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의복적합성

Search Result 54,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소재의 신장율에 따른 슬렉스 원형 연구

  • 정희순;이순원
    • Proceedings of the ESK Conference
    • /
    • 1998.04a
    • /
    • pp.7-12
    • /
    • 1998
  • 쾌적한 의생활을 영위하기 위해, 인간의 제반 특성에 적합한 의복 설계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전개되고 있다. 기존 연구에서는 주로 인체 인자에 근거하여 의복 원형 연구가 이루어졌으나 인간 특성에 적합한 의복의 설계를 위해 인체 인자와 함께 의복 인자를 병행한 연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특히 의복 소재의 경우, 성유과학의 발달로 다양한 의복 소재가 개발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의복 원형 연구에서는 광목으로 제한되어 연구가 행해지고 있는데, 광목이 원형 연구시 동작에 따른 체표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여유분으로 정확히 산출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기는 하지만 이로 인하여 의복 원형의 여유 분 설정에 소재의 특성에 따른 차이에 관해서는 아직 까지 많은 연구가 진행되지 못하였다. 이에 본 연구 에서는 최근 마른 체형의 선호와 함께 유행하고 있는 신축성 소재를 이용한 슬랙스 원형에 대하여 연구 하였다. 본 연구는 소재의 신장특성과 의복 설계와의 관계에 대한 기초 자료로써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또한 슬랙스 원형에 대한 연구를 보다 다양한 소재로 넓힘으로써 원형의 활용도를 높힐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PDF

재인식되어야할 섬유과학기술의 방향과 역할

  • 김지주;김공주;박병기
    • Textile Coloration and Finishing
    • /
    • v.7 no.2
    • /
    • pp.77-85
    • /
    • 1995
  • 섬유와 인류의 관계는 실로 5,000년이 넘는다. $\ulcorner$섬유$\lrcorner$라고 하면 많은 사람들이 $\ulcorner$의복$\lrcorner$만을 연상한다. 따라서 의복이 왜 그렇게 대단한 기술이며 과학이겠는가 하고 반문하는 사람도 있다. 이는 의복이라는 단순한 개념의 섬유만을 상상하기 때문이다. 장구한 의복의 역사가 곧 섬유의 역사라고 생각하는 것 또한 무리는 아니다. 그런데 최근 우리의 경제부흥에 가장 큰 공헌을 한 산업이 섬유산업이라는 데는 이의가 있을 수 없다. 지금 세계의 섬유산업은 내실 크나큰 변화를 일으키고 있다. 이는 장구한 세월동안 축적되어 온 섬유기술이 새로운 첨단산업을 탄생시키고 새로운 산업분야를 형성시키고 있기 때문이다. 지금 섬유산업은 르네상스를 맞이하고 있다는 것이 현실이며, 섬유기술은 고차원적인 첨단기술시대를 열어가고 있다. 선진 제국들은 중요한 테크놀로지의 하나로 신소재공학 기술을 열어가고 있다. 그 예로서 항공, 우주, 해양, 원자력, 토목, 건축 분야 등에서 요구하고 있는 고강도 고탄성의 섬유, 내열, 방염, 내부식성인 즉 내환경성의 섬유, 일렉트로닉스 분야의 도전성, 압전성, 광전성, 방사선 차단성, 흡진성, 도광성의 특수기능섬유, 라이프사이언스분야의 생체적합성, 혈액적합성, 고분리기능성 등과 같은 바이오섬유, 이 모든 것들은 21세기 각 분야의 첨단공학을 실현시키는데 필요불가결한 것들이다.

  • PDF

A study on the apparel sizing system of adult women (성인여성 기성복의 치수 간격설정에 관한 연구)

