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이상치 발견

검색결과 257건 처리시간 0.025초

최근 한국사회의 출산율 변화원인과 향후 전망 (Change in Fertility Rates in Korea: Causes and Future Prospect)

  • 김승권
    • 한국인구학
    • /
    • 제27권2호
    • /
    • pp.1-34
    • /
    • 2004
  • 최근 한국사회에서는 출산율의 저하로 인한 사회경제적 영향을 우려하여 대책방안을 강구하여야 한다는 논의가 증대되고 있다. 그런데 국가정책을 개발${\cdot}$추진하기 이전에 반드시 요구되는 것은 저출산 현상의 올바른 인식과 철저한 원인규명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출산율 변화의 원인을 다각적으로 살펴보고, 향후 변화방향을 전망해 보고자 한다. 먼저 자녀출산의 변화를 결혼상태 변화와 유배우부인의 출산율 변화 부분으로 나누어 살펴본 결과, 과거와는 달리 최근의 출산율 저하는 유배우 부인에 의해서가 아니라 미혼자의 결혼연장 또는 독신생활에서 기인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두 요인에 영향을 주는 변수로는 경기침체 및 직장불안정, 결혼가치관의 변화와 초혼연령의 상승, 자녀양육 관심증대, 자녀양육비 부담, 가정과 직장의 양립을 위한 사회적 인프라 부족, 여성의 자아욕구 및 사회참여 증대, 자녀효용가치 감소, 이혼 등 가족해체의 증대, 그리고 불임부부의 증대 등인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출산율 변화를 전망해 보면, 저출산을 일찍 경험한 서구 선진국의 경우와는 달리 정책의 추진에 한계가 있어 선진국보다 더 낮은 출산율을 회복하는 데는 많은 어려움이 있을 것이라는 판단이다. 더군다나 젊은 미혼남녀의 가치관이 개인주의화 되는 경향이 있다는 점을 감안한다면 출산율 회복정책을 추진한다 하더라도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을 것이다. 수년간 실시된 각종 실태조사를 분석한 결과에 의하면 현재의 경기침체가 회복될 경우 약 20%의 출산율 상승 가능성이 있으며, 이 때의 합계출산율은 약 1.43명 수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예견된다. 또한 종합적 체계적 출산회복정책을 효과적${\cdot}$효율적으로 추진한다면 약 10년 후에는 합계출산율이 약 1.6 수준으로 회복될 것이라는 낙관적 견해를 가져본다. 그렇지만 정책의 강도에 따라서 회복수준은 현저하게 상이할 것이다.를 진단, 치료함에 있어 진행성 신질환의 가능성을 시사하는 예후인자가 없다면 신생검보다는 지속적이고 정기적인 추적관찰만으로도 충분할 것으로 생각된다도 등은 양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발견 당시 혈청 $C_3$치의 감소는 모두 11명(61.1%)에서 관찰되었는데, 증상군에서는 7명(87.5%), 집단뇨검사군에서는 4명(40%)으로 증상군에서 혈청 $C_3$치의 감소가 보다 현저하였다. 그러나 추적관찰 기간 동안 증상군에서는 7명 중 4명, 집단뇨검사군에서는 4명 중 1명에서 혈청 $C_3$치는 정상범위로 증가하여 최종 관찰시점에서는 6명 (33.3%)에서만 혈청 $C_3$치의 감소가 지속되고 있다. 혈청 $C_3$치의 감소를 보인 경우를 다시 병리조직학적 분류에 의해 세분하여보면 발병당시에는 I형 8명(61.5%), II형에 1명(100%), III형 2명(50%)에서 관찰되었는데, 최종 시점에서는 I형 4명(30.8%), II형 1명(100%), III형 1명(33.3%)이었다. 또한 증상군에서 세포성 반월체형성과 세뇨관위축의 빈도가 높았으며, 사구체 혈관벽 비후와 사구체 간질의 증가의 정도가 집단뇨검사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결론: 무증상성 요이상을 가진 환자에서 신장조직검사 실시 후 MPGN으로 진단되는 증례가 증가하고 있고, 오히려 증상을 동반하는 경우보다 빈도가 증가한다는 사실은 집단뇨 검사에서 소변의 이상소견이 발견되어 신장 조직검사를 실시할 경우 혈청 $C_3$치의 감소 여부에 관계없이 MPGN도 진단적 고려 대상이 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신장 조직검사를 시행한 결과 진행성 경과를 취할 수 있는 막 증식성 사구체 신염과 매우 희귀한 증례인 신유전분증 등으로 진단됨으로써 지속성 단백뇨의 경우 정확 진단적 접근이 필수적임을 알 수

