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의미적 불확정성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24초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에 표현된 불확정성의 특성과 의미 (The Expressional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of Indeterminacy in Fashion Illustrations)

  • 김순자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691-703
    • /
    • 2015
  • Indeterminacy maintains that the simultaneous measurement of object location and speed is theoretically impossible. This study present indeterminacy as a theoretic tool to interpret a variety of expression characteristics that seem disorderly in recent fashion illustrations; in addition, it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 of indeterminacy as expressed in fashion illustrations. This study reviews concepts and related theories on indeterminacy to examine characteristics of indeterminacy expressed in the arts and fashion; subsequently, indeterminacy characteristics found in fashion illustrations are analyzed. In expressing the fashion figure, indeterminacy finds expression in a distorted figure transformations that include a hybridized combination of heterogeneous forms that dismantle and reconstruct the human body. The hybridized body of combined machines, animals and plants indicates an indeterminate body endlessly transforming itself. Indeterminate space expression finds expression in space expression by projection with the overlapping and juxtaposition of irrelevant constituent elements as well as a space expression from the insertion of unexpected images. An unclarified inconclusive open space provides space with fluidity, causes space expansion and conveys inconclusive meaning. Indeterminate expressions found in fashion illustrations reveal the ambiguity and complexity of a post-modern society with polysemous aesthetic values and the expanded visual concepts of fashion illustrations.

느낌 만이 뜻인가? (Is Feelings Enough For Meaning.)

  • 이건원
    • 인지과학
    • /
    • 제2권1호
    • /
    • pp.167-192
    • /
    • 1990
  • 현실적으로 사용된는 뜻은 인지자들의 느낌들의 한정된 범위내의 합의된 뜻임을 부인할 수없다. 느낌이 상대적이라는 것은 그것이 물리적인 대상이 아니어서 번역의 불확정성에 이하여 간접적으로 보여 줄 수 있다.그러나 합의된 뜻도 그것이 결코 절대적인 뜻이 아니라는 의미에서 그 표현이 사용되는 상황에 의존하는 상대적인 합의이다.

TV 광고에 있어서 Gerard Genette 이론적 서사의 시간성 -시간의 순서(Temporal Order)를 중심으로- (A Study on Commercial Film Narrative based on the theory of Gerard Genette -Focused on Temporal Order-)

  • 안상혁
    • 디자인학연구
    • /
    • 제18권1호
    • /
    • pp.245-252
    • /
    • 2005
  • 이 연구는 소설이나 영화의 서사적 시간성을 밝히는데 이론적 토대를 제공해 주고 있는 '제랄드 쥬네트(Gerard Genette)'의 이론을 통해 TV광고의 시간적 서사와 그 의미구조를 살펴보기 위한 시도이다. 광고는 그 광고가 지시하는 상품에 최고, 최대의 교환가치를 부여하기 위해 신화적인 초실재적 기호로 스스로를 변환시키고자 노력한다. 이런 과정에서 TV광고의 서사도 새로운 유혹의 메카니즘으로 보여지도록 서사적 시간의 순서를 뒤집고 뒤섞는다. 그렇게 하는 이유는 어떤 미학적 효과를 얻기 위해서이다. 광고는 상품가치를 극대화하기 위해 미학적 효과를 채용한다. 포스트모더니즘의 영향으로 TV광고는 기호내용보다는 기호표 현 중심으로 한 보여줌의 미학으로 전개됨에 따라 이미지의 과잉 현상을 낳는다. 특별한 미학적 효과를 위해 시간적으로 변형된 TV광고는 새롭고 세련된 화면을 제공하지만 모호한 이미지들로 인해 해석의 불확정성을 낳기도 한다. 하지만 이런 양상은 대중들이 광고메시지를 만드는데 능동적으로 참여하게 하는 여지를 제공해 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 PDF

바이오모픽 건축의 유기체 철학 배경에 관한 연구 (Organic Philosophy Background of Biomorphic Architecture)

