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의류 통계

검색결과 101건 처리시간 0.024초

섬유 및 의류 수입이 국내 생산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extile and Apparel Import on Competing Domestic Production)

  • 홍재경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273-282
    • /
    • 1997
  • 본 연구는 Pelzman and Martic (1981)의 불균형 국내 산출 방정식(disequilibrium domestic output equation)을 이용하여 수입 섬유 및 의류 제품이 미국 내에서 생산되는 섬유 및 의류 제품의 생산량에 미치는 영향을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불균형 국내 산출 방정식에서 Pelzman and Martin (1981)은 특정 기간 동안 미국 내의 생산량은 7가지의 변수 즉, (1) 생산 근로자의 평균시간 임금, (2)자본의 사용 가격, (3) 수입품의 비교 가격, (4) 실질 여유 소득, (5) 섬유 및 의류제품의 국내 가격, (6) 섬유 및 의류 제품의 재고량, (7)섬유 및 의류 제품의 수입량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고 가정하였다. 그러나 불균형 국내 산출 방정식을 만족하는 정부 기관의 통계자료가 다 없기 때문에 수정된 국내 산출 방정식을 만들어서 분석하였다. 이 수정된 국내 산출 방정식을 이용하여 수입 섬유 및 의류 제품이 미국 내에서 생산되는 섬유 및 의류 제품의 생산량에 미치는 영향을 통계적으로 처리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그 분석된 결과로는 국내 의류 및 섬유 생산 수준은 재고 변화보다는 가격 변화에 더 민감하게 반응한다. 그리고 국내 의류 및 섬유 생산 수준은 수입 의류 및 섬유의 수입량과는 역관계이다. 이것은 수입 의류 및 섬유의 증가는 국내 의류 및 섬유 생산의 감소를 야기시킨다. 이 불균형 국내 산출 방정식이 다른 나라의 분석에도 유용할 것이다.

  • PDF

IoT센서를 활용한 스마트 옷장 설계 (Smart Closet Design using IoT Sensor)

  • 장은겸;강문수;박성현;최지석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2년도 제66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30권2호
    • /
    • pp.463-464
    • /
    • 2022
  • 본 논문는 IoT 센서를 활용한 스마트 옷장을 연구하였다. 스마트 의류 관리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등록한 옷을 카테고리별로 확인할 수 있으며, 기상청 API를 통한 날씨에 따른 의류 추천, 사용자가 착용한 의류 통계 정보와 의류 세탁 주기 정보를 제공한다. 스마트 옷장은 UV_LED를 활용한 의류 살균, 자동 미세먼지 감지 센서를 이용한 옷장 공기순환장치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의류의 미세먼지 등을 제거할 수 있는 의류진동 기능을 제공한다. 애플리케이션 기능으로 옷을 등록할 때 옷을 계절별로 등록, 빨래 주기 설정 등 다양한 카테고리를 제공하여 기존 IoT 옷장의 기능을 개선하여 더 편리하게 의류를 관리할 수 있다.

  • PDF

기업특성과 Quick Response Technologies의 사용 수준과의 관계 연구 (A Study of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and the Usage Level of Quick Response Technologies)

