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의미 사전

검색결과 1,047건 처리시간 0.023초

A Dictionay Composition for Morphological Analyzer from Corpus (코퍼스로부터 형태소 분석을 위한 사전 구성)

  • Jung, Min-Su;Jung, Kyu-Chol;Cho, Won-Hong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한국정보과학회언어공학연구회 1998년도 제10회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
    • /
    • pp.316-320
    • /
    • 1998
  • 한국어나 일본어처럼 문법형태소의 기능에 의해 단어의 통사적, 의미적 역할이 결정되는 교착어에서는 형태소 분석이 통사 분석과 의미 분석에 미치는 영향이 크기 때문에 한국어의 분석에 있어서 형태소 분석은 아주 중요하다. 관형적 표현이 많은 한글은 문법 규칙만으론 분석하기가 쉽지 않고, 분기가 많이 생성되므로 오류가 발생할 확률도 높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선 사전을 중심으로 해결하고자 한다. 그러기 위해선 방대한 용량의 사전이 필요로 하게 되고 이를 구축하기 위한 시간과 노력이 요구되므로 이미 구성된 코퍼스를 이용해 사전을 구성하여 많은 시간과 노력을 줄일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생성되는 많은 분기 가운데 올바른 경로를 찾아 가기 위해 코퍼스내의 각 태그 결합정보를 추출하고 추출한 결합정보의 통계정보-코퍼스내에서 사용된 빈도수-포함하여 우선순위를 정하도록 한다.

  • PDF

Study on Automatic Construction and Evaluation method of Caseframe (격틀 자동구축과 격틀평가 방법에 관한 연구)

  • Choi, Yong-Seok;Lee, Ju-Ho;Choi, Key-Su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한국정보과학회언어공학연구회 1999년도 제11회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
    • /
    • pp.272-279
    • /
    • 1999
  • 격틀이란 동사에 대해 필요한 격들과 그 격에 알맞은 단어집합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으로 명사와 동사의 의미적 호응을 표현한다. 격틀은 자연언어처리분야에서 주요한 정보로 사용할 수 있다. 의미구분이라든지 번역에서 한국어 생성, 정보검색에서 중요정보 추출 등 잘 구성한 질 높은 격틀은 여러 연구의 질을 높여줄 수 있다. 따라서, 질 좋은 격틀을 구성하기 위한 여러 노력들이 현재 이루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계 가독형 사전과 말모듬을 이용해서 자동으로 격틀을 구성한다. 자동구성 방법으로 먼저 기계가독형 사전을 이용해서 상위개념 정보를 가지는 분류정보를 구성한다. 말모듬과 사전의 예문들을 형태소 분석한 후에 각각의 예문들을 분류정보를 이용하여 최상위 개념으로 바꾼다. 그리고, 말모듬과 사전의 예문에서 나온 정보들을 통합하므로 해서 자동으로 격틀을 구성한다. 자동으로 격틀을 구성한 후에 수동으로 구성한 격틀과 비교해 본다. 비교하기 위한 평가방법에 대해서 논의한다.

  • PDF

The 3-step Answer Processing Method for Encyclopedia Question-Answering System : AnyQuestion1.0 (3단계 정답 추출 방법을 이용한 백과사전 인물분야)

  • Kim, Hyeon-Jin;Oh, Hyo-Jung;Wang, Ji-Hyun;Lee, Chung-Hee;Jang, Myung-Gil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한국정보과학회언어공학연구회 2004년도 제16회 한글.언어.인지 한술대회
    • /
    • pp.275-282
    • /
    • 2004
  • 본 논문은 3단계 정답 추출 방법을 통해 백과사전 인물분야 질의응답 시스템을 구현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논문에서 제안한 3단계 정답 추출 방법은 1) 백과사전 문서 내에서 정형화 될 수 있는 지식들을 추출한 백과사전 KB 기반 정답 추출 방법, 2) 문장을 언어분석 하여 LF(Logical Form)구조를 추출하여 색인한 LF 기반 정답추출 방법, 3) 각 문장을 주제 태깅을 하여, 주제별로 묶어 의미적 단락으로 구분하고 단락 검색을 기반으로 정답을 추정하는 의미적 단락 기반 정답 추출 방법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방법론은 백과사전이라는 문서 도메인의 특성을 반영하고. 사용자 질문의 난이도 또는 형태에 따라서 정답을 제공할 수 있는 백과사전 인물분야 질의응답 시스템에 적합하다.