  • 이진희;최혜선;박수찬;김진호
    • Proceedings of the ESK Conference
    • /
    • 1993.10a
    • /
    • pp.189-204
    • /
    • 1993
  • 산업화로 인한 급속한 경제성장과 증가하는 여성들의 사회진출은 의생활에서 보다 편 하고 간소화된 생활양식을 추구하게 되고, 이에따라 의복의 구입에 있어서도 맞춤복보다 는 시간, 경제면에서 유리한 기성복을 선호하게 되었다. 불특정다수를 위한 기성복의 생산에 있어서 개개인의 체형에 보다 적합성이 좋은 제품의 개발을 위해 다수인의 다항 목계측치에 근거한 치수체계의 설정은 무엇보다 중요한 문제가 된다. 우리나라에서는 1979년 공업진흥청에 의해 제 1차 국민표준체위조사가 실시되었으며, 1986년에는 제 2차 조사가 실시되어 그 결과를 토대로 한국 공업규격의 의류치수 규격이 제정 발표되었다. 그러나 이것은 연령에 따른 신체적 변화를 고려한 체형분류가 되어 있지 않으며, 제품 호수에 따라 동일한 간격을 둔 체계였다. 1992년에는 제 3차 국민표준체위조사가 실시 되어 그 결과가 발표되었다. 의복은 인체계측에 의한 신체 각 부위의 치수와 형태를 기초로 2차원적인 소재에 적절한 원형을 사용하여 재단, 봉제과정을 거쳐 3차원의 입체 로 구성하고 인체에 대응시킨 것이므로 기성복에 대하여 소비자의 치수적합성을 만족시 키기 위해서는 체형의 특징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특히, 성장이 완료된 성인 여성은 출산후 중년에 접어들면서 신체적 특성이 변하여 체형이 바뀌는 경향이 있으므로 전 여성에대한 의류치수규격보다는 연령의 구분과 체형의 분류가 필요하다고 본다. 더우기 의류업체들의 판매대상의 세분화는 이를 더욱 뒷받침해주고 있다. 따라서 체형의 분류는 의복 치수 규격에 적용되어 의복의 종류에 따라 대다수의 불특정 다수 에게 보다 잘 맞는 의복 치수를 제공할 것이며, 그 치수의 정확성을 증대시키게 된다. 김성득(1991)은 소비자의 기성복에 대한 구매확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규격치를 등간격 으로 하기 보다는 소비자의 분포밀도가 높은 곳일수록 규격치 간격들을 좁게 설정함으 로써 생산자 입장에서 총손실을 줄이고, 상대적 비용절감효과를 갖게할 수 있다고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성인 여성기성복의 치수적합성을 높이기위하여 출산 후 중년에 접어 들면서 체형이 변화되는 것을 고려하여 연령을 분류하고(18세-34세, 30세-51세), 각 연령 집단에 따른 체형을 각각 3가지로 분류하였다. 이에 따라 의복 생산시의 총손실을 줄이기위한 상의, 하의생산시 필요한 부위별 최적규격치 간격을 제시하였다.

  • PDF

A Study on Clothing Consumption Value: A Qualitative Approach (의복 소비가치에 대한 질적 연구)

  • Kim, Sun-hee;Lim, Sook-Ja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
    • v.25 no.9
    • /
    • pp.1621-1632
    • /
    • 2001
  • 본 연구는 소비자의 실제적인 의복 소비 행동을 설명할수 있는 가치 개념을 제시하기 위하여 의복 소비가치의 구체적 유형을 밝히고, 적합하고 신뢰성 있는 의복 소비가치 척도를 구성 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시 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Sheth(1991)의 소비 가치 이론과 의류학 및 소비자 행동분야의 다양한 이론을 토대로 초점집단면접(Focus Group Interview)을 통하여 소비가치에 대한 탐색적 접근을 시도한 결과를 논의하였다. 의복의 구매와 착용의 선택상황에 영향을 미치는 소비가치는 Sheth(1991)의 5가지 소비가치 유형인 기능적 가치, 사회적 가치, 감정적 가치, 진귀적 가치, 상황적 가치 및 의복제품의 특성에 따른 자기표현적 가치로 분류되었다. 기능적 가치는 물리적 속성, 물리적 기능, 도구적 성과와 관련되었으며, 사회적 가치는 사회계층, 준거집단, 인구통계 적 특성 집단, 문화-민족적 집단과의 관련성 에 대 한 가치로 구성되었다. 감정적 가치는 긍정적, 부정적 감정 및 심미성 요인으로 구성되었으며, 진취적 가치는 다양성추구행동 요인 및 유행성의. 새로움 추구 요인과 관련되었다 또한 상황적 가치는 의복착용상황, 구매상황, 커뮤니케이션 상황으로 구성되었으며, 자기표현적 가치는 성격, 이미지 표현, 개성추구, 유행추구 등의 요인으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의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소비가치에 대한 양적 연구를 실시한다면, 보다 객관적인 구조를 파악하고 신뢰성 있는 측정 문항을 개발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A Study on the Job Aptitudity of Fashion Salesperson (패션 판매원의 직무적합성에 관한 연구)