맹출 장애의 특성과 치료방법 (Characteristics and Treatment Methods of Eruption Disturbance)

  • 서희원;송지수;신터전;현홍근;김영재;김정욱;이상훈;장기택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464-473
    • /
    • 2018
  • 2011년 7월부터 2016년 6월까지 서울대학교 치과병원에 맹출 장애를 주소로 내원한 703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897개의 치아에 대하여 맹출 장애의 빈도, 원인, 치료방법, 교정적 견인방법, 견인기간 등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맹출 장애는 상악 견치, 상악 중절치, 상악 제1대구치에서 가장 높은 빈도로 발견되었다. 상악 견치의 맹출장애는 여자에게서 호발 하였고(p < 0.001), 상악 중절치(p = 0.009)와 상악 제1대구치(p < 0.001), 하악 제1대구치(p = 0.028)의 맹출 장애는 남자에게서 호발 하였다. 맹출 장애의 원인은 맹출 경로의 이상, 맹출 경로 상에 장애물의 존재가 가장 많았다. 치료 방법으로는 교정적 견인이 가장 많이 시행되었으며, 상악 중절치에서 가장 높은 빈도로 시행되었다. 교정적 견인 기간은 연령이 어릴수록(p < 0.001), 치관의 위치가 낮을수록(p < 0.001), 견인기간이 짧게 관찰되었다. 소아 환자는 정기적인 검진을 통해 맹출 장애를 조기에 발견하는 것이 중요하며, 정확한 진단과 치료계획으로 적절한 시기에 치료를 시작하는 것이 필요하다.

다발성 원발성 폐암 수술 치험 -2예 보고- (Surgical Treatment for Multiple Primary Lung Cancer -Report of 2 cases-)

  • 이정은;장인석;이상호;최준영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6권6호
    • /
    • pp.436-438
    • /
    • 2003
  • 다발성 원발성 폐암은 동시성 원발성 페암과 이시성 원발성 폐암으로 나눌 수 있는데 두 가지 경우 모두 드물게 발견되는 폐암의 일종이다. 본원에서는 최근 동시성 원발성 폐암과 이시성 원발성 폐암을 각각 1예씩 수술 치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교합과 치주조직 (Occlusion and Periodontal Tissues)

  • 최점일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23권11호통권198호
    • /
    • pp.921-925
    • /
    • 1985
  • 우리는 매일 반복되는 진료행위를 통해서 개개의 치아와 그 주위조직에 대한 병적 이상을 발견하고 치료하는 일에는 익수해져 있으나, 두 개 혹은 그 이사의 일련의 치아들이 상하악의 대합치들과 어떠한 양상으로 조화를 이루며 교합기능을 유지해 나가고 그것들이 어떻게 보이지 않는 저작계의 통제에 의한 결과인가에 대해서는 거의 등한시 하고 있다. 다시 말해서 교합에 관여하는 기능적 요소와 임상적인 정상교합에 관한 이해, 그리고 이러한 개념을 임상적인 치료에 적용하는 일에 우리의 관심이 더욱 집중되어야 할 것이며, 이러한 연구를 통해서만 복잡하고 다양하게 나타나는 일련의 교합질환(Occlusal Disease)을 다룰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교합의 임상적인 정의와 기본 개념, 그리고 정상적인 교합이 치주조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고찰해 보기로 한다.

  • PDF

강자성 가돌리늄 박막의 큐리 온도의 이동 (The Shift of Cuire Temperature in Ferromagnetic Gadolinium Films)

  • 이일수;추교진;이의완;이상윤;이종용;김양수;김동락;이형철
    • 한국진공학회지
    • /
    • 제3권3호
    • /
    • pp.305-308
    • /
    • 1994
  • 가돌리늄 박막의 큐리온도를 자기화의 온도에 따른 변화를 측정함으로써 결정하였다. 박막의 큐 리돈도는 bulkrP의 큐리온도보다 낮아지며 이 박막에서의 큐리온도의 이동은 두께가얇아 질수록 커진다 는 것이 관측되었다. 이실험결과를 유한축적 이론의 관점에서 분석한 결과 전이온도의 이동에 관련된 지수 λ는 0.82$\pm$0.13로서 이론적인 값의 1.48과 상치한다는 사실이 발견되었다. 이러한 유한계의 실험치 와 유한축척이론과 파이는 여러 유한계에서 관측되었다.

