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이상 식별

검색결과 743건 처리시간 0.045초

AIS 데이터 분석을 통한 이상 거동 선박의 식별에 관한 연구 (Detection of Ship Movement Anomaly using AIS Data: A Study)

  • 오재용;김혜진;박세길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277-282
    • /
    • 2018
  • 최근 해상교통량이 증가하고 선박교통 관제구역이 확대됨에 따라 관제사의 업무 부하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교통량이 급증하는 경우 관제사가 위험을 인지하지 못하는 상황도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논문에서는 관제 업무의 지원을 위해 이상 거동 선박을 자동으로 식별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본 방법은 누적된 AIS 데이터를 이용하여 관제구역 내의 통항 패턴을 학습하고, 학습된 모델과의 비교를 통해 이상치를 계산하여 이상 거동 선박을 식별한다. 특히, 선박의 거동 상태에 대한 분류 정보가 없더라도 비지도 학습법을 기반으로 항적 데이터를 자동으로 분류하여 통항 패턴을 학습할 수 있으며, 항적의 군집화와 분류 과정을 통해 이상 거동 선박을 실시간으로 식별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진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선박운항 시뮬레이터 및 실제 AIS 항적 데이터를 이용한 식별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이를 통해 선박교통관제 시스템에의 활용 가능성을 고찰하였다.

AIS 데이터 분석을 통한 이상 거동 선박의 식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tection of Ship Movement Anomaly using AIS Data)

  • 오재용;김혜진;박세길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8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90-291
    • /
    • 2018
  • 최근 해상교통량이 증가하고 연안 항해에 대한 관제 필요성이 요구되면서 선박 교통 관제구역이 점차 확대되는 추세이다. 이러한 관제구역의 확대는 관제사의 업무 부하를 초래하며, 이로 인해 교통 혼잡 시간대와 같이 교통량이 급증하는 경우 관제사가 위험 상황을 인지하지 못하는 상황도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논문에서는 관제 업무의 지원을 위해 이상 거동 선박을 자동으로 식별하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제안하는 방법은 기계학습 기술을 기반으로 관제구역 내의 통항 패턴을 모델링하고, 이를 통해 이상 거동 선박을 식별하는 방법으로, 대상 항만의 누적된 AIS 데이터를 이용하여 모델을 학습하며, 실제 항적 및 시뮬레이션 데이터를 이용한 실험을 통해 선박교통관제시스템에의 활용 가능성을 고찰한다.

  • PDF

국내 석박사 학위논문의 식별과 검색을 위한 URN 이용 방안 (A Study on the use of URN for identifying and retrieving theses in Korea)

  • 이상철;김태수
    • 한국정보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관리학회 1999년도 제6회 학술대회 논문집
    • /
    • pp.173-176
    • /
    • 1999
  • 인터넷 환경에서는 정보자원을 식별하기 위한 기호로서 URL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URL은 자원이 위치한 장소를 지시하기 때문에 자원의 위치가 변경될 경우에는 접근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URL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대안으로서 URN을 이용하여 국내 학위논문을 고유하게 식별하고 검색하기 위한 방안에 대해 연구하였다.

  • PDF

교통 네트워크 모델 기반 이상 운항 선박 식별에 관한 연구 (Navigational Anomaly Detection using a Traffic Network Model)

  • 오재용;김혜진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9권7호
    • /
    • pp.828-835
    • /
    • 2023
  • 해상교통관제센터(VTS)의 관제사는 구역 내 교통 상황을 빠르고 정확하게 파악하여 관제가 필요한 선박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러나 교통량이 급격히 증가하는 경우 관제사의 업무 부하로 인해 관제 공백이 발생하기도 한다. 이러한 이유에서 관제사의 업무 부하를 줄이고, 일관성 있는 관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관제 지원 기술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며, 본 논문에서는 구역 내 이상 운항 선박을 자동으로 식별하는 모델을 제안하였다. 제안하는 이상 운항 식별 모델은 규칙 기반 모델, 위치 기반 모델, 맥락 기반 모델로 구성되며, 대상 해역의 교통 특성에 최적화된 교통 네트워크 모델을 사용하는 특징이 있다. 구현된 모델은 시범센터(대산항 VTS)에서 수집되는 실해역 데이터를 적용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을 통해 실해역의 다양한 이상 운항 상황이 자동으로 식별됨을 확인하였고, 전문가 평가를 통해 식별 결과를 검증하였다.

만화 도서 식별 시스템을 위한 핑거프린트 기법 (Fingerprinting Scheme for Comics Recognition System)

  • 오태근;최낙연;이상훈;이상훈;강호갑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공학회 2013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52-53
    • /
    • 2013
  • 최근, 합법적 또는 비합법적 경로를 통한 만화 도서의 유통이 확산되고 있다. 만화 저작권자들의 권리를 보호하기 위해, 유통되는 만화 도서를 식별하는 기술은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만화 식별기술은 이제 연구가 시작되는 단계이며, 상업적인 활용을 위해서는 정확도 및 신속성 측면에서 많은 개선이 필요하다. 본 고에서는, 만화 도서의 콘텐츠 특성 기반의 핑거프린트 추출 기법을 제안하고, 만화 식별 시스템에 적용함으로써 제안하는 핑거프린트 추출 기법의 성능을 검증하였다.