  • 김정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5호
    • /
    • pp.436-443
    • /
    • 2014
  • 불확정성의 도시 사회구조에서도 생존을 위한 뚜렷한 성향을 가지고 특성화를 구축하는 건축을 바이오모픽 건축이라고 본 연구에서 전제하고 연구를 시작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현대건축의 비정형적이고 새로운 형상의 건축으로 전개되어 가고 있는 바이오모픽 건축에 내재되어 있는 의미를 해석하여 바이오모픽 건축 발생의 유기체 철학적 배경을 분석하는 것이다. 바이오모픽 건축은 자율적 생존구조를 지닌 생명체 형상으로 생명체가 지닌 생명현상의 잠재력을 형태로 구체화한 건축이라고 정의하였다. 이론적 고찰을 통해 바이오모픽 건축의 특성은 유동적 생명현상의 형상화와 상호관계적 자기조직화와 사용자 경험의 활성화 지원으로 분석되었다. 바이오모픽 건축의 특성을 분석하여 바이오모픽 건축의 발생요인으로 유기체 철학을 도출하는 연구분석의 객관적 기준을 구체적 사유로서의 '생성'과 복잡성의 과학과 창발적 시스템을 중심으로 정리하였다. 바이오모픽 건축의 발생요인으로 유기체 철학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새로운 건축의 유기체 철학을 중심으로 하는 발생배경에는 건축 관련 구성요소와 환경과의 유기체적인 통합의 특성이 작용되는 현상을 확인할 수 있다.

척도형용사의 의미적 불확정성에 대한 연구 (Semantische Unbestimmtheit der Skalaradjektiven)

  • 정동규
    • 한국독어학회지:독어학
    • /
    • 제10집
    • /
    • pp.277-296
    • /
    • 2004
  • Ein sprachlicher Ausdruck ist in verschiedenen Situationen in einer Vielzahl unterschiedlicher Lesarten oder $Pr\"{a}zisierungen$ verwendbar, und zwar mil dom Grad an $Pr\"{a}zision$, der den jeweiligen kormmunikativen Erfordernissen angemessen ist. Sokommt Vagheit/$Ambiguit\"{a}t$ in sprachlichen Ausdrucken fast $durchg\"{a}ngig$ vol. In der vorliegenden Albeit wird die $M\"{o}glichkeit$ der semantischen $\"{U}bersetzung$ der Skalaradjektiven($gro{\ss}$, klein, $hei{\ss}$, kalt, schwer, leicht, schnell, langsam usw.) untersucht, die eigentlich die Vagheit als eine der konstitutiven Eigenschaften haben. Den Schwerpunkt $daf\"{u}r$ bildet die semantische Analyse $\"{u}ber$ die Graduierbarkeit und Vergleichbarkeit der Positivformen der Adjektiven, die vol allem M.J.Cresswell 1976 in seiner Albeit formuliert hat. V(pos) is the function $\eta$ in $D_{{\lll}{0,1}>,<{0,1}{\gg}.{\ll}{0,1,1},>,<{0.1}{\ggg}$ such that where ${\xi}{\in}D_{{\ll}{0,1,1},><{0,1}{\gg}$,$\eta({\xi})$ is the following function: For any ${\omega}{\in}D_{<0,1>$and a ${\in}D_1$ and w$\in$W, w${\in}{\eta}({\xi})({\omega})$(a) iff w ${\in}{\omega}$(a) and there is exactly one b such that ${\xi}({\omega})$(a,b); and for that b, b=$\gg$(for some > and u ${\in}{ \scr}{Z}(>))$ and u is toward the top of the scale determined by > when restricted to those v such that for some c, w${\in} {\xi}({\omega})$$(c,{\;} and w${\in}{\omega}(c)$. (Cresswell, 1976: 272) Obwohl sein Verfahren anhnd von dem semantischen Symbol eine methodische und theoretische $Ad\"{a}quatheit$ erf\"{u}llt$, bleibt der Vergleichwert noch unterspezifiziert. Fur die Behandlung dieser semantischen Unterspezifikation ist eine neue Semantik erforderlich, die den Wahrheitwert fur die $Zugeh\"{o}rigkeitsgrade$ der Skalaradjektive $einschlie{\ss}t$.