  • PDF

An Improved Homonym Disambiguation Model based on Bayes Theory (Bayes 정리에 기반한 개선된 동형이의어 분별 모델)

  • Lee, Wang-Woo;Lee, Jae-Hong;Lee, Soo-Dong;Ock, Cheol-Young;Kim, Hyun-Gee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한국정보과학회언어공학연구회 2001년도 제13회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
    • /
    • pp.465-471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동형이의어 분별을 위하여 허정(2000)이 제시한 "사전 뜻풀이말에서 추출한 의미정보에 기반한 동형이의어 중의성 해결 시스템" 이 가지는 문제점과 향후 연구과제로 제시한 문제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Bayes 정리에 기반한 동형이의어 분별 모델을 제안한다. 의미 분별된 사전 뜻풀이말 코퍼스에서 동형이의어를 포함하고 있는 뜻풀이말을 구성하는 체언류(보통명사), 용언류(형용사, 동사) 및 부사류(부사)를 의미 정보로 추출한다. 동형이의어의 의미별 사전 출현 빈도수가 비교적 균등한 기존 9개의 동형이의어 명사를 대상으로 실험하여 비교하였고, 새로 7개의 동형이의어 용언(형용사, 동사)을 추가하여 실험하였다. 9개의 동형이의어 명사를 대상으로 한 내부 실험에서 평균 99.37% 정확률을 보였으며 1개의 동형이의어 용언을 대상으로 한 내부 실험에서 평균 99.53% 정확률을 보였다. 외부 실험은 국어 정보베이스와 ETRI 코퍼스를 이용하여 9개의 동형이의어 명사를 대상으로 평균 84.42% 정확률과 세종계획의 350만 어절 규모의 외부 코퍼스를 이용하여 7개의 동형이의어 용언을 대상으로 평균 70.81%의 정확률을 보였다.

  • PDF

Implementation Tagging System of Korea Homonym (한국어 동형이의어 태깅 시스템 구현)

  • Kim, Jun-Su;Choe, Ho-Seop;Lee, Wang-Woo;Ock, Cheol-Young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한국정보과학회언어공학연구회 2002년도 제14회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
    • /
    • pp.24-30
    • /
    • 2002
  • 본 논문은 한국어 정보처리에서 발생하는 단어 중의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사전 뜻풀이 말뭉치에서 추출하여 구축한 의미정보 데이터베이스(Semantic Information Database)와 이를 활용한 단어 중의성 해결 모델을 이용한 실용적인 동형이의어 태깅 시스템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중 소규모의 국어사전 150,000여 개의 표제어 전체의 뜻풀이에 품사 태그를 부착한 117만 어절 규모의 뜻풀이 말뭉치를 구축한 후 사전에 등재된 14,000여 개의 동형이의어 중 뜻풀이에 나타나는 8,164개의 동형이의어에 표제어 어깨번호를 이용한 의미 태그를 부착함으로써, 대량의 동형이의어 분별을 위한 공기(coocurrence)하는 단어와 빈도(frequency)정보를 추출하여 데이터베이스화 할 수 있었다. 본 동형이의어 태깅 시스템의 정확률 측정과 문제점 발견을 위해 (21세기 세종 계획) 프로젝트에서 제공하는 150만 어절 의미 태그 부착 말뭉치를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 세종 150만 의미 태그 부착 말뭉치에 고빈도로 출현하는 469개 어휘(총 출현 횟수 249.249개)에 대한 정확률이 91.58%로 나타났다.

  • PDF

A Thesaurus for Korean Language (YDK-Term : 한국어 용언의 다국어 통합정보사전)

  • Choi, Yon-Jun;Hwang, Do-Sam;Choi, Key-Su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한국정보과학회언어공학연구회 1998년도 제10회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
    • /
    • pp.321-326
    • /
    • 1998
  • 통합정보사전은 각종 자연언어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고도의 언어처리 및 성능향상을 위한 필수 요소이며, 아무리 좋은 언어 처리 도구와 처리 알고리즘이라도 계산언어학에 근거한 양질의 체계적인 전자사전이 없는 한 이의 실용화는 불가능하다. 기존에 출판되어 있는 사전은 자연언어처리 및 이해의 관점에서 개발된 사전이 아니며, 자연언어처리 도구 및 응용시스템에 사용되는 사전은 목적에 따라 각기 다른 체계에 의해 구축되어 있어 이용하는데 있어서 비효율적이다. 따라서, 고도의 언어처리 및 이해를 목적으로 한 체계적이며 과학적인 방법론을 이용하여 형태소, 구문, 의미정보 등 각종 정보가 통합된 통합정보사전의 개발이 반드시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다국어 통합정보사전 구축을 위한 한국어 용언의 통합정보사전을 설계한다. 이를 위해 사전구축 방법론을 정립하고, 정립된 방법론을 바탕으로 하여 통합 정보사전의 개발을 위한 통합정보사전 개발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 PDF

