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이동평균

Search Result 2,926, Processing Time 0.045 seconds

Efficient Estimation of Regression Coefficients in Regression Model with Moving Average Process (오차항이 이동평균과정을 따르는 회귀모형에서 회귀계수의 효율적 추정에 관한 연구)

  • 송석현;이종협;김기환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 /
    • v.12 no.1
    • /
    • pp.109-124
    • /
    • 1999
  • 일반적으로 오차항이 자기상관되어 있는 선형회귀 모형에서는 회귀계수에 대한 보통최소제곱추정량이 효율적이지 못 하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일반화선형회귀모형에서 독립변수의 형태에 따라서는 OLSE의 사용 가능성을 제시하는 모형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오차항이 일차 이동평균 과정을 따르는 선형회귀모형에서 여러 추정량들 (GLSE, APX, MAPX)에 대한 OLSE의 상대효율함수를 유도하고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특히 소표본에서 정확한 상대효율값을 구하여 OLSE의 효율성이 크게 떨어지지 않거나 효율성이 나은 회귀모형들을 제시한다.

  • PDF

정사각형 평판의 진동 진폭 측정을 위한 스트로보스코픽 ESPI 기법 적용

  • 정현철;김경석;강기수;이유황;지창준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ecis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4.05a
    • /
    • pp.174-174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4변이 고정된 정사각형 알루미늄 평판의 진동 진폭을 측정하기 위하여, 기존의 위상 이동 ESP떼 스트로보스코프식 조사를 적용한 스트로보스코픽 ESPI 기법을 이용하였다. 일반적으로 시간평균 ESPI를 이용하면 진동하고 있는 대상체의 정성적인 진동 패턴을 측정할 수 있다. 그러나 시간평균 ESPI로는 진동하고 있는 대상체의 두께방향으로의 진폭량을 측정하기는 어렵다. 또한 일반적인 위상이동법을 적용시킬 경우, 대상체가 진동을 하게 됨으로써 정확한 진동 진폭을 측정하기 어렵다.(중략)

  • PDF

Flood Discharge Estimation Considering Characteristics of Rainfall Movement (강우이동 특성과 준분포 모형을 이용한 홍수량 산정)

  • Kim, Yon-Soo;Kim, Soo-Jun;Jang, Dae-Won;Kim, Hung-Soo;Lee, Jong-S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155-159
    • /
    • 2010
  • 홍수 예 경보 및 강우-유출의 관계에 의한 홍수량 산정은 수자원 계획과 관리에 있어 중요한 요소라 할 수 있다. 이러한 강우-유출의 관계를 표현할 수 있는 모형은 최근 분포형 모형으로 발전하게 되었지만, 유역수문 모형의 비약적인 발전과는 다르게 강우자료는 점 강우량을 유역내 평균강우량으로 산정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실제 유역에서 강우의 분포는 다양한 이동속도와 방향을 가지고 있기에 유역 내 평균강우량이 발생한다고 가정하기에는 어려운 상황이 많다. 본 연구에서는 격자로 분할된 섬진강 유역에 임의로 생성한 중앙집중형 강우와 2009년 7월 12일부터 2009년 7월 15일까지의 레이더 강우 자료를 실제 이동방향과 수직된 나머지 세 방향으로 각각 공간분포 시켰으며, 강우의 이동과 공간분포를 함께 고려할 수 있는 준분포형인 Modified Clark 방법으로 유출량을 모의하였다. 실측된 유출량 및 강우이동에 대하여 모형을 검 보정한 후 직각된 4방향성으로 강우를 이동시켜 유역출구의 홍수량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강우이동형태에 따라 첨두유량이 변화함을 알 수 있었으며, 가상의 이동강우 및 레이더 강우가 하류에서 상류로의 이동보다 상류에서 하류로 이동하는 특성이 유역출구에서의 첨두유량이 크고 지체시간을 지속시킴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강우이동 특성을 고려할 수 있는 레이더 강우를 이용함으로써 홍수 유출특성의 변화 정도에 대한 신뢰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PDF

