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의사 결정

검색결과 7,916건 처리시간 0.042초

계층적 의사결정표 (Hierarchical Decision Table)

  • 남혜지;강교철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12년도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논문집 Vol.39 No.1(B)
    • /
    • pp.144-146
    • /
    • 2012
  • 의사결정표는 의사결정의 표현 방식 중 하나로 상황에 따라 취하는 일련의 행동들을 표 형식으로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의사결정표는 기업의 정보 시스템 (Information System)과 같은 의사결정 기반 시스템 구축에 유용하게 쓰일 수 있다. 복잡한 업무를 위한 의사결정 프로세스를 의사결정표를 이용하여 나타냄으로써 복잡한 로직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고, 이해하기 쉽기 때문에 사용자와 프로그래머간의 의사소통을 원활하게 하며 문서화 작업을 비교적 간단하게 한다. 그러나 복잡한 의사결정이 필요한 업무의 경우 하나의 의사결정표에 필요한 정보를 모두 나타내게 되면 의사결정 단계를 이해하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오류의 발생률도 높아지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복잡한 의사결정을 돕기 위해 계층적인 의사결정표를 제안한다. 계층적 의사결정표는 여러 추상화 단계를 가진 의사결정표를 일관성 있게 표현함으로써 단계적으로 의사결정을 수행할 수 있게 하고, 이에 따라 의사결정에 대한 이해도를 높인다. 또한 기존의 의사결정표 지원 도구를 확장하여 계층적 의사결정표를 지원하는 도구를 개발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도모하였다.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다중 동적 의사결정지원시스템(UMD-DSS) : 비구조적 문제 중심으로 (Multi-dynamic Decision Support System for Multi Decision Problems for Highly Ill.structured Problem in Ubiquitous Computing)

  • 이현정;이건창
    • 지능정보연구
    • /
    • 제14권2호
    • /
    • pp.83-102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무선 네트워크 접속기능을 갖춘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에서의 다중 동적 의사결정지원시스템(Multi-Dynamic Decision Support System in Ubiquitous Computing; UMD-DSS)을 제안한다. 즉 유비쿼터스 컴퓨터환경에서의 의사결정은 다수의 유동 참여자들이 시시각각 변화하는 정보를 기반으로 의사결정자들 개인의 목적과 참여된 집단의 목적을 동시에 만족하는 의사결정을 지원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의사결정지원시스템은 혼합형구조를 이룬다. 개별 의사결정자들의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분산형 의사결정지원시스템과 의사결정자가 속한 집단의 목적함수를 최대화를 지원하는 중앙집중형 의사결정 시스템이 혼합된 혼합형 의사결정지원시스템을 제안한다. 혼합형 의사결정지원시스템의 기본 구조는 의사결정에 참여하는 개별에이전트들로부터 인식된 상황정보를 이용한 의사결정프로세스를 관리하는 의사결정프로세서, 다중 에이전트들을 관리하는 다중 에이전트 프로세서 및 의사결정을 위해 필요한 지식을 관리하는 지능적 지식관리 프로세서로 구성된다. 유비쿼터스 컴퓨터 환경에서의 의사결정은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으며 다중 유동의사결정자의 의사결정을 동시에 할 수 있고, 이러한 의사결정이 의사결정자가 속한 집단의 목적함수를 최대화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에 적합한 비구조적인 문제인 유풀필먼트(u-Fulfillment)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의사결정에 참여하는 유동 의사결정자가 다수이며 시시각각으로 변하는 문제에 즉각적인 대응이 요구되고 단기간의 공유된 정보를 활용하여 의미 있는 의사 결정이 요구되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풀필먼트(u-Fulfillment)를 본 연구의 활용 대상으로 하여 유비쿼터스 다중 동적 의사결정지원시스템을 제안한다.

  • PDF

DMSS : 교육, 의사결정, 업무 지원 기능을 통합한 의사결정자 지원시스템 구축 (DMSS : A Decision-Maker Support System Integrating Learning, Decision Making, and Workflow Management)

  • 권오병
    • 정보기술응용연구
    • /
    • 제1권
    • /
    • pp.29-53
    • /
    • 1999
  • 의사결정자 지원은 문제 인식, 대안 생성, 최적안 선정 등 협의의 의사결정 지원시스템 (Decision Support System, DSS) 뿐 아니라 의사결정자의 일상업무지원과 의사결정 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을 포함한다. 본 논문의 목적은 의사결정자를 지워하기 위한 일종의 광의의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인 의사결정자 지원시스템(Decision Maker Support System, DMSS)에 대한 개념적 틀을 제시하는 것이다. DMSS는 전통적인 의사 결정 지원시스템, 업무처리 시스템, 가상교육 시스템 및 이들을 통합 관리하여 특정 의사결정자의 요구에 맞게 구성해 주는 DMSS 관리자를 핵심 요소로 하며 원격의 의사결정자 존재를 생각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웹 기반을 고려하였다. 특히 DMSS의 하위 시스템의 지식을 통합하기 위해 일원화된 지식베이스를 설계하였다. 그리고 DMSS의 가능성을 보이기 위해 가상 시나리오를 통해 설명하였다.

