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이상엽

Search Result 1,644,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Estimating Leaf Area from Length and Width for Panax ginseng (인삼의 엽장, 엽폭을 이용한 엽면적 추정)

  • ;Su-Bong Ahn;Jong-Chul Lee
    •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 /
    • v.30 no.1
    • /
    • pp.15-19
    • /
    • 1985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velope the equations for estimating the areas of leaflet, leaf, and total leaf for 1, 2, 3, 4, 5, and 6 years old ginseng, Panax ginseng, grown in field. The highest correlation coefficient was found between leaflet area and product of leaflet length and width(LW) in all leaflets although leaflet shape varied somewhat according to the position and plant age. It was possible to estimate area of the leaf, and total leaf by one central leaflet in a compound leaf. The equations for estimating the leafet, leaf areas of 1 year differ to those of over 2 years old plant, but there was no difference among those of 2, 3, 4, 5, and 6 years. The equations for 1 year old are A =0.64 LW, A' =A/0.38, and for 2, 3, 4, 5, and 6 years old, A =0.60 LW, A' =A/0.32, A" =A' x number of leaves of central leaflet(A), leaf(A') and total leaf areas(A"), respectively. The estimation of leaflet, leaf, total leaf areas of ginseng plant grown under 20% light-transmittance rate was possible by using the equations mentioned.

  • PDF

Periimplantitis

  • Lee, Sang-Yeop
    • 대한치주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1994.12a
    • /
    • pp.15-17
    • /
    • 1994
  • PDF

Leaf Type Characteristics of Prunus mume (201 Trees) in Korea (매실나무 201점의 엽형 특성)

  • Hee Kyoung Kang;Jin Hyuk Kim;Ja Yeon Yi;Eun Su Ju;Min Kyung Choi;In Cheol Baek;Tae Hyun Ha;Hong Seon Song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20.08a
    • /
    • pp.29-29
    • /
    • 2020
  • 본 연구는 현재 공주대학교 포장에 보존되어 있는 식용, 약용, 관상용 등의 매실나무 유전자원에 대한 외부 형태적 특성평가를 통하여 향후 우수한 종자원 확보와 양묘생산의 토대 및 육종을 위한 소재로 활용할 수 있는 기초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매실나무의 엽형은 난형에 가까웠는데, 엽장은 평균 76.9±9.7mm (최소 52.0mm, 최대 102.0mm)이었으며, 엽폭은 평균 41.9±6.4mm (최소 27.0mm, 최대 60.0mm)이었고, 엽병장은 평균 9.5±2.6mm (최소 4.0mm, 최대 24.0mm)이었다. 이들 형질의 변이계수는 엽병장이 27.7%로서 가장 높아 엽장과 엽폭에 비해 진폭이 컸으며, 다음으로 엽폭 (15.3%), 엽장 (12.6%) 순이었다. 매실나무 엽장은 71~80mm에서 가장 높은 비율 (50.3%)을 나타내었으며, 다음으로 81~90mm (21.9%), 61~70mm (12.4%), 91mm 이상 (8.0%), 60mm 이하 (7.4%) 순이었다. 엽폭은 41~50mm에서 가장 높은 비율 (45.8%)을 나타내었으며, 다음으로 31~40mm (41.8%), 51mm 이상 (7.4%), 30mm 이하 (5.0%) 순이었다. 엽병장은 6~10mm에서 가장 높은 비율 (72.6%)을 나타내었으며, 다음으로 11~15mm (22.4%), 16mm 이상 (3.0%), 5mm 이하 (2.0%) 순이었다. 엽형 형질 간의 상관계수는 모두가 0.2 이하로 상관관계가 약하였으나 표본수가 많아 유의한 값을 나타내었으며, 엽장과 엽폭이 0.242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엽장과 엽병장 (0.173), 엽폭과 엽병장 (0.001) 순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