Application of Moving Design Storm for Rainfall-Runoff Simulation (이동설계강우의 적용성 연구)

  • Oh, Kyoung-Doo;Lee, Soon-Cheol;Ahn, Won-Sik;Jun, Byong-Ho;Ryu, Jae-H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244-248
    • /
    • 2008
  • 홍수량산정과 관련하여 국내 실무에서 어려움을 겪는 가장 큰 문제는 설계강우의 결정이다. 설계강우와 관련하여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크게 강우의 시간분포(예를 들면 Huff, Mononobe, 교호블록 등), 강우의 공간분포(ARF 적용 등)의 두가지 문제로 집약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강우의 시간분포와 공간분포에 관련된 문제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방법으로 교호블록형 이동설계강우에 대한 적용 방법을 제안하고 그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연구된 강우의 이동속도와 여름철 저기압기단과 태풍의 이동속도 등을 감안하고 나아가 표준화된 방법으로서 적용의 용이성 등을 고려하여 강우의 이동속도 $\upsilonv\;=\;10km/hr$, $\Delta\;=\;10km$ 간격으로 직사각형 띠 형태로 연결되는 이동강우를 채택하였다. 강우의 이동방향은 서$\rightarrow$동, 남$\rightarrow$북, 남서$\rightarrow$북동의 3가지 방향을 기준하였다. 유역특성 이동강우 3가지(서$\rightarrow$동, 남$\rightarrow$북, 남서$\rightarrow$북동)와 정체강우 2가지(유역평균, 유역특성) 등 총 5가지 경우에 대하여 100년 빈도 48시간 설계강우를 한강유역의 분포형 강우-유출 모형에 적용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정체강우에 있어서 유역평균강우와 유역특성강우에 대한 홍수량 비교를 통하여 해당 유역의 홍수량과 강우량과의 관계를 판단할 수 있었다. 충주댐유역의 경우 한강유역 전체에 대한 평균 100년 빈도 강우가 내린다면 23,000cms까지도 발생할 수 있으나 충주댐유역 100년 빈도에 해당하는 강우량으로는 18,000cms 정도의 홍수량이 발생하여 상대적으로 강우량이 적은 지역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임진강하류부는 한강유역평균강우 보다 더 많은 강우량이 내림으로 인하여 홍수량이 증가하는 유역임을 알 수 있었다. (2) 이동설계강우에 대하여 분석한 결과 유역이 매우 크거나 매우 작으면 강우의 이동방향에 대한 영향이 상대적으로 감소해가는 반면에 중규모 유역에서 상대적으로 영향이 크게 나타났다. 한강하구와 같은 대유역의 경우 여러 방향의 유역들이 유출에 기여하기 때문에 강우의 이동방향에 대한 영향이 상쇄되기 때문으로 분석되었다. 반면에 매우 작은 소유역의 경우는 전체 유역이 단일 강우강도의 영향권에 놓이게 되므로 이동방향의 영향이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정체설계강우와 이동설계강우의 비교를 통하여 한강하구와 같은 대유역의 이동강우에 대한 ARF 효과를 간접 측정할 수 있었다. (4) 정체설계강우 보다 이동설계강우가 오히려 더 큰 첨두홍수량을 발생시키는 유역들이 있었다. 이와 같은 수문현상은 기존 정체형 설계강우로는 분석이 어려운 현상으로서 강우와 유역특성에 대한 보다 심층적인 연구 필용성을 제기하고 있다.

