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의류 디자인

검색결과 1,051건 처리시간 0.03초

의류학관련 학과에서의 CAD의 경향 - 미국내 대학을 중심으로 - (The Trends of Computer Aided Design in the Clothing and Textiles Programs in U.S.A. Colleges & Universities)

  • 최현주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638-647
    • /
    • 1993
  • 현재 미국에서 컴퓨터 디자인(Computer aided design)은 의류산업과 의류학 교육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나 한국내 의류학관련 학과에서의 CAD의 도입은 아직 초기 단계에 불과하다. 이에 본 연구는 미국내 대학을 중심으로 의류학관련 학과에서의 전반적인 CAD 교육 경향을 조사 분석하여 실질적인 자료와 국내 의류학관련 학과의 CAD 교육의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1993년 5월, 총 19문항의 질문지가 124개 대학 의류학관련 학과에 우편으로 배포되었으며 71부가 회수되어 57%의 회수율을 나타내었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사 대상(71개 학교)중 56%가 CAD를 커리큘럼에 포함시켰다. 특히 의상디자인 전공을 가진 학과의 79%가 CAD를 도입하여, 의상디자인 전공이 없는 학과(28%가 CAD를 도입)보다 그 비율이 훨씬 높았다. 의류학 교육에서 CAD의 도입은 1988년 이후 급격한 증가 추세를 보였으며, 대부분의 강의는 의류학분야 교수진에 의해, 의류학과 시설물내에서 이루어졌다. CAD를 독립된 과목으로 강의하는 경우 대부분 필수과목으로서 한 학기 코오스가 많았으며 3학년부터 시작되었다. CAD를 다른 의류학 과목에 포함시켜 일부분으로 강의할 경우 영역 별로는 복식 의장학 분야의 과목에, 시간 별로는 한 학기 중 "몇 주" 정도로 가르치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전체 CAD 강의에서 다루는 주제로는 패턴 메이킹이 가장 많이 차지하였으며 그 다음에는 패턴 그레이딩, 마커 메이킹, 직물/패턴 디자인, 패션 일러스트레이션, 의상디자인 순이며 스토어 레이아웃 상품전시 및 디스플레이 계획이 가장 적었다. 본 연구 결과는 현재 CAD를 강의하고 있거나 앞으로 CAD를 커리큘럼에 도입하려는 한국 의류학 분야 교육자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의류학에의 컴퓨터 디자인 및 컴퓨터 테크놀로지 응용실태와 미래의 방향에 대한연구 (A Study on the Impacts of Computer-Aided Design and Computer Technologies on Clothing and Textiles: Current Trends and Future Outlook)

  • 신상무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207-218
    • /
    • 1994
  • 최근 컴퓨터 디자인을 비롯한 컴퓨터의 응용은 의류패션과 직물 산업분야에 있어서 디자인 및 생산공정이 자동화되는 등 의류 디자인 및 제작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본연구의 목적은 컴퓨어화 사화의 이행에 따른 1) CAD를 포함한 컴퓨터 시스템의 의류학에의 응용실태 2) 컴퓨터 응용에 대한 인식 및 미래의 방향 3) 의류학내의 전반적인 문제점과 해결방안 등에 대하여 연구하고자한다. 연구방법은 전국 의류학 관련교육과(43개 4년제 대학의 교수) 11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법을 사용하였으며 회수된 58부 (53% 회수율)를 SAS로 통계처리하여 Likert's mehod of summated ratings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CAD는 11%의 대학에서 컴퓨터개론이 25%의 대학에서 Telecom-munication Spreadsheet Database 는 각각 4%의 대학에서 강의되고 있다. CAD 는 주로 다른과목에 포함되어 "몇주"(4%) "몇일(4%)" 정도 강의되고 있으며 컴퓨터개론은 다른과목에 포함되어"반학기"정도 강의 되는경우(14%) 가 가장많은 것으로나타났다. 또한 37%의 대학에서 앞으로 5년내에 의류학에 컴퓨터디자인 및 컴퓨터 시스템을 도입할 계획으로 있으며 특히 CAD에 대한 관심이 높았다. 64%의 대학이 의류학과 건물내에 컴퓨터 시설이 갖추어져 있지 않아 모든교수들이 컴퓨터교육을 위한 시설 재점비가 필요하다고 하였다. 컴퓨터활용의 부족이 의류학 관련학과의 취약부분으로 인식욈에 따라 앞으로 CAD에 관한 연구 및 컴퓨터 관련 수업의 개설, 시설 확충등이 보완되어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본연구 결과는 한국내 의류관련학과의 CAD를 포함한 컴퓨터의 응용실태와 성향을 실증적으로 조사분석함으로써 앞으로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고 미국과의 비교분석을 통하여 의류학과 응용이 우리 실정에 맞게 정착되는데 도움이 될것으로 기대된다.

