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이동통신망

Search Result 920,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A Study on the Implementation of Ambulatory Monitoring System Using Wireless Data Communication Network (무선 데이터 통신망을 이용한 보행형 감시 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 Go, Seong-Il;Kim, Yeong-Gil
    • Journal of Biomedical Engineering Research
    • /
    • v.20 no.1
    • /
    • pp.75-80
    • /
    • 1999
  • Since a Holter monitor records a patients' ECG when he is in motion, it can monitor complex heart disease effectively. But it can not handle a sudden heart disease because the diagnosis process will be done only after 24 hours. So in this study, a model of ambulatory monitoring system using wireless data communication network is proposed. And a mobile ECG equipment and a doctors' terminal are developed for the proposed system implementation. As a result, we can evaluate that the proposed ambulatory monitoring system is suitable for the management of ambulatory patients who may be at risk form sudden cardiac abnormalities.

  • PDF

Handover procedure implementation and its performance analysis for mobile IPTV service based on WiMAX network (WiMAX 네트워크 기반의 모바일 IPTV 서비스 제공을 위한 핸드오버 절차 구현 방법 및 성능 분석)

  • Song, Soon Yong;Kim, Young-I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1.11a
    • /
    • pp.349-352
    • /
    • 2011
  • 모바일 IPTV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방송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동통신망을 통해 원활하게 방송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극복해야 할 기술적인 장벽이 몇 가지 존재한다. 그 중 하나로, 사용자가 기지국과 기지국 사이를 이동하는 경우 통신망은 연속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상대 기지국에 사용자의 정보를 전달하는 핸드오버 절차가 수행된다. 핸드오버 절차가 수행되면 시간의 지연이 발생하는데, 시간 지연은 방송 품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핸드오버의 발생에 따른 성능 분석은 원활한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있어 필수적인 과정으로 볼 수 있다. 본 논문은 핸드오버 성능을 분석하기 위하여 기본적인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의 기능이 이미 구현되어 있는 NLS(Network-level Simulator)를 이용한 모의실험 방법을 제시한다. 하지만, 성능 분석에 필요한 기능이 모두 NLS에 포함되어 있지는 않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NLS 중 하나인 QualNet을 이용하여 핸드오버 성능 분석에 필요한 기능을 구현하는 방법을 예로 설명한다. 성능은 핸드오버 지연시간과 지연시간의 CDF(Cumulative Distribution Function) 로서 나타낸다.

  • PDF

Required Specification Analysis of CPRI Link of 4G Mobile Networks for Using WDM-PON Transmission (WDM-PON 전송을 이용한 4G 이동통신망 CPRI 링크의 시스템 요구규격 분석)

  • Kim, Sung-Man;Mun, Sil-Gu;Lee, Sang-Soo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37 no.7B
    • /
    • pp.499-504
    • /
    • 2012
  • Recently, base stations composed of digital unit (DU) and radio unit (RU) have been widely used in 4G mobile networks. To connect DU and RU, CPRI (common public radio interface) is usually used as the interface standard. This CPRI link is considered as one of the application markets for WDM-PON. In this paper, we analyzed the required specification of WDM-PON for the CPRI link of the 4G LTE-Advanced base station composed of DU and RU. This analysis is important to set a target goal of the development of WDM-PON system for 4G mobile networks.

A Study on Cardiac Disease Management System in Mobile Networks (이동통신망에서 심장질환 관리 시스템에 관한 연구)

  • Han, Kwang-Rok;Sahn, Surg-Won;Jang, Dong-Wook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14 no.1
    • /
    • pp.163-171
    • /
    • 2009
  • Precaution is important in cardiac disease above all things. However, current developed tele-monitoring devices limit their communication distance by 100 m and have disadvantage that the device must be activated by the patients themselves. To overcome these shortcomings, we design and implement a cardiac disease management system by sending abnormal ECG signals automatically to the PC in hospital using mobile networks. Experiments show that ECG signals of the patients are transmitted to the database server in hospital without any distortion. Moreover, the amount of SMS data decreased by more than 30% using base64 method than hexadecimal one.

Design and Evaluation of Efficient Causal Order Algorithm in Mobile Network (이동통신망에서의 효율적인 인과순서 알고리즘의 설계 및 평가)

  • Jang, Ik-Hye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1.10a
    • /
    • pp.267-270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이동통신망에서의 효율적인 인과순서 알고리즘을 채널전환 알고리즘과 함께 제안한다. 인과순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순서를 유지하기 위한 제어정보를 교환하여야 하며, 송수신 양측은 메시지를 보내거나 받은 전후에 각각의 제어정보를 수정하여야 한다. 특히 이동유닛이 다른 셀로 이동한 경우, 채널전환 프로토콜은 기존의 기지국과 새로운 기지국에서 동시에 제어정보 관리를 위한 작업을 수행하여야 하며, 기존의 기지국에 있는 이동 유닛의 제어정보는 새로운 기지국으로 전달되어야 한다. 따라서 제어정보의 크기가 채널전환시간과 메시지 지연시간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기 때문에, 전송되는 제어정보의 양을 최소화하여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제어정보의 양을 줄이기 위하여 유효한 통신패턴을 분석하여 중복으로 교환되는 제어정보가 최소화되는 인과순서 알고리즘을 제안하였으며, 모의실험을 통하여 제안된 알고리즘이 기존의 알고리즘에 비해 효율적임을 보였다.