  • PDF

The Correlation between Groundwater Level and the Moving Average of Precipitation considering Snowmelt Effect and Critical Infiltration in Han River Watershed (융설효과와 한계침투량을 고려한 한강유역의 지하수위와 강우이동평균간의 상관관계)

  • Yang, Jeong-Seok;Kim, Nam-Ki
    •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 /
    • v.19 no.3
    • /
    • pp.313-321
    • /
    • 2009
  • The relationship between precipitation and groundwater level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moving average of precipitation and goundwater level were analyzed for the Han river watershed in Korean peninsular. Fourteen regions in the watershed were selected and there were somewhat different patterns of seasonal fluctuation of groundwater level data. The groundwater level data tends to decrease in dry spell and increase in wet spell however the range between maximum and minimum values is quite different for each gauging point. We could have stronger correlation between groundwater level for fractured rock aquifer and the moving average of precipitation than the groundwater level for alluvial aquifer. The critical infiltration, which is the maximum daily infiltration averaged throughout watershed, value is turned out to have the range of 10 to 90 mm. We could have stronger correlation when we consider critical infiltration and modify the original precipitation data than we use original precipitation data. We also could have higher correlation coefficient when we consider snowmelt effect for the watershed that has considerable snow even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Moving Average of Precipitation and Groundwater Level in Korea (한국의 지하수위와 강우이동평균간의 상관관계)

  • Yang, Jeong-Seok;Kim, Nam-Ki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1 no.3B
    • /
    • pp.265-276
    • /
    • 2011
  • Precipitation data and groundwater level data were collected for Korean peninsular and Jeju island. The relationship between precipitation and groundwater level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moving average of precipitation and goundwater level were analyzed. Critical infiltration, which is the spatially averaged maximum daily infiltration depth over interested region, is considered when the precipitation data was modified for moving average process and correlation between the moving average of modified precipitation and groundwater level. High correlation regions, which have greater than 0.6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selected after the analysis with ciritical infiltration. Twenty-six regions were selected for high correlation regions. If we divide the regions by administrative district, there are nine regions for Gyungsang-Do, five regions for Chunchung-Do, four regions for Gyunggi-Do and Gangwon-Do, three regions for Jolla-Do, and one region for Jeju island. The groundwater level data for high correlation regions shows obvious response after precipitation event and there are few cases with abrupt change in groundwater level without precipitation-related event.

Effects of filtering techniques for smoothing reservoir inflow data (저수지 유입량 자료 평활화를 위한 필터링 기법 적용 효과)

  • Youngje Choi;Jaehwang Lee;Moon Hyung Par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424-424
    • /
    • 2023
  • 댐, 저수지 등 수자원 시스템분석 시 가장 기초가 되는 유입량 자료는 실측 수위(저수량)와 방류량을 역산하여 산정된다. 이 중 댐 수위는 수표면 진동으로 인해 변동이 크며, 특히, 급격한 수위 변화가 발생하는 홍수기에는 수위-저수량 변환 시 큰 오차가 발생하여 유입량 진동이 더욱 커지게 된다. 하지만 홍수기 저수지 운영 효과 분석 등 관련 연구를 위해서는 시간 간격이 짧은 10분 또는 1시간 단위의 유입량 자료가 필요함에 따라 관련 연구 수행 시 이동평균법(Moving Average) 등을 통해 실측 유입량 자료를 보정하여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데이터 평활화를 위해 이동평균법을 적용하면 데이터의 변동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는 있지만 실측자료와 비교하였을 때 첨두 유입량이 큰 폭으로 감소하거나, 첨두 유입량 발생시간이 지체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연구에서는 저수지 유입량과 같이 변동이 큰 수문자료의 평활화를 위해 가우시안 가중 이동평균법(Gaussian-weighted moving average technique), 사비츠키-골레이 필터링기법(Savitzky-Golay filtering technique) 등 필터링 기법을 댐 유입량 보정에 적용하고, 이에 따른 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20년 8월에 발생한 홍수사상을 대상으로 충주댐, 합천댐 등 다목적댐 유입량 자료를 수집하고, 보정을 수행하였다. 필터링 기법의 적용 효과 분석을 위해서는 실측자료와 이동평균법을 적용하여 보정한 결과와 비교하였고, 추가적으로 비교적 변동이 작은 일 단위 유입량 자료와의 양적 비교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이동평균법을 적용하였을 때보다 필터링 기법을 적용하였을 때 실측자료와의 양적 차이가 작고, 첨두 유입량 및 첨두 유입 발생시간에서도 차이를 큰 폭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PDF