  • PDF

생체신호 모니터링 스마트 의류의 디자인 연구 -심전도 센싱 의류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Design of Smart Clothing for Vital sign Monitoring -Based on ECG Sensing Clothing-)

  • 조하경;조현승;구수민;송하영;강다혜;이주현;이정환;이영재
    • 한국감성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감성과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23-126
    • /
    • 2009
  • 최근 생체 신호 센싱 기능의 의류가 연구 개발되어 왔으나, 생체 신호 측정 시 착용자의 동작에 의한 치명적인 잡음이 발생하는 문제가 지속적으로 보고되어 왔다. 이에 본 연구는 심전도 센싱 의류를 기반으로 생체 신호 측정의 정확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착용자의 동작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심전도 센싱 스마트 의류의 모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일자형 절개 타입', '십자형 절개 타입', '엑스형 절개 타입', '곡선 엑스형 절개 타입'의 총 네 가지 타입의 생체신호 센싱 스마트 의류의 시안을 설계하고 제작하였다. 디자인 시안은 민소매 형태의 남성용 티셔츠로 신축성 있는 소재를 사용하여 인체 굴곡을 따라 의복과 전극이 밀착될 수 있도록 하였으며, 트랜스미터를 이용하여 메인 컴퓨터로 데이터가 무선 전송되게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개발된 4 가지 의류 타임을 기반으로 인체의 정지 및 동작 상태에서의 심전도 센싱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동작에 따른 전극의 변위를 측정하고, 심전도 측정 평가를 실시하여 SNR을 분석하였다. 본 실험 곁과를 반영하여 의류 디자인 시안의 수정 및 보완 과정을 거친 후, 최종적으로 동작 잡음을 최소화하는 생체신호 센싱 스마트 의류 디자인 모형을 제시하였다.

  • PDF

대량 맞춤화(Mass Customization)형 의류 제품을 위한 디자인 프로세스 모형 연구 (A Study of the Fashion Design Process Model for Mass Customized Clothing)

  • 박진아;이주현
    • 한국감성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감성과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331-1339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대량 맞춤화(Mass Customization)에 적절한 의류 제품 디자인 프로세스를 연구하기 위하여, 맞춤화 정도를 달리한 두 가지의 디자인 프로세스 모형을 제안하고 이를 종래의 대량 생산형 디자인 프로세스와 비교 고찰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디자인 프로세스의 방향을 모색하였다. 대량 맞춤화형 제품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집단이 전체 응답자의 과반수 이상을 차지하였으며 맞춤화가 가장 심화된 디자인 프로세스 모형에서의 디자인 만족도가 높았으므로, 의류 제품에 있어 대량 맞춤화형 디자인 프로세스에 대한 소비자 수용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또한 전체 응답자를 대상으로 하여 디자인 요소별 선호도를 분석해 본 결과, 대량 맞춤화형 디자인 프로세스에서 색채가 중요한 요인으로 분석되어 소비자에게 색채를 선택할 수 있는 기회를 주는 것이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연구집단으로 선정한 '대량 맞춤화형 제품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집단'의 경우 전체 응답자 집단에 비하여 소재 변수를 의미 있게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체 응답자 집단과 연구집단의 경우 모두 스타일이 가장 중요하며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는 디자인 요소인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하여 소비자의 요구를 반영할 수 있는 대량 맞춤화형 의류 제품의 수용 가능성과 이에 적합한 의류 제품 디자인 프로세스의 방향을 모색해 볼 수 있었다.

  • PDF

생체 신호 측정기술에 기반한 건강관리용 스마트 의류 디자인 프로토타입 개발 (A Development of Design Prototype of Smart Clothing for Healthcare Based on Sensing Technology of Vital Signs)