  • PDF

비정상 스캔-만화 보정 시스템 (Abnormally Scanned-Comics Calibration System)

  • 김도영;이상훈;;유대걸;강호갑;이상훈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공학회 2014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66-267
    • /
    • 2014
  • 최근 웹하드를 통하여 허가 받지 않고 불법적으로 생성된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저작권 보호에 대한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불법 만화 도서를 검색하고 식별하는 알고리즘 또한 만화 도서의 특성에 맞게 제작되어 만화 도서 이미지 간의 식별률을 높이고 있다. 특히 불법적으로 스캔된 만화 도서의 경우 식별을 위해 만화 도서 핑거프린트가 쓰이게 되는데, 스캔 과정에서 상하좌우가 정확히 맞지 않아 스캔본의 기하학적 특성이 만화의 원본과 달라지는 왜곡을 최대한 제거하여 만화 도서의 식별률을 높이고자 했다.

  • PDF

객체기반연속수치지도식별자(OSID) 구조 몇 관리유형 분석 (The Structure of Object-based Seamless Digital Map IDentifier and Its Managing)

  • 권찬오;이상준;신상철;진희채
    • 한국GIS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GIS학회 2010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346-347
    • /
    • 2010
  • 최근 공간정보의 짧은 갱신주기와 효율적 관리를 위하여 공간정보참조체계에 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으로 본 연구에서는 객체기반연속수치지도식별자 관리를 위한 각 기관별 공간정보참조체계현황을 분석하였고, 이를 기반으로 객체기반연속수치지도식별자의 구조분석과 수명주기에 따른 객체기반연속수치지도식별자의 관리유형을 구분하였다.

  • PDF

RFID 시스템에서 고속 태그식별을 위한 쿼리트리 프로토콜 (MAC Protocol for Fair Packet Transmission in CDMA S-ALOHA Systems)

  • 양의식;박철우;임인택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5년도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 논문집 Vol.32 No.1 (A)
    • /
    • pp.496-498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RFID 시스템에서 식별영역 내에 있는 태그들을 식별하기 위하여 무기억 특성을 갖는 QT 프로토콜을 개선한 QT_rev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QT_rev 프로토콜에서는 질의 문자열이 식별코드의 처음 비트들과 일치하는 태그는 식별코드 중에서 질의 문자열을 제외한 나머지 비트들로만 응답한다. 또한 리더는 태그들의 응답 문자열 중에서 충돌이 발생한 비트 위치를 알 수 있으므로 충돌이 발생한 위치가 태그 식별코드의 마지막 비트이면 리더는 더 이상의 질의가 없이 두 개의 태그를 동시에 식별할 수 있다.

  • PDF

과학기술분야 전자원문 식별자 연구 (A Study on Digital Contents Identifier in Science and Technology Field)

  • 이상환;신동구;김재수;최진영;정택영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1385-1388
    • /
    • 2004
  • 정보통신의 발전으로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서비스 방식이 위치정보를 가지고 서비스하는 URL(Uniform Resource Locator)방식의 문제점과 기존의 물리적인 저작물이 디지털 콘텐츠로 전환되면서 기존의 식별자로는 디지털 콘텐츠의 특성을 충족시키는 식별이 미흡하고 한계가 있다. 또한, 학술지 위주의 식별자는 연구가 활발하나 비학술지에 대한 식별자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해외 주요 디지털 콘텐츠 서비스기관의 식별체계 활용사례를 분석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고유 식별자인 KOI(Kisti Object Identifier)를 개발하였다.

  • PDF

스캔 만화도서 식별 및 특징 검색 시스템 (An Identification and Feature Search System for Scanned Comics)

  • 이상훈;최낙연;이상훈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데이타베이스
    • /
    • 제41권4호
    • /
    • pp.199-208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스캔된 만화의 콘텐츠 특성을 고려한 식별 및 특징 검색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스캔 만화의 특징점을 생성하기 위해서 계층적 대칭 핑거프린팅 방법을 활용하였다. 제안하는 핑거프린트 식별 및 검색 시스템은 웹하드와 같은 온라인 서비스 제공자들이 대량의 스캔만화에 대하여 즉각적인 식별 결과를 얻을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실험에서는 회전, 이동 등의 이미지 변형에 대해서 핑거프린트의 식별 강인성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특징점 데이터베이스에서의 빠른 매칭을 위한 데이터베이스 구조를 제안하였고, 전역 검색 및 최대중요특징 검색과 같은 기존의 다른 검색방법과 성능을 비교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