  • PDF

국내산 석회석의 비교숙련도 시험용 시료 제조 및 평가 (Preparation and evaluation of limestone reference material for a proficiency test)

  • 정충호;박덕원;김성민;유응철
    • 분석과학
    • /
    • 제22권1호
    • /
    • pp.82-91
    • /
    • 2009
  • 국내산 석회석을 이용하여 석회석 시료의 RRT 시험용 시료를 제조하여 XRF 및 습식 분석, ICP-OES를 이용한 기기 분석을 수행하였고 그 결과를 통계적 방법에 의하여 시료의 균질도를 평가하였다. 분석 결과 몇몇 시료의 경우 예상치 못했던 정규 분포로부터의 이상성이 발견되었으며 이상치를 제거한 후 측정한 모든 성분에 대하여 정규 분포 곡선에서 95% 신뢰 구간에서의 신뢰성 있는 표준 시료를 얻을 수 있었다.

Echinostoma hortense 인체감염 2예 및 제이중간숙주 조사 (Two cabob of natural human infection by Echinostoma hoytense and its second intermediate horst in Wonju area)

  • 양용석;안영겸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3권1호
    • /
    • pp.33-40
    • /
    • 1985
  • 1984년 11월 Echinostoma hortense에 의한 인체감염의 2례를 발견하였다. 이는 praziquantel치료와 두 환자가 함께 보획하여 생식한 바 있는 담수어의 추적조사로 확인되 었다. 또한 버들치(Moroco oxycephalus)가 E. hortense의 제이중간숙주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새로이 밝혔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환자는 31세 및 30세 남자이며 강원도 원주시에 살고 있었고 한 가구에 같이 거주하고 있었다. 제1례는 E.H. fever의 병원에 입원하고 있었으며, 제2례는 건강한 상태로서 간헐적으로 가벼운 하복통과 연변 또는 경한 설사가 계속되었다. 대변검사에서 발견된 충란의 크기는 제1례가 $114.3{\times}71.0(평균){\mu}m$, 제2례가 $119. 1{\times}68.3(평균){\mu}m$이었다. 환자들에게 praziquantel 10~15mg/kg을 단회투여 하고 하제를 사용한 비 제2례의 환자 설사변에서 6마리의 E. hortense 성충을 수집하였다. 2. 환자들이 담수어를 보획한 그 장소에서 버들치 84마리와 붕어 20마리를 잡아서 피낭유충을 조사한 결과 버들치 3마리(3.5%)서 Echinostoma sp.의 피낭 유충을 발견하였다. 3. 분리된 피낭유충 3한마리의 흰쥐에게 경구 감염 시켜서 3마리의 E. hortense 성충을 얻는데 성공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충란만 발견된 제1례의 환자로 E. h hortense 감염자라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버들치가 E. hortense의 제이중간숙주 역할을 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 PDF

소아환자의 항암치료 후 나타나는 구강 내 합병증 (Oral Complications after Antineoplastic Treatment in Pediatric Patients)

  • 이용진;김재환;최남기;김선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239-246
    • /
    • 2019
  • 이 연구의 목적은 항암 치료를 받은 후 소아환자에서 나타나는 치아의 발육장애의 유병률에 대해 조사하고, 항암 치료의 시기, 치료방법, 그리고 치료 기간에 따라 어떤 차이를 보이는 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임상 및 방사선학적 기록이 존재하는 93명의 소아암 환자에 대해 치아의 수, 치아의 형태, 치근의 형태, 치아의 발달 정도를 평가하였다. 조사된 치아의 형성장애는 전체 환자의 61.3%에서 발견되었고, 이중에는 치근의 형태이상이 31.2%로 가장 많이 관찰되었다. 6세 이후에 항암치료를 시작한 환아보다 6세 이전에 항암 치료를 시작한 환아에서 결손치(p = 0.029)와 왜소치(p = 0.003) 수가 더 많았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화학요법과 방사선요법을 병행한 경우 화학요법만을 시행한 경우보다 결손치(p = 0.030), 왜소치(p = 0.046), 그리고 치근형태이상(p = 0.009)이 더 높은 빈도로 관찰되었고,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18개월 미만의 항암 치료 기간을 경험한 환아에 비해 18개월 이상 항암 치료를 받은 환아에서 결손치(p = 0.032), 왜소치(p = 0.011), 치근형태이상(p = 0.025), 그리고 총 치아이상(p = 0.036)의 수가 더 많았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결론적으로, 항암치료를 받은 소아환자에서 더 빠른 항암치료 개시시기, 화학 및 방사선 요법의 병행, 그리고 더 긴 항암치료 기간이 치아 형성 중의 이상소견을 증가시켰다.

