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이동식 상태점검 장비

Search Result 4,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Non-contact mobile inspection system for tunnels: a review (터널의 비접촉 이동식 상태점검 장비: 리뷰)

  • Chulhee Lee;Donggyou Kim
    • Journal of Korean Tunnelling and Underground Space Association
    • /
    • v.25 no.3
    • /
    • pp.245-259
    • /
    • 2023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most recent tunnel scanning systems to obtain insights for the development of non-contact mobile inspection system. Tunnel scanning systems are mostly being developed by adapting two main technologies, namely laser scanning and image scanning systems. Laser scanning system has the advantage of accurately recreating the geometric characteristics of tunnel linings from point cloud. On the other hand, image scanning system employs computer vision to effortlessly identify damage, such as fine cracks and leaks on the tunnel lining surface. The analysis suggests that image scanning system is more suitable for detecting damage on tunnel linings. A camera-based tunnel scanning system under development should include components such as lighting, data storage, power supply, and image-capturing controller synchronized with vehicle speed.

Development of a Framework for Anti-Collision System of Moving Drilling Machines on a Drill Floor (시추 작업장의 이동식 시추 장비 충돌 방지 시스템을 위한 프레임워크 개발)

  • Lee, Jaeyong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21 no.4
    • /
    • pp.330-336
    • /
    • 2020
  • An anti-collision system between equipment is essential on a drill floor where multiple moving machines are operated simultaneously. This is to prevent accidents by halting the machines when required, by inspecting possibility of a collision based on the relative position data sent by the equipment. In this paper, we propose a framework for an Anti-Collision System (ACS) by considering expandability of the number of machines and computational speed, to promote development of drilling machines and corresponding ACS software. Each drilling equipment is represented as an object in the software with its own message format, and the message is constructed with serialization/deserialization to manage any additional equipment or data. The data handling process receives the current status of machines from the drilling control network, and relays a collision related message (including bypass signal) back to the machines. A commercial visualization software shows the bounding boxes moving with the equipment and indicates probable collision. It has been determined that the proposed system maintains total execution time below 5ms to process data from the network and relay the information hence, the system has no effect on the machine control systems having 100ms control cycle.

Improvement of Microwave Water Surface Current Meter and its Commercialization (전자파표면유속계의 성능개선 및 실용화)

  • Kim, Young-Sung;Lee, Hyun-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85-85
    • /
    • 2011
  • 홍수기에 안전하고 정확한 유량측정을 통하여 물관리에 필요한 기초수문자료를 확보하고자 한국수자원공사에서 1993년도부터 홍수유량측정기술 확보를 위한 연구를 시작하였다. 그간의 연구성과를 바탕으로 1999년도에 하천의 유속을 비접촉식으로 측정할 수 있는 홍수용 전자파표면유속계를 개발하여 특허등록하였고 그와 동시에 이의 상품화를 추진하여 2010년도까지 75대를 보급하여 실무에서 이용하고 있다. 이동식인 홍수용 전자파표면유속계를 바탕으로 2001년도에는 고정식 실시간 홍수유량측정측정시스템을 개발하여 특허등록하였고, 이 시제품을 현재 용담 수자원시험유역의 동향지점에서 시험운영하고 있다. 또한, 현장 유량측정실무자들의 홍수용 전자파표면유속계 개선요구에 따라 편각용 전자파표면유속계 시제품을 개발하였으며, 이는 임의의 한 지점에 설치한 한 대의 장비로 좌우 여러 측선의 유속을 동시에 측정할 수 있는 다점 측정기능을 갖도록 성능을 개선하였다. 이에 따라 홍수시 유량측정에 소요되는 시간이 줄어들어 신속하게 유량측정을 완료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이와 더불어 유속측정 범위를 확장하여 홍수시의 고유속 뿐만 아니라 0.5 m/s 이하의 저유속까지 측정할 수 있는 범용 전자파표면유속계의 시제품을 추가로 개발하였다. 이 장비는 최저유속 0.03 m/s의 측정을 실내시험을 통하여 입증하였다. 범용 전자파표면유속계는 상품화 시제품의 개발을 목표로 기존 시제품의 현장시험을 통하여 현장적용상의 문제점에 대한 해결에 주력하였다. 첫째, 평갈수용 전자파표면유속계의 사용편의를 개선하기 위하여 소형화 및 경량화를 추진하였고, 이를 위하여 사용주파수를 기존의 10 GHz에서 24 GHz로 변경함으로써 $35{\times}35\;cm$ 크기의 기존안테나를 $22{\times}22\;cm$ 크기로 소형화하였으며 송수신부의 무게는 기존 18 kg에서 3.3 kg으로 혁신적으로 줄이는데 성공하였다. 이를 위하여 안테나는 기존의 반사형안테나에서 도파관슬롯배열안테나로 변경하였다. 둘째, 측정값의 안정화를 위하여 안테나의 특성을 개선하여 부엽(side-lobe) 레벨 30 dB 이하 그리고 전후방비(front-back ratio) 50 dB 이하로 개선하여 안테나가 지향하는 방향 이외의 위치에서 반사되는 불필요한 신호를 줄였다. 또한 적응형 이득제어(adaptive gain control)기법의 채택으로 미소 신호에 대한 안정적 측정 및 과다 신호에 대한 능동적 감쇄를 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구성하여 전 유속범위에 대한 안정적 측정을 가능토록 설계 및 제작하였다. 셋째, 자가점검 기능을 탑재하여 유속측정 전에 기기의 상태에 대한 self test기능을 통하여 측정자가 기기의 상태를 사전에 파악 가능토록함으로써, 기기 오작동에 대한 능동 대처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외에도 저전력 회로설계를 통하여 배터리 사용시간을 확장하였고, 기존의 전자파표면유속계가 가지고 있던 방습 및 방수에도 내성을 갖는 제품으로 설계하였으며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무선측정 및 세련된 디자인 등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충분히 반영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Quality Control Standards for Accuracy Improvement of DSRC Traffic Information System (DSRC 교통정보 정확도 개선을 위한 품질관리 기준수립 연구)

  • Hwang, Taehyun;Won, Insu;Kwon, Jangwoo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 /
    • v.19 no.1
    • /
    • pp.44-57
    • /
    • 2020
  • A dedicated short-range communications (DSRC) traffic information system is a detection system for a section of road using communication between roadside equipment and on-board High-Pass units to collect road traffic information and provide reliable traffic information to drivers.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announced that a DSRC system must be supported to pass the performance evaluation of an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 (ITS), and the performance evaluation for DSRC systems installed in expressways and national highways is started. Currently, DSRC traffic information systems are only managed for maintenance and functional-monitoring purposes, which means that detailed criteria for the operation of a DSRC traffic information system, such as communication range, the direction of the antenna, and the power of the radio wave, etc., need to be established. In this paper, the criteria of the performance evaluation of a DSRC traffic information system are presented for different road types and road environments. The proposed performance evaluation criteria included the communication range and communication power of roadside equipment. In addition, installation criteria, such as the direction of the antenna, and the height and angle of the installed system, are presented for different road types and road environments. The criteria presented were evaluated for DSRC roadside equipment and documented to improve system maintenance and quality control of the communication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