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이동평균 역필터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19초

이동평균필터를 사용하는 차동 검출기의 필터크기 결정 방법 (Filter Size Determination for Differential Detectors with Moving Average Filters)

  • 임민중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43권10호
    • /
    • pp.60-68
    • /
    • 2006
  •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은 주파수 선택적 페이딩 환경에서 구현상의 복잡도가 크지 않으면서 우수한 성능을 나타내는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OFDM 시스템의 수신기에서 하는 가장 중요한 일 중 하나는 프리앰블의 검출이다. 이 논문에서는 확장된 차동 검출 방식과 유사한 형태를 가지는 이동평균필터를 사용하는 차동 검출 방식을 제안하며 이동평균필터의 크기를 결정하여 다양한 환경에서 최적의 성능을 얻는 방법을 제안한다. 수식에서 최적의 이동평균필터의 크기는 딜레이 스프레드가 커짐에 따라 그리고 신호대잡음비가 커짐에 따라 감소함을 보인다.

주축 및 Z축 모터전류를 이용한 드릴파손 예측에 관한 연구 (Study on Prediction of Drill Breakage using Spindle and Z-axis Motor Currents)

  • 김화영;안중환
    • 한국정밀공학회지
    • /
    • 제16권7호
    • /
    • pp.101-108
    • /
    • 1999
  • A reliable and practical monitoring of drill breakage is a crucial technique in automatic machining system. In this study, a real-time monitoring system was developed to predict drill breakage using both spindle and z-axis motor current. Drill breakage is monitored by detecting the level of residual motor current which is obtained through the moving average filter algorithm. The residual exhibits a feature of sharp decrease just before drill breakage. Therefore, drill breakage can be predicted by detecting this characteristic of residual component. Z-axis motor current is better to predict the drill breakage than spindle motor current, because the former is faster in response than the latter when drill breakage is occurred. The evaluation experiments have shown that the developed monitoring system works very well.

  • PDF

극초단 펄스 Cr4+:YAG 레이저의 제작 및 동작 특성 (Construction and operational characteristics of a Ultra-Short pulse Cr4+:YAG laser)

  • 이봉연;이동한;이치원;윤석범;추한태
    • 한국광학회지
    • /
    • 제15권5호
    • /
    • pp.455-460
    • /
    • 2004
  • 1.064 $\mu\textrm{m}$ 파장의 연속발진 Nd:YAG 레이저를 펌핑 광원으로 하여 적외선 영역에서 광대역으로 파장 가변되는 연속발진 및 극초단펄스 C $r^{4+}$ :YAG 레이저를 자체 제작하였다. C $r^{4+}$ :YAG 레이저의 연속발진 및 펄스의 출력특성과 파장 가변 영역은 다음과 같다. 연속발진일 경우 1.436 $\mu\textrm{m}$에서 600 mW의 평균출력을 보였으나, 복굴절 필터를 삽입했을 경우는 1.492 $\mu\textrm{m}$근처에서 400 mW의 평균출력을 보였다. 펄스발진일 경우 1.436 $\mu\textrm{m}$에서 최초로 평균출력 320 mW의 모드록킹된 펄스가 발생하였지만 물 흡수대의 영향으로 불안정함을 피할 수 없었다. 따라서, 복굴절 필터를 사용하여 중심파장을 1.492 $\mu\textrm{m}$로 이동시켰으며 이 영역에서 안정한 상태의 모드록킹된 43 fs의 극초단 펄스를 생성하였다. 이 때의 평균출력은 280 mW이고, 반치폭(FWHM)은 45 nm이었다.

적응 대역필터를 이용한 의료 초음파 감쇠 예측 (Estimation of Medical Ultrasound Attenuation using Adaptive Bandpass Filters)