  • 고은주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586-595
    • /
    • 1996
  • 급변하는 국내외의 교역환경 변화에 따라 의류산업에도 새로운 경영 전략 수립이 요구되고 있다. Quick Response(QR)는 의류제품을 생산하는 기업의 경쟁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소개된 새로운 경영 전략으로서, 유통 채녈 사이에 정보와 상품의 흐름을 효울화시켜 최대의 소비자 만족을 제공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QR technologies의 사용현황을 밝히고 기업 특성과 QR technologies 사용수준과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종족변수는 QR technologies의 사용 수준이며, 선별된 독립변수들은 기업크기 (firm size), 기업전략 (organizational strategy), 제품종류(product category) , 패션변화(fashion change), 주기 적변화(seasonal change)였다. 조사대상은 미국 전역에서 무작위로 추출된 306개의 의류업체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1차 우편과 2차 전화로, 설문지를 통해 자료수집을 하였다. 설문 응답률은 47%(n=103)였고, 자료의 분석은 기술통계(i, e., 빈도, 퍼센트)와 비모수통계기법을 사용하였다.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QR technologies는 소량주문(small lot orders) , 단기 사이클 재단 계획 (short cycle cut planning)과 고객의 견이 반영 된 생산계획 (Production planning with customers)이였다. 가장 적게 사용되고 있는 QR technologies는 전자 재주문(electronic reorder)과 단위 생산 시스템 (unit production system)이 였다. QR technologies 사용수준에 관계가 있는 것은 기업크기 (firm size), 기업전략 (organizational strategy), 패션변화(fashion change) 임으로 나타났다. 의류업체의 크기가 클수록, 혁신적 선도기업 일수록, 패션변화가 큰 제품을 취급할수록 QR technologies의 사용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의류업체는 자원과 생산하는 제품종류에 따라 경영전략과 QR technologies의 사용수준이 다양하였다.

  • PDF

이미지 비유사도 기반의 개인화된 하이브리드 의류 추천 모델 (Personalized Hybrid Outfit Recommendation Based on Image Dissimilarity)

  • 양정원;백지혜;김현희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3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459-460
    • /
    • 2023
  • 기존의 추천시스템은 상품간 혹은 사용자 간의 유사도를 기반으로 작동한다. 하지만 이는 사용자가 유사한 상품 추천 속에 갇히게 되는 필터 버블의 문제와 추천시스템의 고질적인 문제인 데이터 희소성 문제를 피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의 취향과 체형 정보를 반영하여 사용자의 평점을 예측하는 협업 필터링 기반 딥러닝 추천과 상품간 비유사성을 고려하여 사용자의 평점을 예측하는 내용 기반 추천을 혼합한 하이브리드 추천 모델을 구축하여 기존 추천시스템의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모델의 성능평가를 위해 인터넷 의류 쇼핑몰을 대상으로 유사한 이미지를 활용한 하이브리드 추천 모델과 NDCG 값을 비교하였고 유사도가 낮은 이미지를 활용한 모델이 더 우수한 성능을 보였다. 이는 다른 제품과는 달리 소비자가 의류를 구매할 경우 이미 구매한 상품과 유사한 상품보다는 유사하지 않은 상품을 구매할 가능성이 크다는 것을 보여준다.

IoT를 활용한 스마트 옷장 구현 (Development of Smart Closet Using IoT)

  • 장은겸;강문수;김민우;이창훈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3년도 제67차 동계학술대회논문집 31권1호
    • /
    • pp.265-268
    • /
    • 2023
  • 본 논문은 바쁘게 살아가는 사회인뿐만 아닌 합리적인 소비, 효율적인 시간 관리를 원하는 사람들을 위한 IoT 센서를 활용한 스마트 옷장을 제공하고자 한다. 기존 IoT 센서를 활용한 옷장은 의류를 청결하게 해주는 것에 제한되어 있지만, 본 논문에서 제안한 프로젝트는 옷을 청결하게 관리하는 것뿐만 아닌 본인의 옷의 정보를 DataBase에 저장하여 입력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옷에 대한 통계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의류 구매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날씨 데이터를 활용해 현재 날씨에서 오차범위를 계산하여 해당 날씨에 알맞은 옷을 추천하는 기능 및 관리 기능을 제공하여 효율적이고 편리한 의류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 PDF

국제의류사슬 내 수출위치가 섬유 및 의류제품의 미국 내 수출단가에 미치는 영향 (Export Positions in the Global Apparel Commodity Chain and Unit Values of Apparel and Textile Products Exported to the United States)