  • PDF

CPOF 의사결정 모델을 이용한 의사결정지원 전문가 시스템 설계 (Design of Decision Supporting Expert System with CPOF Decision Model)

  • 강동수;윤희병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6년도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 논문집 Vol.33 No.1 (B)
    • /
    • pp.166-168
    • /
    • 2006
  • 현대전에서 보여지는 전쟁의 형태는 단기속결전으로 빠른 의사결정을 요구한다. 이러한 의사결정의 합리성과 객관성을 높이기 위해 선진국들은 의사결정 시스템을 제공하여 지휘관의 의사 결정을 돕고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임무수행 중 의사결정에 도움을 주기 위해 전문가 시스템을 이용한 의사결정지원 전문가시스템을 개념적으로 설계한다. 이를 위해 먼저 미군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CPOF 의사결정 모델을 임무중심의 의사결정 모델로 전환하여 IDEFO 표기법을 사용하여 제시한다. 그리고 변경된 의사결정 모델 프로세스에 전문가시스템을 적용하여 의사결정지원 전문가시스템을 개념적으로 설계한다.

  • PDF

합의에 의한 잡음(noise)제거와 의사결정유형별 성과비교 (Information Quality and the Relative performance Comparison between Individual and Group Decision-making)

  • 김동헌;유성용
    • 정보학연구
    • /
    • 제3권1호
    • /
    • pp.45-59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의사결정의 유형에 따라 의사결정시 사용하는 정보에 내재된 잡음(noises)을 완화시키거나 제거할 수 있는지를 분석한다. 이러한 분석을 수행하기 위해 각 증권사가 투자 유망종목으로 추천한 한국증권거래소에 상장된 기업의 주식수익률을 의사결정성과의 대용치로 하여 분석을 수행한다. 분석결과 각 개별증권사가 추천한 개별의사결정 성과는 의사결정자의 정보분석능력의 차이로 개별의사결정자간에 상당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개별의사결정과 개별의사결정자의 합의로 도출된 집단의사결정의 성과간에도 차이가 있어 합의의 과정에서 개별정보 속에 내재된 잡음(noises)이 제거됨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정보능력이 뛰어난 개별의사결정자의 성과와 집단의사결정의 성과간에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아 집단의사결정시 합의의 과정에서 개별의사결정정보를 평균화하는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한국증권거래소에 상장된 주식수익률을 대용치로 하여 의사결정성과를 분석하였다. 따라서 우리나라 주식시장에서 투자자들이 정보를 주가에 매우 신속하고 정확하게 반영하고 있다는 것을 전제한다.

  • PDF

조종사의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on the Pilot's Decision Making)

  • 김칠영
    • 한국항공운항학회지
    • /
    • 제1권
    • /
    • pp.95-132
    • /
    • 1993
  • 사람들은 누구나 시간과 장소를 구분하지 아니하고 의사결정을 내려야 할 상황에 처하게 된다. 특히 조종사의 경우에는 의사결정을 하여야 할 상황이 보다 시간적으로 제한되어 있고, 또 다른 어떤 경우보다 그 내용이 더 복잡하다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특히 항공기 운항중 발생하는 조종사의 의사결정은 그 방법에 따라 결과는 아주 다른 양상으로 나타나게 되는데 합리적인 의사결정이 이루어졌다면 그 결과는 안전성과 경제성이 동시에 실현되지만 합리적으로 의사결정이 이루어지지 못하였다면 항공기 사고라는 최악의 사태로 이어지게 된다. 그러나 현실적으로는 조종사들이 사회, 문화적 특성과 개인적인 태도 및 성격에 따라 집단내 구성원들의 의사를 종합하여 의사결정을 얻지 못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기장 개인의 능력에 따라 의사결정이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본 연구에서는 조종사의 합리적인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야별로 내용을 분석하고 의사결정의 이론적 고찰을 통해 조종사의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특히 조종사 자격 관리 및 능력개발 프로그램시 태도 변화를 위한 교육이 우선해야 한다는 것과 그리고 미국의 여러 기관에서 연구 수행한 결과를 인용하여 조종사의 태도분석방법을 소개함으로써 조종사 자신들이 직접 지니고 있는 위험한 태도 요소를 자각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이에 대한 행동상 지켜야 할 원칙을 제시하여 자신이 의사결정을 해야하는 경우 적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앞으로 이와 관련하는 지속적인 연구를 함으로서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위한 요인들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항공기 운항분야중에서 부분적이나마 정형적인 의사결정모델이 개발될 때 항공기 안전운항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의사결정의 세 가지 모델 (Three Models of Decision-Making)

