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의복 이미지

Search Result 250,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자기 이미지에 따른 착용의복이미지, 의복추구이미지 및 의복구매행동

  • 염인경;김미숙
    • Proceedings of the Costume Culture Conference
    • /
    • 2003.09a
    • /
    • pp.85-86
    • /
    • 2003
  • 의복은 비언어적 상징으로서 의사를 전달하는 무언의 언어로 이용되어 사람들은 의복을 통해 자기를 나타내며 동시에 다른 사람을 지각하고 평가하게 되는데 이러한 역할은 현대사회에 와서 더욱 강조되었다. 따라서 소비자들은 이미지라는 감정적ㆍ주관적인 요소로써 의류상품을 평가, 구매하는 경우가 많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여자 대학생을 대상으로 자신이 생각하는 자기 이미지에 따른 실제 착용하는 의복이미지, 추구하는 의복이미지와 의복구매행동을 조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의류산업체에서 의류상품개발을 위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중략)

  • PDF

의복이미지와 화장이미지에 관한 기존 연구 분석

  • 이현정;김미영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Costume Conference
    • /
    • 2004.05a
    • /
    • pp.65-65
    • /
    • 2004
  • 본 연구의 목적은 의복이미지와 화장이미지에 대한 기존연구들을 분석하고, 의복이미지와 화장이미지 연구의 차이를 밝히는 것이었다. 본 연구를 위하여 의복이미지는 한국의류학회지, 복식, 복식문화연구, 대한가정학회지의 논문 중 의복이미지를 연구한 논문 21편을 분석하였다. (중략)

  • PDF

The Relationship of Clothing Behavior to Body Image and Self-Esteem of Older Men and Women (노년층 남녀의 의복행동에 대한 신체이미지와 자아존중의 관계)

  • 황진숙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
    • v.24 no.8
    • /
    • pp.1187-1196
    • /
    • 2000
  • 본 연구는 노년층 남성과 여성의 의복행동에 대한 신체이미지와 자아존중의 관계를 알아보는 것으로 구체적인 목적은 첫째, 노년층 남성과 여성의 신체이미지와 의복행동과의 관계를 알아보고, 둘째, 자아존중과 의복행동과의 관계를 알아보며, 끝으로 의복행동에 대한 신체이미지와 자아존중과의 관계에 있어서 남녀간의 차이점과 유사점을 규명하는 것이다. 조사대상은 나이 55세 이상의 미국 남부와 거주하는 남성과 여성으로 302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여 108부를 자료분석에 이용하였다. 신체이미지는 신체 18부분에 대한 만족도로 측정하였고, 자아존중은 Rosenberg의 자아존중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의복행동은 의복태도, 유행의견선도력, 쇼핑에 대한 만족, 상점충성도, 의복비 지출을 포함하였다. 결과로 남녀 노년층에게 있어 신체만족도는 대부분의 의복행동과 상관 관계가 있었으며 유행선도력과 상표충성도에 대한 상관관계가 있어서만 남녀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자아존중은 남녀 모두에게 있어 대부분의 의복행동과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유행선도력과의 관계에서만 남녀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Clothing Products Evaluation according to Self-Image and Clothing Attitudes (자기이미지와 의복태도에 따른 의류제품평가)

  • Lee, Sun-Jae;Kim, Eun-Soo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
    • v.27 no.12
    • /
    • pp.1424-1433
    • /
    • 2003
  • 본 연구는 소비자의 의류제품평가에 있어 개인적ㆍ심리적 요인인 자기이미지 및 의복태도의 관련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소비자의 의류제품평가는 다차원적인 구조를 가지며, 외관적, 성능적, 외재적, 표현적 요소로 세분화되어 사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소비자의 자기이미지와 의복태도에 따라 의류제품 평가기준과 의복선호스타일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남으로써 이들이 소비자의 의류제품 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소비자의 자기이미지 및 의복태도는 감성이나 이미지와 같은 요소들의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는 최근의 의류시장의 경향에 부합하여 시장세분화의 효과적인 변수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함께 자기이미지 및 의복태도를 통해 세분화된 표적시장 소비자들이 보다 중요시하는 의류제품평가의 차원들을 파악하고 이를 강화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마케팅 전략을 수립할 수 있을 것이다.

The Effects of Body Image on Clothing Attitude, Fashion Innovativeness, and Shopping in American Female College Students (미국 여대생의 신체 이미지가 의복태도, 유행혁신성, 쇼핑에 미치는 영향 연구)