  • Lee, Eun-Ju;Lee, Kwang-Bae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6권12호
    • /
    • pp.1716-1726
    • /
    • 2002
  • 본 연구는 국제의류사슬 내 수출위치를 단순조립 생산 (Mere-Assembly Production), 주문자 상표부착 생간방식 (Origin Equipment Manufacturing), 고유상표 생산방식 (Original Brand Name Manufacturing)으로 규명하고, 각 국가의 의류사슬 내 수출 위치가 수입 단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하였다. 1999년 미국Department of commerce의 무역 자료를 사용하여 국제 의류사슬 내 각각의 위치를 점하고 있는 방글라데시, 홍콩, 한국, 이태리를 비교한 결과, 의류사슬 내 위치에 따라 이들 국가로부터의 섬유 및 의류제품의 미국 내 수출단가가 통계 적으로 유의 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오가닉 의류제품에 대한 대학생 소비자의 품질평가기준과 구매의도 (The Consumers' Evaluative Criteria of Quality on The Organic Clothes and Their Purchase Intention)

  • 박혜령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1호
    • /
    • pp.8001-8011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오가닉 의류제품의 미래의 실소비자들이라 할 수 있는 대학생소비자를 대상으로 오가닉 의류제품의 평가를 위한 품질 속성들을 찾아서 이를 범주화함으로써 평가기준의 근거를 마련하고 각각의 속성들이 대학생 소비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수행하는 역할에 대하여 살펴보며 대학생 소비자의 품질평가에 따른 향후 구매의도와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조사 대상인 대학생들의 오가닉 의류제품에 대한 평가기준 요인으로는 "심미상징성", "관리성", "기능성"의 3요인으로 나타났다. 결과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 중 성별, 관련전공, 용돈에서 오가닉 의류제품의 평가기준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연령, 거주지역, 가족소득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대학생 소비자의 오가닉 의류제품 구매경험집단이 오가닉 의류제품의 평가기준인 "심미상징성", "관리성", "기능성"의 모든 요인에 대해 비구매집단보다 더 중요하게 고려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오가닉 의류제품 평가기준에 따라 향후 구매의도 집단과 구매의도가 없는 집단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는데 "관리성", "기능성"은 두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의류학의 현재와 미래의 방향에 대한 연구 -의류학과 교수의견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Assessment of Current and Future directions for Clothing and Textiles)

  • 신상무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187-198
    • /
    • 1995
  • 간학문적 특성이 강한 의류학은 최근 급변하는 사회환경 즉, 학생들의 전문적 경험에 대한 요구, 패션업계와의 유기적 상호관계, 컴퓨터 등 과학기술의 발달, 사회의전문화, 세분화, 정보화, 세계화 등에 능동적으로 대처하여 의류학 졸업생들의 경쟁력을 강화시키기 위하여 보다 질적으로 향상된 의류학의 방향을 모색하도록 요구받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1) 의류학의 목표는 무엇이며 현재 강조되고 있는 분야와 교과목 및 취업기회는 어떠한지, 그리고 미래에 의류학이 당면할 수 있는 문제들은 무엇인지, 2) 프로그램이 어떻게 바뀌어졌으며 앞으로 어떠한 방향으로 발전되어 갈 것인가에 대하여 연구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전국 43개 4년제 대학의 의류학 관련 교수 11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법을 사용하였으녀 회수된 58부(53% 회수율)를 SAS로 통계처리하여 Likert's method of summated ratings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의류학의 목표가 가정중심의 복지 향상(M=2.5, SD=1.0)에서 의류학 분야의 전문인을 양성(M=4.8, SD=0.4)하는 것으로 변화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디자인 분야(M=4.8, SD=0.5)와 구성분야 (M+4.5, SD=0.7)가 풍부한 교과목과 함께 강조되고 있으며 디자인 분야의 취업성향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과목이 많이 증설되었으며 (특히 디자인분야) 실험실습시간이 증가되고 인접학문 교과목과 현장실습경험이 증가추세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의류학의 발전을 위해 전문적 이미지 제고와 함께 졸업생의 취업기획의 증가, 의류산업체와의 인턴제도를 통한 산학협동, 그리고 컴퓨터 활용 증대 등이 요구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의류학에의 컴퓨터 디자인 및 컴퓨터 테크놀로지 응용실태와 미래의 방향에 대한연구 (A Study on the Impacts of Computer-Aided Design and Computer Technologies on Clothing and Textiles: Current Trends and Future Outlook)