  • 조현이;이주현;이충근;이명호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6년도 학술대회 2부
    • /
    • pp.227-232
    • /
    • 2006
  • 스마트 의류의 발달은 pc 를 분산, 부착한 웨어러블 컴퓨터의 연구로부터 진행되어 왔으며, 1990 년대 후반 이후 착용자 감성을 고려해 더욱 편안하며, 의복과 유사한 외관을 디자인 하려는 노력이 전개되고 있다. 스마트 의류는 엔터테인먼트, 비즈니스, 스포츠, 의료 분야에 적용 등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으로 연구, 개발되고 있으며, 최근 들어서는 생체신호 센서를 이용한 건강관리용 스마트 의류의 연구가 주목 받고 있다. 건강에 대한 관심과 라이프 스타일의 변화, 고령화 사회의 예상으로 인해 건강복지에 대한 필요성이 증가하는 최근 트렌드를 볼 때, 건강 관리용의 스마트 의류의 수요는 증가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본적인 생체신호 뿐 아니라 심장 질환, 호흡기 질환을 측정할 수 있는 건강 개념의 스마트 의류 디자인을 개발하였다. 이 스마트 의류는 기존의 의복의 형태와 착용감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의복 착장 시 생체 신호를 전송,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개발된 의복은 심전도, 체온 센서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심전도, 호흡량, 맥박, 체온 등의 생체신호를 얻을 수 있다. 디자인 프로토타입의 기기 위치 선정은 선행 연구에서 제시한 '착용성 향상을 위한 웨어러블 컴퓨터 디자인 지침' 을 기반으로 설계하여 착장 시 기기로 인한 이물감이 느껴지지 않도록 하였으며 또한, 기기의 하중을 최소화 하였다. 의복의 디자인은 센서의 안정된 부착과 활동성, 센서의 정확한 측정을 고려하여 표피의 면적 변화를 고찰하여 디자인하였다. 이 스마트 의류는 노인, 건강 이상자, 통원 치료자에게 평상시의 건강을 체크 함으로써 보다 원활한 치료의 가능으로 의료 복지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되며, 디자인 프로토타입의 개발을 통하여 센서기반 스마트 의류의 가능성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이 연구의 의의가 있다.

  • PDF

A Lightweight Deep Learning Model for Text Detection in Fashion Design Sketch Images for Digital Transformation

  • Ju-Seok Shin;Hyun-Woo Kang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8권10호
    • /
    • pp.17-25
    • /
    • 2023
  • 본 논문에서는 의류 디자인 도면 이미지의 글자 검출을 위한 경량화된 딥러닝 네트워크를 제안하였다. 최근 의류 디자인 산업에서 Digital Transformation의 중요성이 대두되면서, 디지털 도구를 활용한 의류 디자인 도면 작성이 강조되고 있으며, 디지털화된 의류 디자인 도면의 활용 가능성을 고려할 때, 도면에서 글자 검출과 인식이 중요한 첫 단계로 간주된다. 이 연구에서는 기존의 글자 검출 딥러닝 모델을 기반으로 의류 도면 이미지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경량화된 네트워크를 설계하였으며, 별도로 수집한 의류 도면 데이터 셋을 추가하여 딥러닝 모델을 학습시켰다. 실험 결과, 제안한 딥러닝 모델은 의류 도면 이미지에서 기존 글자 검출 모델보다 약 20% 높은 성능을 보였다. 따라서 이 논문은 딥러닝 모델의 최적화와 특수한 글자 정보 검출 등의 연구를 통해 의류 디자인 분야에서의 Digital Transformation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의류학의 현재와 미래의 방향에 대한 연구 -의류학과 교수의견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Assessment of Current and Future directions for Clothing and Textiles)

  • 신상무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187-198
    • /
    • 1995
  • 간학문적 특성이 강한 의류학은 최근 급변하는 사회환경 즉, 학생들의 전문적 경험에 대한 요구, 패션업계와의 유기적 상호관계, 컴퓨터 등 과학기술의 발달, 사회의전문화, 세분화, 정보화, 세계화 등에 능동적으로 대처하여 의류학 졸업생들의 경쟁력을 강화시키기 위하여 보다 질적으로 향상된 의류학의 방향을 모색하도록 요구받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1) 의류학의 목표는 무엇이며 현재 강조되고 있는 분야와 교과목 및 취업기회는 어떠한지, 그리고 미래에 의류학이 당면할 수 있는 문제들은 무엇인지, 2) 프로그램이 어떻게 바뀌어졌으며 앞으로 어떠한 방향으로 발전되어 갈 것인가에 대하여 연구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전국 43개 4년제 대학의 의류학 관련 교수 11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법을 사용하였으녀 회수된 58부(53% 회수율)를 SAS로 통계처리하여 Likert's method of summated ratings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의류학의 목표가 가정중심의 복지 향상(M=2.5, SD=1.0)에서 의류학 분야의 전문인을 양성(M=4.8, SD=0.4)하는 것으로 변화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디자인 분야(M=4.8, SD=0.5)와 구성분야 (M+4.5, SD=0.7)가 풍부한 교과목과 함께 강조되고 있으며 디자인 분야의 취업성향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과목이 많이 증설되었으며 (특히 디자인분야) 실험실습시간이 증가되고 인접학문 교과목과 현장실습경험이 증가추세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의류학의 발전을 위해 전문적 이미지 제고와 함께 졸업생의 취업기획의 증가, 의류산업체와의 인턴제도를 통한 산학협동, 그리고 컴퓨터 활용 증대 등이 요구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스마트 의류의 전기적인 심장 활동을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자카드 텍스타일 전극 디자인 (A Design of Jacquard Woven Textile Electrode to Monitor the Electrical Activity of the Heart for Smart Clothing)