변위측정센서를 이용한 대형 시설물 안전관리 방안 연구 (A Experimental Study for the Disaster Monitoring by Integration of USN and Spatial Information)

  • 연상호;연춘흠;김종수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6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195-196
    • /
    • 2016
  • 본 연구는 건설된 구조물의 주요 구조부재에 각종 계측 Sensor를 설치하여 이로부터 다양한 정보를 제공받아 Monitoring하는 계측 System은 대형구조물의 구조적 응답을 계측하여 분석하고, 구조물의 위험요소를 사전에 발견하고 분석하여 적절한 대책을 수립함으로써 대형 시설물의 수명연장 및 유지관리 비용의 효율성을 높이고, 구조물의 사용성 및 안전성을 확보하고, 그 설계수명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계측전 초기치와의 비교 및 시간 경과에 따른 추이 분석을 통해 이상상태를 발견하는 신호 기반 감시 수행하고 있고, 상태판정 및 손상도 추정이 가능하므로 향후 계속해서 발전시켜 나갈 수 있는 지식기반 감시시스템이 필요하므로 본 연구에서는 공간 정보기반의 정보를 재생하여 GNSS/USN기술을 접목시켜감으로 대형시설물 안전관리가 매우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 PDF

심부 매복 정중 과잉치 수술 시 마취방법 선택 (CONSIDERATIONS OF ANESTHETIC METHOD OF DEEP IMPACTED MESIODENS)

  • 민수영;송제선;이제호;최형준;손흥규;김성오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90-96
    • /
    • 2012
  • 정중 과잉치(mesiodens)는 대개 상악 절치부에서 발견되며, 주로 구개측에 위치하는 경향이 있다. 정중 과잉치의 자연맹출 가능성이 관찰되면, 주기적으로 검사하여 구강내로 충분히 맹출한 후에 단순발치를 시행한다. 주기적 검사에서 자연맹출 소견이 보이지 않거나, 형태이상 혹은 맹출방향의 이상으로 구강 내로 자연맹출 할 가능성이 없으면, 수술적 제거방법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특히, 인접한 중절치나 측절치의 맹출을 방해하고 있는 상황이 관찰된다면, 빠른 시일 내에 과잉치 제거를 위한 수술적 방법을 시도하는 것이 타당하다. 한편, 외과적 수술의 시기를 늦추는 것을 고려해야 하는 경우도 있다. 정중과잉치가 인접하여 발육중인 정상 치아의 맹출을 방해하지 않는 경우이다. 이때, 삼차원 CT사진을 촬영하여보면, 과잉치 주변으로 영구절치의 치배가 근접하여 성곽처럼 둘러싸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미성숙한 치배가 둘러 싸고 있는 상황에서, 무리하게 과잉치를 제거하려고 시도할 경우 인접 치배를 손상시킬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렵다. 이 점을 고려 한다면, 가급적 인접한 치아의 치근이 보다 발육한 후에 수술을 시도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초등학교 2학년 이상의 어린이들은 외래에서 국소마취하 제거하는 수술방법에 대개 잘 적응하며 고학년이 될수록 보다 수월해진다. 수술시기를 너무 늦추거나, 과잉치가 너무 늦게 발견된 경우 구개측 심부로 깊이 이동한 것을 볼 수 있다. 때로는 과잉치의 위치가 처음부터 심부에 매복되어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전신마취방법을 생각해 볼 수 있을 것이다. 본 증례는 상악 정중부의 깊은 부위에 역위 매복된 과잉치를 외래에서 국소마취하에 치료를 시도할 때 관찰되는 문제점을 고찰하였고, 전신마취방법을 결정하기 위한 기준을 제시하였다. 심부 매복된 치아의 외과적 발거시 어린이의 행동조절이 가장 큰 문제였으며, 방사선 소견상 과잉치 치관의 위치가 절치의 치근단보다 상방에 위치할 경우 전신마취로 전환 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