  • PDF

시적 행위로서의 도덕과 수업 (A study on the moral instruction as a poetic act)

  • 송영민
    • 한국철학논집
    • /
    • 제31호
    • /
    • pp.87-111
    • /
    • 2011
  • 도덕과 수업의 주요한 목적 중 하나는 의미 있는 도덕적 앎을 형성하는 것으로 도덕적 의미는 인식주체에게서 발생하는 것이며, 의미 발생에서 우연은 배제될 수 없다. 만약 우연을 배제하고 조작적이고 공학적으로 도덕과 수업에 접근한다면, 학습내용이 전달 될 수는 있어도 의미 있게 수용되기는 어렵다. 이러한 난점으로 인해 도덕과 수업에서는 체제적 접근에 대한 대안적 관점을 요청한다. 그 대안을 찾기 위해서는 체제적 접근에 전제된 설명의 논리부터 재고할 필요가 있다. 도덕과 수업이 체제적이고 조작적인 행위로 이해되는 배경에는 설명의 논리가 있기 때문이다. 설명의 논리는 학생보다 우월한 지능을 가진 교사가 학생에게 지식을 전달하는 행위로 교육을 이해하며, 이 과정에서 교사의 전달에 대한 학생의 번역은 간과된다. 도덕과 수업에서 도덕에 대한 교사의 번역은 학생의 번역에 의해 의미가 발생하며, 나아가 새로운 의미로 확장된다. 이처럼 도덕과 수업을 번역과 번역으로 연결된 과정으로 이해할 때, 체제적 접근에서 간과하는 상징으로서의 교수, 공백으로서의 교수텍스트 구성, 우연으로서의 학습이라는 측면은 재조명될 수 있다. 도덕과 수업에서 이러한 측면들을 부각시키면, 도덕과 수업은 일종의 시 행위와 같다. 이러한 이해에 터하여 시 행위와 도덕과 수업의 닮음을 도출할 수 있다. 시 행위와 닮은 도덕과 수업에서 교수텍스트는 불변체적 의미와 더불어 불확정성을 전제하는 변체적 의미를 갖는다. 도덕과 교수텍스트가 갖는 불변체적 의미라는 제약성과 변체적 의미에서 가능한 개방성은 학생의 반응에 의해 도덕적인 수업으로 전환된다. 이 전환은 텍스트와 독자가 심미적으로 상호 교통하는 의식에서 비롯되듯이, 도덕과 학습에서 교수텍스트가 의미 있는 앎으로 수용되기 위해서는 학습목표를 의식하지 않는 학습이 가능해야 한다.

복식에 나타난 양성성의 상징적 의미 연구 (A Study of the Symbolic Meaning of a Bisexuality in Costume)

  • 권기영
    • 복식문화연구
    • /
    • 제10권6호
    • /
    • pp.633-647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serve the symbolic meaning and the values of the costume which express bisexuality through the definition from a culture point of view. The research method is to contemplate the documentary records such as world history, art history and clothing history, and to recognize the symbolic meaning of a bisexuality in modern fashion design. A definition the word´man and woman´restricted the human being for a long time. This restrict is enforced by the costume, but this traditional fixed idea is retarded by the liberal sense of the human being and the design expresses a sex ambiguity This study inspects the sex ambiguity and the meaning of that through a cultural background and a historical costume.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first, the cultural background about bisexuality is classified into the etymological point, the mythologic point. the art and philosophical point, the political and economic background, the mass media, and the custome and the regulation. A bisexuality is a concept in existence from ancient times. we have an open-minded attitude about bisexuality in the present than the past. The second, the function of costume is sex classification before 20th century, but since 20th century the costume expresses sex ambiguity. The third, the symbols of the bisexuality are the interminacy, the unity and the dismantling. The costume which expresses bisexuality means coexistence of male sex and female sex. this is a kind of motion to embody a ideal body of the human being. This study makes a contribution to recognize the dignity of human body and to understand the phenomenon of modern society.

