (중요무형문화재 무용전승자의 이수제약과 극복 방안)

  • Kim, Jeong-Ryeon;Kim, Myong-Ju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1 no.1
    • /
    • pp.176-183
    • /
    • 2011
  • This paper is intended on providing solutions for overcoming constraints to the transmission of the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related to dance successors. For accommodating this approach, six career dancers, from the Dance Society of the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were invited as the research participants for this study. The In-Depth Interviews and the classification analysis are used as a way of structuring and understanding my observations about these tasks. These interviews have also been verified by an expert group. In conclusion, this study identifies numerous obstacles which can restrict the transmission of the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are as follows; first, the dance successors are constrained by personal reasons such as physical strength and mutual understanding at home; second, the dance successors are affected by the structural constraint of programs such as required time for the completion of training, efficiency of the training program and the educational environment; third, the dance successors are constrained by personal relations such a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selves, or between the dance successors and holders of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Suggested solutions for overcoming the constraints to training programs are; building small sized training centers throughout the country; making training time realistic for individuals; and making programs to train the dancers as well as making it sociable.

Comparison of Water Supply Reliability by Dam Operation Methods (댐 운영방식에 따른 이수안전도의 비교)

  • Choi, Si Jung;Lee, Dong-Ryul;Moon, Jang Wo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7 no.6
    • /
    • pp.523-536
    • /
    • 2014
  • A water supply reliability is mainly influenced by water demand, reservoir storage, and inflow change caused from drought. The water supply reliability can vary depending on the method of dam operation. In Korea, the deficit-supply method which complements water deficit as water shortage occurs in downstream areas has been used for the national water resources master plan using K-WEAP, but the prime flow method, an alternative approach, would show different results of water supply reliability in comparison to the deficit-supply method.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compare and analyze differences in water supply reliability according to dam operation methods. These results can be used to re-evaluate water supply reliability of dam in a circumstance considering steady dam release for instreamflow in downstream and hydroelectric power generation.

Physics Image Analysis by Sematic Method and Interest in Physics of Freshman Students in the Engineering College (의미 분석법에 의한 공과대학 신입생의 물리 이미지 및 관심 여부)

  • Song, Yongwook
    •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 /
    • v.44 no.2
    • /
    • pp.214-224
    • /
    • 2020
  • Physics image and interest are factors that influence physics learning. Freshmen enter an engineering college under various learning conditions when they were in high school. Understanding physics image and interest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freshmen will help college physics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hysics image and interest of freshmen in an engineering college according to their gender and physics course completion in high school and discuss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college students on physics learning. The subjects of the study are 664 first grade students in engineering college. We analyzed physics image and interest of students according to gender and physics course completion in high school. Physics image is analyzed using semantic analysi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physics image is different according to the physics course completion. Interest in Physics depends on gender and physics course completion. Finally, we discuss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college physics learning for engineering students.

Development of water use flow estimation method according to temporal flow variation for securing available water (가용수량 확보를 위한 이수유량의 기간별 산정 방법 개발)

  • Lee, Eul Rae;Choi, Hyun Gu;Kim, Han Na;Lim, Ji Sang;Lee, Su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252-252
    • /
    • 2017
  • 지금까지 이수유량의 산정은 공급의 안정성을 보장하고자 보수적인 관리체계를 유지해왔다. 시공간적 하천유량의 변동에도 최대 용수수요를 만족할 수 있게끔 기준갈수량을 기준으로 이수유량을 산정하였다. 이는 공급의 안정성은 보장되나 연중 동일 기준을 적용하여 홍수기와 같이 물량이 많은 경우에 있어서 추가적인 유량사용이 불가능하였다. 이에 따라 기존 방법의 단점을 보완하고 시 공간적인 하천유량의 변화를 고려하여 가용수량을 확보하며 물사용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방안 모색이 필요하다. 이에 선행 연구인 시 공간적 유량변화를 반영한 탄력적인 하천수 사용허가 기준유량 설정방법에서는 홍수기/이수기, 관개기/비관개기를 고려하여 4개의 기간 구분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수기/홍수기 구분을 제외하고 시기별 변화가 큰 농업용수 사용 시기를 기준으로 관개기/비관개기만을 고려하여 이수 유량의 산정방안을 검토하였으며, 이를 통해 각 기간별로 안정적인 공급이 가능한 기준유량 산정방법을 제시하여 기존의 방법을 개선하고자 한다. 위방법론을 적용한 결과, 기간별 탄력적인 기준유량의 산정으로 수량확보시설을 설치하지 않고 관리기준을 변경하는 것만으로 금호강 유역에서는 약 56.6백만$m^3$/년, 내성천 유역에서는 약 43.4백만$m^3$/년의 유량을 확보 가능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추가적인 인프라를 구축하지 않고 관리기준을 변경하는 것만으로 가용유량의 추가 확보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탄력적 이수유량 산정 방법을 통해 확보된 수량은 신규 수원 확보 사업의 추진 및 이를 위한 예산 확보 등의 정책적인 어려움을 개선할 수 있는 방안으로 될 수 있으며, 또한 용수공급 안정도를 유지하면서 하천수의 효율적인 활용에도 기여할 수 있다.

  • PDF

Determination of restricted water level of agricultural reservoir considering water use and flood control (농업용 저수지의 이·치수 기능을 고려한 홍수기 제한수위 설정)

  • Jihye Kim;Jihye Kwak;Moon Seong K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332-332
    • /
    • 2023
  • 농업용 저수지는 농촌유역의 홍수조절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지만 기본적인 기능은 이수 기능이기 때문에 농업용수 수량을 충분하게 확보하면서 동시에 홍수에도 대비할 수 있도록 저수지를 적절히 운영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농업용 저수지마다 홍수기 제한수위를 설정하여 홍수조절용량과 농업용수를 적절하게 확보하도록 하고 있으나, 현재 홍수기 제한수위는 저수지별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70% 정도의 저수율 기준이 일괄적으로 적용된 경우가 대부분이며 시기별 농업용수공급 특성을 고려하지 못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농업용 저수지의 이수안전도 및 치수안전도를 이용하여 이·치수 기능을 모두 고려한 홍수기 제한수위 설정 방안을 제시하였다. 홍수기 제한수위는 초기 (6/21~7/20), 중기 (7/21~8/20), 후기 (8/21~9/20)에 대해 각각 설정하였고, 오봉저수지와 묘곡저수지에 대해 1973~2022년의 기상자료를 이용하여 이·치수를 모의하였다. 관개기 최저저수량 및 이듬해 4월의 저수량을 기준으로 이수안전도를 산정하고, 재현기간 100년/200년/500년 홍수에 대해 저수지 운영을 모의하여 최고저수량을 기준으로 치수안전도를 산정하였다. 초기/중기/후기 제한수위 조합에 대한 이수안전도 및 치수안전도 값을 좌표공간에 점으로 도시하고 Pareto front를 도시하여 최적의 제한수위 범위를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 오봉저수지의 이수안전도는 후기 제한수위에 의해 대부분 결정되며, 초기/중기 제한수위는 큰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묘곡저수지의 이수안전도는 초기 제한수위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으며, 그 영향이 이듬해까지 이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최적의 제한수위를 도출한 결과, 오봉저수지의 경우 초기 65%, 중기 65~80%, 후기 95% (유효저수량에 대한 비율)로 시기별 수문 운영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고, 묘곡저수지의 경우 초기 100%, 중기 95%, 후기 65~80%로 취수 구조물 또는 비상수문 설치를 통한 방류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방법을 통해 저수지별 특성을 고려하여 홍수기 제한수위를 설정함으로써 효율적인 저수지 운영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