  • Chung, Ihn-Hee;Park, Kyung-Ok;Lee, Mi-Jeom;Min, Kyung-Sun;Kang, Jin-Koo
    • Journal of Distribution Research
    • /
    • v.10 no.2
    • /
    • pp.73-97
    • /
    • 2005
  • The importance of emotional factors like as product aesthetics, branding strategies and service quality is increasing in today's marketplace. At the point of fashion product purchases, emotional factor is mainly related to personal selling. Rasearches related to job aptitudity of fashion salesperson are necessary as their role becoming more serious. This study was designed (1) to determine factors of job aptitudity of fashion salesperson; and (2) to examine relations between job aptitudity of fashion salesperson and other variables: demographics, job statistics, fashion involvement fashion innovativeness, ongoing information searching and job satisfaction. As a result, job aptitudty of fashion salesperson was determined into six dimensions by factor analysis: product knowledge, professionalism, involvement to the present profession, marketing cooperator, customer orientation and self management. Marketing cooperator and product knowledge was relatively !ow compared to other aptitudity factors. This finding suggests that the special education programs including textile/fashion product knowledge and value of field information for fashion salesperson is needed to enhance the integrated fashion marketing. The job aptitudity of salesperson was correlated with fashion involvement, fashion innovativeness, ongoing information searching, and job satisfaction. The job aptitudity-related scales which showed significant relation to job aptitudity in this study could be used as the index to examine the job aptitudity of potential employees of fashion retail company.

  • PDF

A study on the figure of the handicapped for clothing construction (지체장애인의 의복구성을 위한 체형특성 연구)

  • 김선희;최혜선
    • Proceedings of the ESK Conference
    • /
    • 1993.04a
    • /
    • pp.146-154
    • /
    • 1993
  • 의복은 인간 생활의 기본적인 의.식.주의 하나로서 인간의 신체적, 사회적, 심리적 욕구를 만족시키 는 필수적인 부분을 차지한다. 이러한 의복은 정상인이나 장애인 모두에게 중요한 것인데, 장애인의 의복은 장애부위 및 그 정도와 밀접하게 관련된 특수한 요구사항이 추가된다는 점이 달라, 표준화된 대량생산체제를 지니고 있는 현대의 의복생산에 비추어 볼 때, 장애인들의 특수한 요구를 충족시켜 주는 의복을 제공해 준다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우리의 현 실정을 살펴보면 장애인을 위한 기성복은 물론 맞춤복도 별로 없고, 기존의 논문들의 대부분이 몇몇 지체장애인에게 국한된 의복형태를 제시하고 있어서 많은 장애인들 에게 동시에 적용되는 패턴의 연구가 절실함을 알 수 있다. 게다가 이러한 패턴 연구에 기본이 되는 장애인의 체형특성 연구는 거의 찾아보기 힘듬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이러한 장애인들에게 보편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패턴의 제작에 기본이 되는, 의복구성시에 필요한 칫수를 계측하고, 그것을 동일한 연령층의 일반인과 비교하여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를 구명함으로써 장애인에게 보다 신체적합성이 높은 의복 패턴제작에 도움을 주는데 있다.

  • PDF

Body Satisfaction and Fitness Apparel Depending on Age and Silhouette in Women 20~50 Years of Age (20~50대 여성의 연령 및 실루엣에 따른 신체만족도와 의복적합성)

  • Kweon, Soo-Ae;Choi, Jong-Myoung;Sohn, Boo-Hyu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
    • v.34 no.3
    • /
    • pp.480-491
    • /
    • 2010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body satisfaction and fitness apparel depending on age and silhouette. The subjects were 254 females 20~50 years of age living in Chungju South Korea. There are various body types in women over the age of 35, the lower part of the body-development type, regular type, the upper part of the body-development type, and the rectangular body type. In addition, there is a lower satisfaction level in circumferences related with apparel fit, especially in the sleeve length, armhole, and crotch length. Therefore, a size system is needed that considers various body types in ready-to-wear clothing for middle-aged women. Design, color, and pattern are most important in clothing purchases by unmarried women, but the ease of laundry management and price discounts are the most significant for clothing purchases by married women. The upper part of the body-development type is unsatisfactory in the size-fit of sleeve length and shoulder width, but the lower part of the body-development type is unsatisfactory in the circumference of the waist, hip, abdominal, girth of skirt, and crotch length. The rectangular body type and the lower part of the body-development type are unsatisfactory in movement comfort, especially in hip girth and crotch length. The upper part of the body-development type is unsatisfactory in the movement comfort of the chest and elbow girth.

