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의학 교육

검색결과 1,448건 처리시간 0.025초

의학교육에서 medical simulation의 세계적 동향

  • 윤유상
    • 의학교육논단
    • /
    • 제8권1호
    • /
    • pp.55-59
    • /
    • 2006
  • 현대 의학의 발달과 더불어 최근 의학교육에는 많은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그 중에서 최근 주목 받기 시작한 분야가 의학 시뮬레이션(medical simulation)이다. 시뮬레이션은 과거 강의 위주의 교육에서 한걸음 더 나아가 학생으로 하여금 임상에 가까운 상황에 접하게 함으로써 임상 진료 및 위기 상황을 경험하게 하여 지식과 수행을 통합하는 교육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임상 경험을 할 수 있으며 환자에게 위해가 가해질 가능성이 없고, 학생에게도 안전한 교육 방법으로써 세계 여러 국가들이 도입한 교육 방법이다. 물론 시뮬레이션 교육은 비용과 시설 및 인력 요건의 구비가 상당히 많이 필요한 것이 사실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세계의 많은 대학들이 시뮬레이션에 투자하는 것은 의학교육의 흐름에 중요한 영향을 주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최근 한국의 의학교육에서도 새로운 교육과정의 도입과 의사국가고시 실기시험이 도입되는 등 급격한 변화의 바람이 불면서 의학시뮬레이션 센터를 구축하는 곳이 늘어나고 있다. 의학 시뮬레이션의 세계적 동향을 주목할 필요가 있으며 시뮬레이션은 의료인의 자질 함양은 물론 환자들의 신뢰를 얻는 데에도 커다란 영향을 미칠 것이다.

한국 의학 교육에서 정신신체의학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 (Past, Present, and Future of Psychosomatic Medicine in the Field of Korean Medical Education)

  • 김의중
    • 정신신체의학
    • /
    • 제20권1호
    • /
    • pp.14-17
    • /
    • 2012
  • 1960년대부터 지금까지 정신신체의학의 교육에 대한 관심이 있었지만 의학 교육에서 정신신체의학이 차지하는 비중은 적은 편이었다. 현재에도 대학마다 배정된 시간과 비율이 다르고 일정한 틀과 일치된 목표도 없이 교육이 실시되고 있다. 임상적으로도 자문-조정 정신의학에 대한 인식과 교육은 여전히 비체계적이고 미흡하였다. 앞으로 의과대학의 교육에서, 전공의 교육, 전임의 제도, 세부 전공 제도로 이어지는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교육의 틀이 확립되어야 할 것이다. 자문-조정 의학의 활성화, 종사자 훈련에 이르는 임상 교육 체계도 정립되어야 한다. 다른 나라의 정신신체의학의 교육 지향점을 참고하여 생물-정신-사회적 모델에 기초한전인적 질병 개념과 치료 주관을 가진 의사를 양성하고 이를 정신신체의학 교육의 목표로 정립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 목표를 담을 수 있는 교육 내용을 통일되게 규정하고 그 교육 과정이 지속적이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체계화해야 한다.

  • PDF

의학교육입문검사의 의미와 구조에 대한 연구

  • 안인섭
    • 의학교육논단
    • /
    • 제4권1호
    • /
    • pp.1-15
    • /
    • 2002
  • 본 연구의 목적은 의학교육입문검사의 개념의 틀을 형성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의학교육입문검사라는 의학 적성측정도구를 개념화 하기위하여 지금까지의 일반적인 적성 검사와는 달리 의학적 인지능력 정의적 심리 구인과 의학관련 배경지식과 사고라는 의학적 적성 스펙트럼을 만들고자 한다. 한국 상황에서 적용가능하고 21세기에 요구하는 의학교육입문검사를 개념화하여 이론적 틀을 만들고자 했다. 둘째, 이 연구는 의학교육입문검사의 개념의 틀 위에서 각 개념을 양화를 통한 측정도구의 가능성을 열었다. 셋째, 본 연구는 본 검사를 통하여 의학대학과 의학전문대학원 지원 하고자하는 사람들에게 다양한 개인의 정보를 부여할 뿐만 아니라, 대학과 대학원에서의 학생 선발의 타당성을 높일 수 있는 실제적 자료를 제공해 입시사정에 유용한 자료를 얻을 수 있다는 의미에서 실제적 가치를 갖고 있다.

의학사서직의 교육에 대한 연구 (A Study of Education for Medical Librarianship)

  • 윤영대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131-146
    • /
    • 2003
  • 북미, 중국, 일본 및 한국의 의학사서 교육제도와 주제전문사서에 대한 선행 연구의 내용을 문헌적으로 조사 분석하여 우리나라에서 시행가능한 의학사서를 위한 교육 모델을 고안하였다. 교육모델은 의학사서의 정규양성과정, 의학사서의 계속 교육과 의학사서 자격프로그램을 포함하였다.

  • PDF

의학사서의 이용자 서비스 향상을 위한 국내외 의학도서관협회 교육프로그램 비교 및 분석 - MLA 및 KMLA를 중심으로 - (Comparison and Analysis of Educational Programs of Korean and American Medical Library Associations to Improve the Role of Medical Librarians for User Services: Focusing on MLA and KMLA)

  • 이혜영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59-92
    • /
    • 2023
  • 본 연구는 국내 의학도서관 이용자 서비스 향상을 위하여 의학사서의 교육프로그램 개선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의학사서 역할을 조사하여 교육영역을 항목화한 후 미국의 MLA와 한국의 KMLA 교육프로그램을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우리나라 의학사서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개선점으로 첫째, 다양한 교육프로그램 유형, 교육영역, 교육내용, 전문 분야를 선정한 인증 프로그램의 확대, 관련 기관과의 협업 프로그램, KMLA 가치를 표방하는 교육프로그램 등이 요구된다. 둘째, 현행 교육영역 중 '연구지원서비스', '교육·교육설계·상담' 등에서 다양한 교육프로그램이 진행될 필요성이 있으며 특히, 전혀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소비자건강정보서비스', '재난정보서비스' 제공이 필요하다. 또한 '의학 관련 분야 정보서비스' 교육을 위해서는 국내 의학사서 교육 커리큘럼에 관한 규정 제정이 선행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셋째, 대면 교육 참여가 어려운 사서를 위하여 온라인 교육내용 제공이 필요한데 이러한 경우에는 교육내용만 제공하고 의학사서점수 부여에는 차등을 두거나 점수를 부여하지 않는 방법 등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