The Motion Artifact Reduction using Periodic Moving Average Filter (주기적 이동평균필터를 이용한 동잡음 제거)

  • Lee, Jun-Yeon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17 no.4
    • /
    • pp.75-82
    • /
    • 2012
  • The Photoplethysmogram is a similar periodic signal that synchronized to a heartbeat. In this paper, we propose a periodic moving average filter that use similarity of Photoplethysmogram. This filtering method has the average value of each samples through separating the cycle of PPG signal. If there are some motion artifacts in continuous PPG signal, disjoin the signal based on cycle. And then, we made these signals to have same cycle by coordinating the number of sample. After arrange these cycles in 2 dimension, we put the average value of each samples from starting till now. So, we can eliminate the motion artifacts without damaged PPG signal.

A study on estimating piecewise linear trend model using the simple moving average of differenced time series (차분한 시계열의 단순이동평균을 이용하여 조각별 선형 추세 모형을 추정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

  • Okyoung Na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 /
    • v.36 no.6
    • /
    • pp.573-589
    • /
    • 2023
  • In a piecewise linear trend model, the change points coincide with the mean change points of the first differenced time series. Therefore, by detecting the mean change points of the first differenced time series, one can estimate the change points of the piecewise linear trend model. In this paper, based on this fact, a method is proposed for detecting change points of the piecewise linear trend model using the simple moving average of the first differenced time series rather than estimates of the slope or residuals. Our Monte Carlo simulation experiments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performs well in estimating the number of change points not only when the error terms in the piecewise linear trend model are independent but also when they are serially correlated.

A Study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a Sweet Flavor for Oriental Herbal Medicines (감미 한약재의 이화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 Deog-Bin, Lim;Ho-Young, Choi;Jae-Seong, Rhee
    • The Journal of Korean Medicine
    • /
    • v.23 no.1
    • /
    • pp.61-66
    • /
    • 2002
  • 목적: 본 연구는 감미의 작용에 관한 "감보" 등의 이론적 바탕과 약물의 이화학적인 특성을 통해 약효를 어느 정도 예측하고자 하였다. 방법: 한약재의 오미별 이화학적 특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수소이온농도(pH), $200^{\circ}C$$550^{\circ}C$에서의 질량감소량, 전기전도도, 가시부 및 자외부 흡수 spectrum의 전자전이에 따른 비율, TLC에 의한 주요 성분의 이동율($R_{f}{\;}value$)과 낮은 성분의 이동율($R_{f}{\;}value$)을 측정하였다. 결과: 전탕에 따른 수소이온농도(pH)의 평균은 $5.24{\pm}0.56$이었으며. 약재의 휘발 성분 및 수분 함유량은 $288{\pm}125mg$이었고, 유기물함량의 평균은 $867{\pm}116g$이었으며, 전기전도도의 평균은 $5.46{\pm}0.93S/cm$이었으며, 가시부 및 자외부 흡수 spectrum의 전자전이에 따른 흡광도 비율($\pi{\\rightarrow}\pi^{*}/n{\rightarrow}\pi^{*}$)의 평균은 $3.043{\pm}0.679$이었으며, TLC에 의한 주요 성분의 이동율($R_{f}{\;}value$)의 평균은 $0.553{\pm}0.317$이었고, TLC에 의한 낮은 성분의 이동율($R_{f}{\;}value$)의 평균은 $0.136{\pm}0.122$ 이었다. 결론:약재의 pH는 모두 7보다 낮은 약산성 이었으며, 약재의 휘발 성분 및 수분 함유량은 대략 10~50%정도를 나타내었다. 유기물함량은 대략 80~95%정도를 나타내었다. 전기전도도를 통하여 산약이나 감초는 이온성 물질을 많이 포함하고 있으리라 추정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