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이미지파일

Search Result 420, Processing Time 0.077 seconds

Comparison and Analysis of Class Image File for Embedded Java Virtual Machine (내장형 자바가상기계를 위한 클래스 이미지 파일의 분석과 비교)

  • 김성수;김세영;양희재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3.04c
    • /
    • pp.28-30
    • /
    • 2003
  • 자바가상기계는 기계독립적인 바이트코드, 즉 자바 컴파일러가 자바 원천코드로 생성한 클래스 파일의 정보를 읽어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클래스 파일의 내부정보는 동적인 클래스 적재를 지원하기 위한 각종 심볼명과 클래스, 상수, 필드, 메소드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여러 가지 링크 정보와 디버깅 정보로 인해 메모리 낭비와 클래스 파일에 대한 정보를 접근하는데 비효율적인 요소가 많다. 이런 이유로 인해 메모리 사용에 제한을 받는 내장형 시스템 환경에서 동작하는 자바가상기계에서 클래스 파일을 그대로 이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따라서 클래스 파일을 다른 새로운 형태인 클래스 이미지 파일로 변환이 요구되는데 이를 지원하는 자바가 상기계로 simpleRTJ와 leJOS등이 있다. 클래스 이미지 파일의 지원은 내장형 시스템에서 동작하는 자바가상기계의 메모리 절감과 함께 클래스 정보의 접근 효율성을 높이는데 있다. 본 논문에서는 simpleRTJ 및 leJOS의 클래스 이미지 파일을 분석한 후 자바가상기계의 메모리 절감과 접근의 효율을 높여주기 위한 목적에 의해 클래스 이미지 파일을 생성하는 응용 프로그램인 cls2bin 이라는 클래스 이미지 변환기로 생성한 이미지 파일과 비교하여 cls2bin이 생성한 클래스 이미지 파일이 얼마만큼의 효과를 가지는지에 대해 검증해 보고자 한다.

  • PDF

An Analysis on RAW Image Format and its Application for Portable Multimedia Devices (휴대용 멀티미디어기기를 위한 RAW 이미지 포맷 분석 및 응용)

  • Park, Mi-Ran;Sin, So-Hee;Kim, Jae-Shin;Ro, Kwang-Hyun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9.05a
    • /
    • pp.738-741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RAW 이미지 포맷 중 PEF, MRW에 대한 분석 결과와 RAWImage Viewer에 대해 소개한다. DSLR 디지털 카메라로 촬영되는 이미지 파일은 범용의 JPEG 포맷이나 제조사별 독자적인 RAW 이미지 포맷으로 저장된다. 이러한 RAW 이미지 파일을 PMP 등의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나 디지털액자에서 재생 및 확인하기 위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하지만, RAW 이미지 포맷이 디지털 카메라 제조사별로 다르고, 해당 포맷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가 공개되지 않아 대부분의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에서 RAW 이미지 파일 재생 기능을 완벽하게 지원하지 못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RAW 이미지 파일 포맷을 분석하여 다양한 임베디드 멀티미디어 기기에서 모든 RAW 이미지 파일을 지원할 수 있는 라이브러리 구축을 위한 연구 결과 중 일부를 소개한다. Cannon의 CRW, CR2 포맷과 Nikon의 NEF 분석 결과에 이어 PEF, MRW에 대한 분석 결과와 RAW 이미지 출력 및 분석 기능이 포함된 RAWImage Viewer에 대해 설명한다. 연구 결과는 RAW 파일을 재생할 수 있는 임베디드 장비 및 PC용 RAW 이미지 파일 재생 라이브러리를 구축 및 응용 프로그램 개발시 활용될 것이다.

  • PDF

A Study for the Availability based on the Image Logging Server (이미지 로깅서버 기반의 사용자 가용성 보장을 위한 연구)

  • Yoo, Seung-Hee;Cho, Dong-Sub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8.10b
    • /
    • pp.409-410
    • /
    • 2008
  • 인터넷의 급속한 발달로 정보화 사회에서 생활하고 있는 우리는 금융 서비스 등 다양한 웹 서비스를 제공받고 있다. 이와 같이 컴퓨터와 인터넷, 정보기술의 발전은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가져다 주었다. 그러나 사이버 범죄라는 역기능을 가지게 되었다. 이블 위하여 이전 논문에서 우리는 이미지 로그파일을 제안하였다. 이미지 로그 파일이란 디지털 증거자료로써 디지털 포랜식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보안상 취약한 기존의 텍스트 파일 형태의 로그 파일을 보완하여 웹 페이지를 이미지로 저장한 파일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이미지 로그 파일이 디지털 증거 자료 뿐만 아니라 웹 페이지의 무결성 문제가 발생하였을 경우 웹 페이지를 복구하기 위한 백업용으로써 사용될 수 있는 이미지 로그 파일에 대하여 기술하여 보고자 한다.

