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이동통신망

Search Result 920,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Compensation of Laser Diode Nonlinearity in the Optical SCM System for CDMA RF Signal Transmission (CDMA RF 신호 전송용 광 SCM 트래시버에서 레이저 다이오드의 비선형 왜곡 보상)

  • 최영우;유진태;이길성;박진우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25 no.12A
    • /
    • pp.1766-1773
    • /
    • 2000
  • 이동통신망에서 RF 신호를 송수신하는 기지국(base station)과 이동 통신 신호의 교환 전송을 담당하는 중앙국(central station)을 광섬유로 연결하여 구성하는 SCM (Subcarrier Multiplexing) 전송 시스템은 미래의 음성, 영상, 데이터 서비스 등의 이동통신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기 때문에 최근 관심사가 커지고 있다. 이동통신망을 위한 SCM 광전송 시스템의 유용성에도 불구하고, CDMA RF 신호를 전송하는 과정에서 많은 물리적인 제약이 있다. 특히, 많은 가입자의 CDMA RF 신호가 하나의 레이저 다이오드(LD: Laser Diode)를 구동시킬 때, RF 신호의 합이 레이저 다이오드의 선형영역을 벗어나면 클리핑(clipping)이나 비선형 왜곡이 발생하여 시스템의 성능을 저하시키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CDMA RF 신호의 SCM 광전송 성능분석을 통해 레이저 다이오드에 의해 발생하는 비선형 왜곡의 영향을 분석하고, 분석 결과로부터 레이저 다이오드에 의한 비선형 효과를 최소화 할 수 있는 비선형 왜곡 보상구조를 제안하였다. 또한 제안된 레이저 다이오드 비선형 보상기의 성능을 시뮬레이션과 실험을 통해 얻어진 BER로부터 측정하였다.

  • PDF

IPv6 기본 개념 및 관련 기술의 이해

  • Kim, Pyeong-Su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32 no.3
    • /
    • pp.94-104
    • /
    • 2015
  • 본 튜토리얼 논문에서는 최근 들어 다양한 형태의 스마트 기기 보급 확산으로 인한 모바일인터넷은 물론 사물인터넷 시대의 도래로 급격히 증가하는 인터넷 주소 수요로 인해 도입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국내 외적으로 적용 확산을 위한 시도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IPv6(IP version 6)의 기본 개념과 관련 기술을 표준화 및 논문연구를 중심으로 알기 쉽게 이해시키고자 한다. 첫 번째로, 현재 사용되고 있는 인터넷 프로토콜 IPv4(IP version 4)와의 특징 비교와 주소 및 헤더를 통해 IPv6의 기본 개념을 자세하게 설명한다. 두 번째로, IPv4와 IPv6의 공존과정에서 IPv6의 연착륙을 위해 필요한 다양한 전환기술을 접근 방식과 세대별 분류를 통해 설명한다. 세번째로, 다양한 무선 환경에서의 이동단말의 연속적인 인터넷 서비스를 위한 IPv6 이동성 기술을 중앙 집중형 및 분산형 관리 기반으로 나누어 소개한다. 네 번째로, IPv6 보안측면에서의 이슈를 다루고, 다섯 번째로로, 4세대 이동통신망(4G) 대비 10~1,000배의 연결 디바이스를 고려하고 있는 5세대 이동통신망(5G) 네트워크 환경에서 중요한 서비스로 간주되고 있는 사물인터넷 서비스에서의 IPv6의 역할을 다룬다. 마지막으로, 국내외에서 진행된 대표적인 IPv6 상용서비스 사례를 제시한다.

Traffic Information System Development with Location and Streaming Information (위치정보와 영상정보를 이용한 교통정보 서비스 개발)

  • Ki-Won Son;Bo-Young Rhee;Hee-Min Kim;Sun-Young Ha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8.11a
    • /
    • pp.1028-1030
    • /
    • 2008
  • HSDPA, Wibro 의 서비스를 시작으로 제 3 세대 이동통신망이 상용화 서비스가 시작되었다. 하지만 3 세대 이동통신 서비스는 아직 사용자에게 기존의 서비스보다 향상된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이동성지원 및 전송방식 측면에서의 발전은 이루었지만 그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다른 한편으로 현재 서비스되고 있는 TPEG 은 서비스의 초기 단계로 버스나 택시에 GPS 칩이나 RF 칩을 장착해 정보를 수집하여 사용자에게 정량화된 방식으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3 세대이동통신망의 서비스 문제점과 기존의 TPEG 서비스의 문제점을 동시에 해결 할 수 있으며, 실시간으로 다수의 차량으로부터 영상과 위치정보를 전송 받을 수 있는 서비스를 개발 하였다. 제안된 서비스는 웹 카메라와 GPS 수신기, UMPC, 3 세대이동통신을 할 수 있는 모뎀를 이용하여 전송하며 일반적인 웹브라우저가 설치된 컴퓨터에서 수신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