An Experimental Study on an Effective Word Sense Disambiguation Model Based on Automatic Sense Tagging Using Dictionary Information (사전 정보를 이용한 단어 중의성 해소 모형에 관한 실험적 연구)

  • Lee, Yong-Gu;Chung, Young-Me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 /
    • 제24권1호
    • /
    • pp.321-342
    • /
    • 2007
  • This study presents an effective word sense disambiguation model that does not require manual sense tagging Process by automatically tagging the right sense using a machine-readable and the collocation co-occurrence-based methods. The dictionary information-based method that applied multiple feature selection showed the tagging accuracy of 70.06%, and the collocation co-occurrence-based method 56.33%. The sense classifier using the dictionary information-based tagging method showed the classification accuracy of 68.11%, and that using the collocation co-occurrence-based tagging method 62.09% The combined 1a99ing method applying data fusion technique achieved a greater performance of 76.09% resulting in the classification accuracy of 76.16%.

Word Sense Disambiguation of Predicate using Sejong Electronic Dictionary and KorLex (세종 전자사전과 한국어 어휘의미망을 이용한 용언의 어의 중의성 해소)

  • Kang, Sangwook;Kim, Minho;Kwon, Hyuk-chul;Jeon, SungKyu;Oh, Juhyun
    • KIISE Transactions on Computing Practices
    • /
    • 제21권7호
    • /
    • pp.500-505
    • /
    • 2015
  • The Sejong Electronic(machine readable) Dictionary, which was developed by the 21 century Sejong Plan, contains a systematic of immanence information of Korean words. It helps in solving the problem of electronical presentation of a general text dictionary commonly used. Word sense disambiguation problems can also be solved using the specific information available in the Sejong Electronic Dictionary. However, the Sejong Electronic Dictionary has a limitation of suggesting structure of sentences and selection-restricted nouns. In this paper, we discuss limitations of word sense disambiguation by using subcategorization information as suggested by the Sejong Electronic Dictionary and generalize selection-restricted noun of argument using Korean Lexico-semantic network.

Natural Language Toolkit _ Korean (NLTKo 1.0: 한국어 언어처리 도구)

  • Hong, Seong-Tae;Cha, Jeong-Wo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한국정보과학회언어공학연구회 2021년도 제33회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
    • /
    • pp.554-557
    • /
    • 2021
  • NLTKo는 한국어 분석 도구들을 NLTK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게 만든 도구이다. NLTKo는 전처리 도구, 토크나이저, 형태소 분석기, 세종 의미사전, 분류 및 기계번역 성능 평가 도구를 추가로 제공한다. 이들은 기존의 NLTK 함수와 동일한 방법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현하였다. 또한 세종 의미사전을 제공하여 한국어 동의어/반의어, 상/하위어 등을 제공한다. NLTKo는 한국어 자연어처리를 위한 교육에 도움이 될 것으로 믿는다.

  • PDF

Constructing A Korean-English Bilingual Dictionary For Well-formed English Sentence Generations In A Glossary-based System (Glossary에 기초한 시스템에서의 적형태 영어문장 생성을 위한 한영 대역에 전자사전구축)

  • 신효필
    • Korean Journal of Cognitive Science
    • /
    • 제14권2호
    • /
    • pp.1-13
    • /
    • 2003
  • We introduce a way to generate morphologically and syntactically well-formed English sentences when building Korean to English bilingual dictionary for Machine Translation Systems. It has been proved that basic inflectional or structural descriptions for English sentences are by no means enough to generate proper English sentences because of traditional dictionary structures. Furthermore, much research has been focused only on how to disambiguate semantic ambiguities of words in a bilingual dictionary To take advantage of existing paperback Korean to English bilingual dictionary, its automatic conversion to an electronic version and methodologies to assign proper features to the descriptions for well-formed English sentences with minimum human effort have been proposed on the basis of the dictionary-specific structures. This approach was originally motivated for a glossary-based machine translation system, but it can be also applied to large scale dictionary work.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