  • 송하영;이주현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19-129
    • /
    • 2010
  • 오늘날 인간의 수명이 연장되고, 웰빙과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가됨에 따라서 언제 어디서나 건강을 모니터링 할 수 있는 건강 스마트 의류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다. 이를 위하여 최근에는 생체신호의 모니터링이 가능하도록 디자인된 의류에 통합된 형태의 직물 전극이 개발되고 있다. 혁신적으로 의류 시스템에 통합되어 착용 가능한 니트, 우븐, 자수방식의 텍스타일 전극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개발 제시되고 있으며, 이의 일부는 상용화되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경위사의 일정한 직조제어 자동화 시스템이 가능한 컴퓨터 자카드 직기의 캐드(CAD) 직조디자인 방식을 통하여 생체신호 센싱 기능이 향상된 새로운 텍스타일 전극디자인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기존 생체신호 센싱 전극의 개발 및 연구 동향, 비직물/전극 타입에 대한 단점과 장점에 대한 비교 분석을 이론적으로 살펴보고, 자카드 직조 직물 기반으로 심전도 센싱용 텍스타일 전극을 디자인하여 실험 연구하였다. 자카드 직조 방식의 심전도 센싱용 직물 전극은 전극 인터페이스 디자인 방식, 이중직물형 직조 디자인 방식, 사가공 등의 요인들을 고려하여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최종 자카드 직조 직물 기반의 텍스타일 전극은 스마트 의류에 통합시킨 텍스타일 전극 모듈로서 적용되여 향후 상용화 방안을 모색할 수 있다.

  • PDF

의류 생산설계 업무의 디지털화에 과한 연구 - 여성 자켓 디자인 및 패턴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 - (A study on the digitalization of apparel design process)

  • 송지영;천종숙
    • 한국감성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감성과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58-163
    • /
    • 2001
  • 본 논문의 국내 패션 업체에서 상품기획 과정 중 많은 시간과 노력을 투자해야 했던 디자인 및 패턴 자료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key word를 통해 효율적으로 찾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디지털 여성 자켓 분류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의류업체 종사자 48명과 의류학 전공 대학원생 54명, 패턴 전문가 1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및 인터뷰를 실시하여 디자인 및 패턴의 분류 기준과 의류 생산기획 업무의 디지털화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국내 의류업체에서는 상품기획시 국외패션잡지와 collection지를 가장 많이 활용하고 있었으며, 디자인 및 패턴 DB 프로그램에 대한 효용성 기대와 수용도 기대에는 집단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 자켓 디자인 DB를 위한 구성요소 분류 기준은 7가지고 선정되었고, 이미지 형용사 분류 기준은 6가지로 선정되었다. 또한 자켓 제작을 위한 block pattern 분류 기준은 4가지로 선정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자켓 디자인 선택 프로그램의 모델을 제시한 후 실험 참가자들에게 효용성 및 사용가능성을 다시 검증한 결과, 프로그램 제시 전 조사결과보다 유의하게 긍정적으로 평가되었으며, 데이터베이스 자료 활용시 이미지 형용사를 통한 검색보다는 구성요소를 통한 검색에 더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전자/이미지 태그 기술에 기반한 스키장 응급구조 지원용 인텔리전트 의류의 디자인 모형의 개발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n intelligent Clothing for Ski Patrols on the Basis of Electronics/Image Tagging Technology)

  • 이영진;이주현
    • 감성과학
    • /
    • 제9권2호
    • /
    • pp.151-158
    • /
    • 2006
  • 본 연구는 유비쿼터스 환경에 적합한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한 인텔리전트 의류의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고 이를 실제 작동되는 디자인 및 구현을 목적으로 하였다. 스키장 응급구조 대원용 도우미 기능을 갖춘 인텔리전트 의류인 '패트롤 재킷'의 응용 시나리오를 개발하고, 이에 적합한 디자인을 선정하고 이를 실제로 구동 가능하도록 제작하였다. 이를 위하여, 전자/이미지 태그 기술 중 하나인 칼라 코드를 응용한 애플리케이션을 도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컨셉 디자인과 실물 모델을 개발한 후 평가 및 수정 단계를 거쳐 최종 디자인 모형을 완성하였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거쳐 일상적인 외관의 인텔리전트 의류인 '패트롤 재킷'의 디자인 모형을 개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