  • PDF

5G+ 초연결 환경을 위한 암호기술 연구

  • Jang, Chan-Guk;Kim, Hyeon-Gi;Yun, Seung-Hwan;Lee, Ok-Yeon
    • Review of KIISC
    • /
    • v.30 no.6
    • /
    • pp.47-53
    • /
    • 2020
  • 4G/LTE로 일컫는 4세대 이동통신 이후 등장한 5세대 이동통신 기술은 초고속, 초연결, 초저지연 등을 기술적 요구사항으로 정의하다. 특히, 초연결을 위한 요구사항으로 1㎢단위 면적당 1백만개의 사용자 단말장치 또는 기기 등을 이동통신망에 연결토록 하는 것이고. 사용자 및 개체와 이동통신망 사이에서 식별을 포함하여 상호 인증 및 키 일치와 같은 암호기술을 요구하고 있다. 이때 사용자 및 개체 인증을 위한 많은 양의 난수가 소요되며, 이를 구현하기 위한 홈 네트워크 뿐만 아니라 단말 등에 적합한 난수기반의 암호장비 수요가 가시화 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5G 이동통신 환경에서 암호기술을 소개하고, 5G 이후 초연결을 위한 암호기술의 연구결과를 제시한다.

Multi-States Based Hybrid Location Update Strategy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이동 통신망에서의 다중 상태 기반의 혼합형 위치 갱신 방법)

  • Lee, Goo-Yeon;Lee, Yong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TC
    • /
    • v.44 no.1
    • /
    • pp.113-122
    • /
    • 2007
  • In this paper, we propose a multi-state based hybrid location update scheme, which integrates the time-based and the movement-based methods. In the proposed scheme, a mobile terminal updates its location after n cell boundary crossing and a time interval of T[sec]. We derive an analytical solution for the performance of the hybrid scheme with exponential cell resident time and evaluate it numerically with time-varying random walk mobility model, which we model as multi-states Markov chain. Furthermore, we also evaluate the scheme for arbitrary cell resident times by simulation. From the numerical analysis and the simulation results, we prove that the proposed scheme significantly outperforms the time-based and the movement-based methods, when implemented alone, more accurately adapting to the time-varying user mobility.

Implementation Knapsack Problem Algorithm M2M Simulator for Optimal Network (최적 통신망을 위한 Knapsack Problem 알고리즘 M2M 시뮬레이터 구현)

  • Lee, Sun-Sik;Song, Min-Seop;Jang, Jong-Wo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3.10a
    • /
    • pp.481-484
    • /
    • 2013
  • Many people today are interested in Machine to Machine (M2M) as the new-generation growth engine of mobile communications service providers in Korea. Its use and application are broadening to various areas and the number of devices used for it is increasing to increase the number of information transmitted for each object. When the traffic reaches its limit while each set of data is transmitted from the devices divided into each group through the mobile network, M2M communications service might not be processed smoothly. This study used the Knapsack Problem algorithm to create a virtual simulator for a smooth M2M service when the mobile network used for the M2M communications reaches its limit. The virtual simulator applies smooth processing of services from the M2M communications that should be processed first to other subsequent services when data comes to each group of devices. As the M2M technology develops to make many objects more compact in size, it would help with smoother processing of M2M services for the mobile network with fast-increasing traffic.

  • PDF

Optimal Mobility Management of Cellular Networks Using Two Types of Cell Residence Time (이동 통신망에 있어 새로운 이동성 모형화에 따른 최적 이동성 관리)

  • 장인갑;홍정식;이창훈
    • Proceedings of the Korean Operations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2.05a
    • /
    • pp.136-143
    • /
    • 2002
  • 이동 통신망에서 호의 연결 기능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이동체(Mobile Terminal)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위치추적은 이동체에 의해 수행되는 위치등록과 기지국에 의해 수행되는 페이징에 의해 이루어진다. 하나의 기지국이 담당하는 영역은 셀이라 불리며. 이러한 여러 개의 셀들이 하나의 영역(Zone 흑은 Location Area로 표현됨)을 형성하여 특정의 이동체가 주어진 영역을 벗어나면 위치등록을 하게 되고, 따라서 이 이동체에게 새로운 호가 발생할 때 그 이동체가 최종적으로 등록한 영역에 있는 모든 셀에 페이징 메시지를 보냄으로써 호의 연결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양자는 서로 상쇄관계에 있으며. 양자간의 적절한 부하를 도출하는 것을 이동성 관리(Mobility Management)라고 한다. 기존의 논문에서는 이동성 관리를 위해 이동체의 이동성 모형을 단순히 호 발생률과 이동체의 이동률의 비를 기준으로 분석하였으나, 이것은 연속적인 이동상태나 장기 정지/이동의 패턴은 보여주지 못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셀 체류시간의 분포를 다르게 하여 장기정지 상태와 이동 상태가 반복되는 새로운 이동성 모형을 제시하며, 이를 바탕으로 거리기준 위치등록의 최적 기준치를 새로이 도출하며 분석의 결과를 기존 논문과 비교하여, 그 의미를 탐색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