  • 이상형
    • 철학연구
    • /
    • 제144권
    • /
    • pp.257-283
    • /
    • 2017
  • 이 논문의 목적은 집단적 의사형성 및 의사결정의 모델을 검토하고 성숙한 민주주의 사회에 적합한 의사형성 및 의사결정의 모델을 제안하는 것이다. 하버마스는 이런 의사형성 및 의사결정의 모델을 그 정당화 유형에 따라 자유주의적 모델, 공화주의적 모델, 심의정치적 모델로 구분하고, 호네트는 자유주의, 공화주의, 절차주의의 세 가지 모델로 구분하고 있다. 이에 따라 논자는 민주주의 사회에서 가능한 의사결정의 모델을 그 특징에 따라 다시 세 가지, 즉 힘에 의한 모델과 절차에 따른 모델, 공화주의적 모델로 구별하고자 한다. 왜냐하면 이런 구별을 통해 각각의 의사결정이 가진 특징을 뚜렷이 부각시키며 이와 더불어 각각의 장단점을 파악하고자하기 때문이다. 이런 장단점에 대한 분석은 결국 올바른 의사형성 및 의사결정의 방법을 모색하고자 하는 의도를 반영한다. 그러나 올바른 의사결정의 방법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오늘날 의사결정의 목표가 무엇인지 또한 밝혀져야 한다. 따라서 집단적 의사형성 및 의사결정의 목표는 사회적 행복에 있음을 해명하며, 이 사회적 행복을 증진시킬 수 있을 때 집단적 의사결정은 정당화될 수 있다. 그러나 이 사회적 행복을 도모하기 위한 정당한 의사결정의 방법은 오늘날 현대 사회의 조건에 대한 분석을 또한 요구한다. 따라서 현대 탈형이상학적 시대와 다원주의 사회에서 정당한 의사형성 및 의사결정이 되기 위한 조건에 대한 분석도 시도될 것이다.

위험에 대한 정보의 제공이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Effect of Information about Risk on Decision Making)

  • 장경수;홍근표
    • 정보학연구
    • /
    • 제2권2호
    • /
    • pp.51-67
    • /
    • 1999
  • 본 논문은 불확실한 상황하에서 의사결정시 의사결정의 위험도에 대한 정보의 제공과 의사결정자의 위험에 대한 태도가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이다. 본 연구의 독립변수는 의사결정의 위험도에 대한 정보 제공 여부와 의사결정자의 위험 감수의 정도이다. 종속변수는 의사결정의 위험도와 의사결정 자신감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주가지수 옵션에 대한 투자의사결정을 연구의 대상으로 하며, 연구의 진행을 위해 4가지 가설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연구의 방법으로 실험실 실험을 선택하였다. 실험 대상은 경영학과 학생 107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실험의 통제 변수는 의사결정의 위험도에 대한 정보의 제공 여부이다. 실험의 의사결정자의 위험감수의 정도가 높을수록 의사결정 자신감도 높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의사결정의 위험도에 대한 수치적 경고 메시지는 의사결정자의 의사결정에 그다지 큰 영향을 주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실제투자자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아니므로 실제로 위험한 상황과는 다른 모의투자라는 한계점이 있다.

  • PDF

인터넷 기반의 AHP 집단의사결정 시스템 개발 (An Internet-based AHP Group Decision Making System)

  • 김성철;강근석;이정진
    • 응용통계연구
    • /
    • 제14권2호
    • /
    • pp.245-259
    • /
    • 2001
  • AHP는 원래 단일 의사결정자의 분석도구로 개발된 다속성 의사결정기법이지만 복잡한 시스템에 대해서는 여러 전문가가 참여하는 집단의사결정에 많이 쓰인다. AHP를 집단의사결정에 이용하기 위해서는 첫째, 전문가들의 의견을 종합하는 방법론의 문제와 둘째, 신속하고 정확한 의견수립의 도구문제가 해결되어야한다. 이 논문에서는 전문가들이 제시한 비교행렬들로부터 하나의 중요도(combined priority)를 구하는 베이지안 방법을 정리하고, 이를 바탕으로 웹 기반에서 AHP의사결정에 대한 설문지를 작성하여 의견을 수립하고 분석할 수 있는 의사결정 시스템을 제시한다. 개발된 시스템의 구성 및 특성을 설명하고 가상의 의사결정 문제를 통하여 시스템의 기능과 사용방법 및 화면설계 등을 예시한다.

  • PDF

관제사의 의사결정에 관한 연구

  • 정기남;김종철;김정은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6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91-293
    • /
    • 2016
  • 해상교통관제사의 업무는 선박교통의 안전과 효율을 목적으로 하는 의사결정의 연속이다. 의사결정은 문제해결과정의 일종으로 가치 판단을 포함한다. 올바른 의사결정을 내리기 위해서는 해상교통상황을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우선되어야 하지만, 상황판단을 제대로 했다하더라도 의사결정을 그르칠 위험이 있다는 측면에서 관제사가 적극적으로 습득하여야 하는 인지과제다. 본고에서는 먼저 관제사에게 필요한 의사결정 이론에 대해서 기술한 뒤, 이를 구체적인 관제과제에 적용할 때 합리적인 의사결정 모델보다는 휴리스틱 또는 재인촉발의사결정 모델을 사용한다는 점을 밝혔다. 또한 관제사의 의사결정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실수를 사례 위주로 고찰하였다. 특히 관제사의 업무역량 향상을 위해서 의사결정방법을 어떻게 훈련할 것인가를 제안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