  • PDF

Open ROW snapshot file system (Open ROW Snapshot 파일시스템)

  • Suk, Jin-Sun;Kim, Moon-Kyung;No, Jae-Chun;Park, Sung-S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8.06a
    • /
    • pp.315-316
    • /
    • 2008
  • 스냅샷은 파일 시스템의 손상 또는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한 데이터 손실을 방지하기 위한 기술로 크게 볼륨 단위로 스냅샷 이미지를 생성하는 방법과 파일 단위로 스냅샷 이미지를 생성하는 방법으로 나뉜다. 첫 번째 방법은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방법으로 스냅샷 이미지를 생성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짧고 디스크 관리가 용이하다는 장점과 생성된 이미지의 개수와 파일 시스템의 I/O 성능이 반비례한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두 번째 방법은 다수의 스냅샷 이미지를 생성한 후에도 파일 시스템의 I/O 성능이 저하되지 않는다는 장점과 스냅샷 이미지를 생성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파일의 개수와 비례한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파일 시스템 단위의 스냅샷 기능이 가지는 단점을 극복하기 위한 Open ROW Snapshot에 대해서 언급한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Image Retrieval System using Text Embedded JPEG (Text Embedded JPEG을 이용한 Image Retrieval System의 설계 및 구현)

  • Chun, Si-Young;Kwak, Mi-Ra;Cho, Dong-Sub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3.05a
    • /
    • pp.99-102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JPEG 이미지파일을 효율적으로 검색하기 위해서 확장된 JPEG파일의 포맷을 제안하고자 한다. 확장된 JPEG 파일의 포맷 안에는 JPEG 파일을 검색할 때에 사용될 키워드에 대한 설명, 이미지가 만들어진 날짜, 만든 이, 해상도와 같은 이미지에 대한 정보가 들어가게 된다. 이렇게 확장된 포맷을 어떻게 검색에 이용하는지 보이기 위해서 검색 어플리케이션을 설계하였다. 이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검색 시에 찾고자 하는 이미지의 정보 값들을 지정해 줌으로써 자시의 의도에 적합한 이미지를 보다 정확하게 찾을 수 있게 된다. 피리고 이렇게 찾아진 이미지들은 여러 이미지 정보값들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정렬되어 보여 지도록 하였다. 또한 이렇게 확장된 JPEG 파일포맷에 사용자가 접근하여 정보를 변경하거나 추가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도 제공하도록 하였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n Image Web Server for Sharing SCORM-based Image Contents (SCORM기반의 이미지 콘텐츠 공유를 위한 이미지 웹 서버 설계 및 구현)

  • Eun, Na-Rae;Min, Su-Hong;Cho, Dong-Sub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4.07d
    • /
    • pp.2586-2588
    • /
    • 2004
  • 현재 SCORM 콘텐츠를 제공하는 대부분의 시스템은 콘텐츠에서 사용하는 데이터가 하나의 교육목표를 가지는 콘텐츠 패키지에 함께 포함되어 있다. 콘텐츠를 만들 때 필요한 파일은 공유를 하지만 교육 목표를 가진 하나의 독립단위로 생성이 되어 시스템 상에서 실행시킬 수 있는 패키지로 만들어지면 콘텐츠에서 사용하는 파일은 물리적으로 다 포함되어 있다. 그렇기 때문에 같은 파일로 여러 개의 콘텐츠가 만들어지면 각 콘텐츠 패키지마다 파일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시스템은 같은 파일을 중복으로 가지게 된다. 그래서 본 논문에서는 콘텐츠에서 사용하는 이미지를 공유할 수 있는 이미지 웹서버를 구현한다. 구현한 웹 서버는 이미지 저장과 메타데이터 생성, 이미지 검색, 이미지 프로세스의 기능을 가진다.

  • PDF

File-based Snapshot for Desktop Virtualization (데스크톱 가상화를 위한 파일 기반 스냅샷)