  • 신상무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207-218
    • /
    • 1994
  • 최근 컴퓨터 디자인을 비롯한 컴퓨터의 응용은 의류패션과 직물 산업분야에 있어서 디자인 및 생산공정이 자동화되는 등 의류 디자인 및 제작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본연구의 목적은 컴퓨어화 사화의 이행에 따른 1) CAD를 포함한 컴퓨터 시스템의 의류학에의 응용실태 2) 컴퓨터 응용에 대한 인식 및 미래의 방향 3) 의류학내의 전반적인 문제점과 해결방안 등에 대하여 연구하고자한다. 연구방법은 전국 의류학 관련교육과(43개 4년제 대학의 교수) 11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법을 사용하였으며 회수된 58부 (53% 회수율)를 SAS로 통계처리하여 Likert's mehod of summated ratings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CAD는 11%의 대학에서 컴퓨터개론이 25%의 대학에서 Telecom-munication Spreadsheet Database 는 각각 4%의 대학에서 강의되고 있다. CAD 는 주로 다른과목에 포함되어 "몇주"(4%) "몇일(4%)" 정도 강의되고 있으며 컴퓨터개론은 다른과목에 포함되어"반학기"정도 강의 되는경우(14%) 가 가장많은 것으로나타났다. 또한 37%의 대학에서 앞으로 5년내에 의류학에 컴퓨터디자인 및 컴퓨터 시스템을 도입할 계획으로 있으며 특히 CAD에 대한 관심이 높았다. 64%의 대학이 의류학과 건물내에 컴퓨터 시설이 갖추어져 있지 않아 모든교수들이 컴퓨터교육을 위한 시설 재점비가 필요하다고 하였다. 컴퓨터활용의 부족이 의류학 관련학과의 취약부분으로 인식욈에 따라 앞으로 CAD에 관한 연구 및 컴퓨터 관련 수업의 개설, 시설 확충등이 보완되어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본연구 결과는 한국내 의류관련학과의 CAD를 포함한 컴퓨터의 응용실태와 성향을 실증적으로 조사분석함으로써 앞으로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고 미국과의 비교분석을 통하여 의류학과 응용이 우리 실정에 맞게 정착되는데 도움이 될것으로 기대된다.

  • PDF

의류학 관련 전공에 대안 학생들의 전공 만족요인: 구조적 모형 분석 (Satisfaction Factors for a Clothing and Textiles Major: A Modeling)

  • Eunkyung Jeon;Eunyoung Chang;Lee, Kyu-Hye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5권9호
    • /
    • pp.1614-1620
    • /
    • 2001
  • 본 연구의 목적은 의류학 관련 전공에 대한 학생들의 전공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결정변인을 조사하는데 있다. 조사대상은 의류학 관련학과를 전공으로 하는 국내 2년제 및 4년제 10개 대학의 재학생으로, 총 690부의 설문자료가 최종 통계분석에 사용되었다. 분석은 Lisrel을 이용하여, 학생들의 전공 만족도의 결정 변인과 구조적 모형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학문적 경쟁력과 전공에 대 한 적성 및 흥미가 가장 중요한 전공 만족도의 결정 변인으로 밝혀졌으며, 기타 만족도 변인인 시설 및 장비, 취업, 학생활동 관여도, 사회적 유대감등은 전공 만족도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 학교 만족도를 통해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