Measurement of Clothing Pressure of Skinny Jeans and Subjective Sensation (스키니 진의 의복압 측정과 주관적 감각평가)

  • Lee, Ji-Yeon;Na, Yeong-Ju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9.05a
    • /
    • pp.161-162
    • /
    • 2009
  • 최근 국내에서 유행하기 시작한 스키니 진(skinny jean)은 혈액순환 장애, 하복부 장기에 가해지는 압력으로 인하여 소화불량, 변비 또는 생리불순 등 여성 건강을 위협하는 의복 종류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의복의 쾌적성을 측정할 수 있는 척도인 의복압 검사와 스키니 진의 주관적인 착용감 검사 통하여 의복의 기능적인 면에서 인체의 건강에 적합한지 분석하고자 함이다. 사이즈 코리아를 참고하여 선정한 20대 여성의 평균 사이즈에 해당하는, 인지도 높은 3개 브랜드의 청바지를 시료로 사용하여 4명의 피험자에게 착용하게 한 후, 동작을 변화시키며 변화하는 의복압을 측정하고 주관적 감각 평가를 실시하였다. 첫째, 의복압 측정결과, 엉덩이 최대 돌출 부위가 자세와 상관없이 의복압이 가장 높게 나왔고 무릎 부위 Standing 자세에서 sitting down on the floor 자세로 변할수록 의복압이 높게 나왔다. 둘째, 주관적 감각에 대한 평가 결과는 모든 자세에서 허리벨트 부위가 가장 압박감을 크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복압과 주관적 감각의 관계분석에 있어서 스키니 진의 대부분의 부위에서 의복압이 높을수록 압박감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대퇴부 부위는 의복압이 낮은데도 불구하고 압박감을 크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A Development of the Usability Evaluation Technology for Smart Battlefield Jacket (디지털 디바이스 내장형 스마트 전투복의 사용성평가 기술 개발)

  • Park, Seon-Hyung;Lee, Joo-Hy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7.05a
    • /
    • pp.51-52
    • /
    • 2007
  • 미래의 '정보전장'에서는 모든 전투 개체가 실시간 정보를 공유하면서 작전을 수행하게 되며, 병사 또한 하나의 체계로 임무를 수행하기 위해 각종 디지털 디바이스가 내장된 스마트 전투복을 입게 될 것으로 생각된다. 선진국들은 여러 해 전부터 스마트 전투복을 개발하고자 하는 노력을 기울여 왔으며, 우리나라에서도 이에 동참하고 있다. 그러나, 각종 병사 구성품과 디지털 디바이스를 의복 내에 포함시켜 설계함에 있어서 병사의 동작과 체형에 적합한 설계안을 도출하기 위하여 프로토타입을 착용한 후 그 사용성을 평가할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본 연구는 미래병사의 전투력 향상을 위해 각종 디지털 디바이스를 내장한 스마트 전투복의 사용성을 평가하는 기술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에서 개발된 스마트의류의 사용성평가 척도를 이용하여 디지털 디바이스 내장형 전투복 프로토타입의 사용하여 사용성평가의 척도를 새롭게 개발하고 스마트 전투복의 사용성 평가 척도와 기술을 개발하였다.

  • PDF

Effect of the Shape and Attached Position of Fabric Sensors on the Sensing Performance of Limb-motion Sensing Clothes (직물 센서의 모양과 부착 위치가 사지 동작 센싱 의류의 센싱 성능에 미치는 영향)

  • Cho, Hyun-Seung;Yang, Jin-Hee;Jeon, Dong-Jin;Lee, Joo-Hyeon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20 no.3
    • /
    • pp.141-150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shape and attached position of E-textile-based stretchable sensors on motion-sensing performance and to investigate the requirements for the optimal structure of clothes for sensing limb motions. An experimental garment was prepared with different sensor shapes, and attachment positions. A child subject, wearing the experimental garment, performed arm and leg bending and extension motions at $60^{\circ}$, $90^{\circ}$ and $120^{\circ}$ motion angles, at a rate of 60 deg/sec. The changes in voltage triggered by the stretching and contracting of the fabric-sensor were measured, and an acceleration sensor was utilized to verify that the experimental motions were correctly performed. Dummy arms and legs of a child were manufactured to perform an identical test, in order to compare the dummy results with the actual human body experiment results.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reproducibility and reliability of the rectangular sensor, showing uniform and stable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boat-shaped sensor, in both the dummy and the human body experiments. The attachment position of the sensor was more reproducible and reliable when placed on 4 cm below the elbow and knee joints in the dummy test, when placed in the joints of the elbow and knee, in children experiment. The appropriate shapes and attached positions of the sensor for sensing the motions were analyzed, and the results proved that motion-sensing of the human body is possible by utilizing flexible fabric-sensors integrated into cloth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