  • 황진숙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
    • v.22 no.8
    • /
    • pp.1069-1078
    • /
    • 1998
  • 본 연구의 목적은 미국 여대생의 의복태도, 유행혁신성, 쇼핑에 신체이미지가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다. 신체이미지는 신체 5부위(얼굴, 상체, 하체, 신장, 체중) 각각에 대한 신체만족도와 이상적인 신체이미지의 중요성으로 측정하였고, 의복에 관련된 변인인 의복태도, 유행혁신성, 쇼핑(점포내 쇼핑관심과 카탈로그 쇼핑행동)은 선행연구에서 타당성이 입증된 척도를 사용하였다. 결과로 의복태도와 유행혁신성은 신체 각 부위에 대한 이상적인 신체이미지의 중요성과 특정부위에 대한 신체만족도와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신체 각 부위에 대한 이상적인 신체이미지가 중요하면 할수록 또 신체 특정부위(얼굴)에 만족하면 할수록 의복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갖으며 유행혁신성의 정도가 높았다. 쇼핑의 경우 점포내 쇼핑관심은 신체만족도와 이상적인 신체 이미지의 중요성과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인 반면 카탈로그 쇼핑행동은 이상적인 신체이미지의 중요성과 부적인상관계를 보였다. 즉 신체에 만족할수록, 또 이상적인 신체이미지가 중요할수록 점포내 쇼핑에 대한 관심은 커지는 반면 이상적인 신체이미지가 중요하면 할수록 카탈로그 쇼핑 기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Visual Evaluations of Clothing./ng Color Images for Cool Skin Color (찬피부색에 대한 의복색 이미지의 시각적 평가)

  • 박화순
    • Archives of design research
    • /
    • v.15 no.4
    • /
    • pp.327-336
    • /
    • 2002
  • This paper is intended to help cool-skin-colored people to choose suitable clothing colors confidently and look well-dressed and to make positive self-images. A pseudo-experimental method has made it possible to analyze the visual evaluations of clothing color images for cool-skin-colored people and obtain the following results. 1. Reddish colors of vivid tone for doffing give positive images and those of dull and dark tone, negative ones. 2. Yellowish colors of vivid and bright tone for doffing show positive images and those of dull and dark tone, negative ones. Cool yellow of light tone proves to contribute to a well-looking image. 3. Warm green of vivid and deep tone, and cool green of vivid tone for clothing present positive images. 4. Warm blue of vivid and deep tone, and cool blue of vivid and bright lone make positive images. Either blue with dull tone gives a negative image. 5. Purple colors whose tone is vivid, deep and light contribute to positive images, and those of dull tone, negative ones.

  • PDF

A Study on Clothing Image Preferences According to Eyebrows Shapes (눈썹유형별 의복이미지 선호도에 관한 연구)

  • Kim Soo-Dong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9 no.2
    • /
    • pp.101-109
    • /
    • 2006
  • If a salesperson is able to juage consumers' purchasing preferences by looking at their eyebrows shapes, he might be able to set up his sales strategies that will be helpful for the sales. In order to set up this kind of strategy, the difference of purchasing preferences in relation to the eyebrows shapes must be defined clear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ifference of purchasing preferences according to eyebrows shapes. We group eyebrows shapes into five classes in physiognomy, and Analyze the difference of purchasing preferences according to eyebrows shapes. The result shows that compared with people with rising tails of eyebrows, people with declined ones prefer common, simple, gentle and noble clothing image.

  • PDF

Actual Images and Pursued Images and Purchase Behaviors for Clothing as Determined by Self-Image (자기 이미지에 따른 착용의복이미지, 추구의복이미지 및 의복구매행동)

  • 염인경;김미숙
    •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 /
    • v.12 no.1
    • /
    • pp.90-103
    • /
    • 2004
  •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images pursued and purchase behaviors for clothing as determined by self-imag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survey from March 3 to March 11, 2003 from 600 female students attending universities in Seoul; 514 were used for the data analysis. Data were analyzed by chi-square analysis, t-test, ANOVA, correlation analysis, tics, cluster analysis and Duncan's multiple range test. Self image was defined six factors: social image, gay image, intellectual image, girlish image, iron nerves image, image like a man and was classified three group avail of six factor: commonness type, social brilliance type, immature boldness type. The resul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images of actual clothing worn by self and in the clothing image pursued among the groups determined by the self image.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also found in clothing purchase behaviors such as monthly clothing expenditure, shopping frequency, store types, and the clothing items often used for expressing self-image among the groups divided by self-image.

  • PDF

Effects of Body-Cathexis and Importance of Meeting the Ideal Body Image on Clothing Style Preferences (의복스타일 선호에 신체만족도와 이성적인 신체이미지의 중요성이 미치는 영향 연구)

  • Hwang, Jin-Sook
    • The Journal of Natural Sciences
    • /
    • v.11 no.1
    • /
    • pp.165-171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body-cathexis and importance of meeting the ideal cody image on clothing style preferences. Body-cathexis and importance of meeting the ideal body image were measured for five areas of body parts: head/upper body, lower body, height, weight and torso. Clothing style preferences consisted of clothing preferences for sexy styles, waist emphasis, tight fit, and dark colors.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effects of body-cathexis and importance of meeting the ideal body image on clothing style preferences.

  • PDF

지각자의 성격특성이 의복의 시각적 평가에 미치는 영향

  • 황미선;이명희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Costume Conference
    • /
    • 2004.05a
    • /
    • pp.42-42
    • /
    • 2004
  • 본 연구는 의복의 시각적 이미지 평가의 차원을 조사하고, 지각자의 내향성-외향성 성격특성과 의복비, 의복스타일에 따른 이미지평가의 차이를 조사하며, 성격특성과 의복비에 따른 의복스타일 선호도의 차이를 조사하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