  • PDF

공공 공간의 전유와 배제 논리: 1990년대 후반부터 2000년대 초반까지 탑골공원의 사례 (The Appropriation of Public Space and Logic of Exclusion: A Case of the Tap-Gol Park from late 1990's to early 2000's)

  • 이강원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8권6호
    • /
    • pp.944-966
    • /
    • 2013
  • 본 연구는 도시에서 공공 공간이 차지하는 문화지리학적 중요성을 부각시키려는 시도이다. 공공 공간은 근대 도시계획의 산물로서 사회적 배경이 다른 사람들이 마주치고 집회와 축제를 여는 곳으로 근대 도시의 활력을 대표하는 곳이다. 때문에 국가나 지배집단이 특정한 의미를 부여하고 그 쓰임새를 한정함으로써 공간 내에서의 행위를 통제하는 시도를 반복하는 한편, 개인적인 혹은 사회적인 이유에 따라 전혀 다른 의미로 공공공간을 이용하는 사람들이 끈임 없이 발을 들여 놓는다. 공공 공간은 그 특성상 의미가 불확정적이라는 점에서, 그 공간의 의미가 무엇인가 그리고 그 쓰임새가 어떠해야 하는가는 사회의 다양한 집단들 간 경합의 대상이 되어 왔다. 서울 최초의 근대공원인 탑골공원은 다양한 사회적 배경을 지닌 개인들이 모여드는 도심에 위치한 이유로 그 쓰임새와 의미가 중첩되어 왔다. 연구자는 위의 주제를 구체화 할 수 있는 적합한 대상으로 1990년대 후반에서 2000년대 초반에 이르는 시기의 탑골공원을 주목했다. 참여관찰과 면담을 포함하는 민족지 연구(ethnographic research)를 통해서 현대 도시사회 질서 속에서 지속되고 있는 공간의 의미의 경합을 민족주의와 복지논리를 통한 배제의 과정과 '탑골공원 할아버지'로 대표되는 공원 이용자들의 장소형성과 전유의 과정을 중심으로 분석했다.

  • PDF

경찰법상 위험개념 (General Idea of Danger in Police Law)

  • 구형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7권4호
    • /
    • pp.178-183
    • /
    • 2007
  • 위험방지를 위한 경찰권 행사는 손해발생의 방지를 최우선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어디까지를 경찰법상 위험방지영역상의 예방의 대상으로 할 것인가 즉, 그 경계설정의 논의가 최근까지 경찰법상 위험방지영역상의 위험개념을 둘러싼 학설상의 주된 다툼이 되고 있다. 이는 경찰에 의한 공공의 안녕과 질서유지 임무 수행은 주로 개개의 위험방지조치를 통하여 이루어 질 수밖에 없으며 예방적 경찰작용은 경찰상의 보호이익에 대한 위험의 방지를 그 내용으로 하는 것으로서 적법한 예방적 경찰작용의 수행을 위해서는 위험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전제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경찰법상 위험에 포섭되기 위하여 최소한도의 위험의 공통된 구성요소를 손해, 충분한 개연성, 시간적 접근성으로 구분하여 각각의 구성요소에서 말하고 있는 법적 의미에 대하여 살펴보고 불확정개념으로서 위험의 해석에 관한 문제를 검토하였다.

경찰법상 위험개념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general idea of danger in Police Law)

  • 구형근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6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327-331
    • /
    • 2006
  • 위험방지를 위한 경찰권 행사는 손해발생의 방지를 최우선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어디까지를 경찰법상 위험방지영역상의 예방의 대상으로 할 것인가 즉, 그 경계설정의 논의가 최근까지 경찰법상 위험방지영역상의 위험개념을 둘러싼 학설상의 주된 다툼이 되고 있다. 이는 경찰에 의한 공공의 안녕과 질서유지 임무수행은 주로 개개의 위험방지조치를 통하여 이루어 질 수밖에 없으며 예방적 경찰작용은 경찰상의 보호이익에 대한 위험의 방지를 그 내용으로 하는 것으로서 적법한 예방적 경찰작용의 수행을 위해서는 위험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전제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경찰법상 위험에 포섭되기 위하여 최소한도의 위험의 공통된 구성요소를 손해, 충분한 개연성, 시간적 접근성으로 구분하여 각각의 구성요소에서 말하고 있는 법적 의미에 대하여 살펴보고 불확정개념으로서 위험의 해석에 관한 문제를 검토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