  • Kim, Young-Chul;Lee, Sang-Min;Kim, Young-K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4.04a
    • /
    • pp.93-96
    • /
    • 2014
  • 최근 기업, 학교 등에서 가상 데스크톱 환경을 구축하는 사례들이 확대되면서 보다 효율적이고 안정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적합한 스토리지 시스템 도입이 요구되고 있다. 가상 데스크톱 시스템은 대부분 가상 데스크톱의 기본 이미지를 스토리지 시스템에 저장하고 다수의 가상 데스크톱 스냅샷들이 기본 이미지를 공유하도록 함으로써 시스템 운영과 보안 그리고 자원 활용을 높이도록 구성한다. 이러한 가상 데스크톱 이미지는 파일 시스템에서 파일 기반으로 저장되고 관리된다. 따라서 파일 시스템에서 파일 기반의 스냅샷 기능이 필요하다. 하지만 일반 파일 시스템에서는 스냅샷과 같은 기능이 제공되지 않기 때문에 이미지를 QCOW2 등과 같은 파일 포맷으로 만들어서 스냅샷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스냅샷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파일 데이터를 읽고 쓰는 동작이 함께 수반되어야 하기 때문에 가상 데스크톱 성능에 커다란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가상 데스크톱 환경이 확장함에 따라 파일 데이터 입출력으로 인한 오버헤드로 서비스를 제공하기 어렵게 된다. VDI-FS 시스템은 가상 데스크톱 환경을 지원하기 위한 파일 시스템으로 기본 이미지와 스냅샷들 간의 메타데이터 및 데이터 공유를 제공하며 보다 효율적인 스냅샷 기능을 제공한다. 본 논문에서는 VDI-FS 시스템에 대한 소개와 스냅샷을 지원하는 방법에 대해 기술한다. 그리고 NFS에서 QCOW2 를 이용한 스냅샷을 사용했을 때와 VDI-FS 시스템에서 스냅샷을 사용했을 때와의 성능 비교를 통하여 VDI-FS 시스템의 스냅샷 기능이 우수한 성능을 보임을 제시한다.

A Study on the Introduction of Raw Image File Formats for the Management of Digital Photographic Records (디지털 사진기록물 관리를 위한 Raw 이미지 파일 포맷의 도입에 관한 연구)

  • Park, Junyoung;Lee, Myounggyu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 /
    • v.19 no.3
    • /
    • pp.155-178
    • /
    • 2019
  • The study aim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and problems of raw image file formats, evaluate its suitability for the management of digital photographic records, and suggest the introduction method to utilize such format in public institutions. Raw image file formats feature reversibility and flexibility. However, most of them are proprietary file formats that depend on the digital camera manufacturer. The DNG format, which was developed to standardize raw image file formats, has received positive reviews from overseas public agencies. However, the DNG format is not fully recognized as a standard; hence, it is appropriate to use it tentatively until the standard raw format appears. On the other hand, the converted digital photo file format is not recognized as an original with legal authenticity. Therefore, in the short term, DNG files created by format conversion and original raw files should be encapsulated and preserved. Furthermore, it is necessary to redefine the baseline of the hash value and file size to recognize the legal authenticity only with DNG files in the long term.

A Method for Safe and Efficient Integrity Verification of Smartphones (스마트폰을 위한 안전하고 효율적인 무결성 검증 방법)

  • Han, Jin-Hee;Jeon, YongS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4.11a
    • /
    • pp.423-426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MTM(Mobile Trusted Module)과 커널상에 저장된 무결성 검증 파일을 이용하여 스마트폰의 부트로더 이미지 및 커널 이미지, 커널이 로딩되며 실행되는 실행파일, 라이브러리 파일 등의 무결성을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검증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부트로더 이미지와 커널 이미지, 외부로부터 악의적으로 변경되거나 수정될 경우 심각한 문제를 일으킬 수 있는 실행 파일이나 라이브러리 파일 등의 무결성 검증은 MTM 을 이용하여 안전하게 처리하고, 그 외 파일들의 무결성 검증은 커널상에 저장된 무결성 검증 파일을 이용하여 처리함으로써 MTM 기반 무결성 검증 기능을 모든 파일에 적용하는 경우에 발생될 수 있는 처리 시간 지연, 성능 저하 등의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Analyzing effects of correction of image distortion according to the number of patterns, size of image files and the number of image files (패턴 개수, 이미지 파일 크기, 이미지 파일 개수가 영상왜곡보정에 미치는 영향 분석)

  • Cheon, Sang-kyu;Jang, Si-wo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3.05a
    • /
    • pp.311-314
    • /
    • 2013
  • 방사왜곡, 접선왜곡으로 인해 영상의 왜곡이 발생한다. 왜곡 영상은 시각적인 문제 외에도 영상분석을 통해 정확한 수치 계산을 통해 영상을 처리할 때, 문제가 되기 때문에 영상을 보정해 주어야한다. 감시 시스템, 로봇의 시각 역할 등 다양한 비전 시스템에서 카메라가 장착되어 왜곡보정에 대한 사용도가 증가 하고 있다. 그리고 한 광각 카메라에서 획득한 영상은 비선형적인 방사 왜곡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정확한 영상을 획득하기 위해서는 왜곡 보정 작업을 수행하여야 한다. 왜곡된 영상을 올바르게 보정 해줄 캘리브레이션(Calibration)은 영상 좌표계의 한 점이 실세계 좌표계의 어느 위치에 대응하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보정 변수들을 결정하는 과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캘리브레이션(Calibration)을 수행할 때 패턴 개수, 이미지 파일 크기, 이미지 파일 개수가 영상 왜곡 보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해 보았을 때 다른 어떤 경우보다 패턴 개수를 비교적 작게 했을 때의 경우가 뚜렷한 차이를 보여주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