  • 허서원;이준환;김형석
    • 전자공학회논문지SC
    • /
    • 제47권5호
    • /
    • pp.43-51
    • /
    • 2010
  • 의료 초음파 신호의 인체내 감쇠지수는 검사대상 조직의 병리학적 특성을 반영할 뿐 아니라 다른 여러 의료 초음파 지수들의 정확한 예측을 위해 선행하여 측정해야 하는 중요한 정량적 정보 중 하나이다. 그러나 초음파 감쇠지수의 주파수 선택적 감쇠특성을 이용한 주파수 영역에서의 정량적 감쇠지수 예측 방법은 계산량이 많아 실시간 적용에 많은 어려움이 있고, 상대적으로 계산량이 적은 시간 영역의 감쇠지수 예측 방법은 전송 펄스의 회절효과를 잘 보상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표준 반향신호를 이용하여 전송 펄스의 회절효과를 보상하는 시간 영역의 예측 알고리듬인 VSA(Video Signal Analysis) 방법은 광대역 펄스를 이용하는 경우, 원거리에서 반향된 신호의 왜곡이 발생하여 예측 정확도가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그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적응 대역필터를 이용한 초음파 감쇠지수 예측 알고리듬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식은 반향 경로를 따라 누적된 신호 감쇠를 고려하여 적응 대역필터의 중심 주파수를 이동시킴으로써, 기존의 고정 대역필터를 사용하는 방법보다 예측 정확도와 정밀도를 높인다. 인체 조직의 초음파 반향특성을 모방한 컴퓨터 모의실험과 실제 TM(tissue-mimicking) phantom을 이용한 실험에서, 광대역 전송 펄스를 사용하는 경우보다 반향 깊이에 따른 상대적 echogenicity의 왜곡이 크게 감소하여 평균적으로 예측 감쇠지수의 정확도가 5.1% 향상되었고, 예측 편차도 기존의 방법에 비해 46.9% 감소되었다.

1996년 12월 13일 ML 4.5 영월 지진의 지진원 상수 (Source parameters for the December 13 1996 ML 4.5 Earthquake in Yeongwol, South Korea)

  • 최호선
    • 한국지진공학회논문집
    • /
    • 제13권5호
    • /
    • pp.23-29
    • /
    • 2009
  • 1996년 12월 13일 강원도 영월군 지역에서 국지규모(M$_L$) 4.5의 지진이 발생하였다. 진앙은 37.2545$^{\circ}$N, 128.7277$^{\circ}$E이며, 지체구조구상 옥천습곡대에 해당한다. 지진자료의 필터링 대역에 따라 파형역산을 수행하였는데, 0.02$\sim$0.2 Hz 필터링 대역을 적용할 경우 진원 깊이는 6 km, 지진모멘트는 1.3$\times$10$^{16}$ N$\cdot$m로 추정되었다. 이 지진모멘트는 모멘트규모(M$_W$) 4.7에 해당한다. 파형역산과 P파의 초동 극성 분석을 통한 영월 지진의 발진기구는 역단층 성분을 포함한 주향이동단층 특성을 보이며, 주응력 방향은 동북동-서남서 방향이다. 스펙트럼 분석을 통해 추정된 모멘트규모는 4.8이며, 이는 파형역산에 의해 추정된 모멘트규모와 비슷하다. 평균 응력강하는 14.3 MPa로 추정되었다.

적외선 영역에서 광대역으로 파장 가변되는 연속 발진 $Cr^{4+}$:YAG 레이저 개발 (Development of the continuous-wave $Cr^{4+}$: YAG laser with a broad tunability in the infrared region)

  • 추한태;이봉연;양준묵;이동한;임기수;이치원
    • 한국광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226-232
    • /
    • 1999
  • 연속 발진 Nd: YAG 레이저를 펌핑 광원으로 하여 보다 조밀하고 견고하며, 안정된 연속 발진 파장 가변 Cr4+ : YAG 레이저를 개발하여 레이저 출력 특성, 파장 가변성 및 발진 레이저 선폭 등을 조사하였다. 공진기 구조는 공진기 안정 조건을 계산하여 비점수차가 보상된 Z 자형 접힘 공진기를 구성하였다. 공진기 출력 거울의 투과율이 1%일 때, 결정의 온도를 2$0^{\circ}C$로 유지하며 6W로 펌핑하였을 경우, 중심 파장이 1.45$\mu\textrm{m}$에서 최대 400 mW의 평균 출력을 갖는 매우 안정된 연속 발진 Cr4+ : YAG 레이저를 얻을 수 있었으며, 출력 기울기 효율은 8%였다. 또한 공진기 내에 복굴절 필터를 삽입하여 1.399 $\mu\textrm{m}$에서 1.532 $\mu\textrm{m}$까지의 파장 가변 영역을 얻었고, 1.4903 $\mu\textrm{m}$에서 최대 340 mW의 평균 출력을 얻을 수 있었으며, 이때의 레이저 발진 선폭은 0.21 $\mu\textrm{m}$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