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의류판매

검색결과 140건 처리시간 0.031초

미국의류 점포내에서의 고객서비스에 대한 한국소비자들의 지각;판매규정과 고객기대에 따른 고객 만족도 및 의류점포 서비스 인식에 미치는 영향 (Korean Customers' Perceptions of Service in U. S, Apparel Stores : Store Polices and Customer Expectations on Satisfaction and Retail Store Service)

  • 이승희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3권8호
    • /
    • pp.1170-1181
    • /
    • 1999
  • 본 연구의 목적은 미국 의류점포의 판매규정과 고객의 점포에 대한 기대가 판매원과 소매점에 대한 만족과 평가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 것이다 미국에 거주하는 한국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먼저 시각적으로 분위기가 다른 두 점포에 따른 고객의 서비스에 대한 기대를 측정하기 위해 슬라이드를 보여주고 의류업체의 판매규정에 따른 의류에 관련된 문제상황을 설명해주는 시나리오(판매원 노력에 의한 문제 해결 또는 소비자 노력에 의한 문제해결)를 읽게 한 후 설문지를 작성하게 하였다 그 결과 업체의 판매규정이 판매원의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와 평가 의류점포서비스에 대한 만족도와 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소비자가 지각하는 백화점 의류판매원의 평가속성 : 측정도구 개발 및 관련변인 (Consumers'′ Evaluation toward Retail Salespeople Attributes : Scale Development, Validation, and Some Related Variables)

  • 진병호;홍병숙
    • 한국유통학회지:유통연구
    • /
    • 제4권3호
    • /
    • pp.65-86
    • /
    • 2000
  • 관계마케팅 파라다임에서 판매원은 단순히 판매뿐 아니라 고객에게 가치를 창조해 주고 장기적인 관계를 발전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는 판매원에 대한 선행연구에서 다루어지지 않았던 소매상황에서 의류판매원의 평가속성을 파악하고, 이의 측정도구를 우리나라 상황에 맞게 개발하고, 그 속성의 중요도를 파악하는데 있다. 아울러 백화점 의류판매원 속성 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소비자 변인으로 소비자 지식과 제품관여 및 인구통계적 특성의 영향을 살펴보았다. 백화점 의류판매원의 속성차원은 개별면접과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개발되었으며, 이를 백화점 고객을 대상으로 실증 조사하였다. 그 결과 우리나라 백화점 의류판매원의 평가속성은 서비스 마인드, 판매노력, 수수한 인상, 판매유도기술 및 제품지식의 5차원으로 밝혀졌다. 백화점 고객은 의류판매원의 서비스 마인드를 가장 중요시하였으며, 그 다음으로는 판매노력, 제품지식, 수수한 인상, 판매유도기술의 순으로 중요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 지식, 제품관여 및 인구통계적 변인은 소비자의 의류판매원 속성 지각에 부분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에 근거하여 학문적, 경영적인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PDF

의류웹사이트 특성과 충동구매행동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The Role of Website Characteristics on Impulse Buying)

  • 이영주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5권6호
    • /
    • pp.113-122
    • /
    • 2007
  • 본 연구의 목적은 의류판매 온라인 쇼핑몰 상에서의 충동구매행동과 의류판매 사이트의 프로모션, 제품/정책 정보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인터넷 설문지를 통한 데이터 수집을 통해 236부가 본 연구에 사용되었다. 결과 분석 이전에 웹사이트특성을 분류하기 위해 요인분석을 실한 결과 웹사이트 특성이 프로모션과 제품/정책 정보로 구분되었다. 연구결과 충동구매를 한 집단의 의류판매 사이트의 프로모션과 제품/정책 정보에 대한 평가가 그렇지 않은 집단보다 높게 나타났고 충동구매집단의 충동구매성향과 의류판매 사이트의 프로모션, 제품/정책 정보에 대한 평가는 정적인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홈쇼핑 매체별 소비자 인식 비교

  • 천종숙;양유영
    • 한국유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유통학회 1999년도 공동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327-338
    • /
    • 1999
  • 본 연구는 카탈로그와 케이블 TV, 인터넷 홈쇼핑 정보전달 매체별로 의류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 및 기대 수준을 비교 분석하여 홈쇼핑의 정보전달 매체 개발에 기초적인 자료를 구축하기 위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대상자는 20세 이상의 카탈로그 홈쇼핑사 회원 219명, 케이블 TV 홈쇼핑사 회원 213명, 네티즌 972명이었다. 매체별 이용자의 분포는 카탈로그와 케이블 TV 홈쇼핑의 경우 여성과 기혼자가 많았고 직업은 주부와 사무직이 많았다. 반면 인터넷 이용자는 남성과 미혼자가 많았고 직업은 사무직이 많았다. 학력은 세 매체 모두 응답자의 절반 이상이 대졸 이상으로 교육수준이 높았다. 설문조사 결과 의류 홈쇼핑에 대한 매체별 소비자의 인식은 다음과 같았다. 1. 케이블 TV 홈쇼핑 이용자들은 케이블 TV를 통해 판매되는 의류제품이 디자인, 색상이 다양하며, 제품의 소재나 품질, 치수에 대한 정보도 충분하다고 느끼며 의류의 품질 신뢰도와 구매의사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 통신판매를 이용해서 의류를 구매해 본 경험이 있는 집단은 구매를 경험하지 못한 집단보다 구매의사도 높으며 통신판매에 대한 신뢰성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케이블 TV 홈쇼핑을 통해 의류제품을 구매해 본 경험이 있는 집단이 의류제품 정보의 다양성에 대한 만족감과 품질 신뢰성이 가장 높았다. 3. 매체와 성별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케이블 TV를 이용하는 여성은 의류제품의 다양성, 충분한 제품정보, 품질의 신뢰성, 구매의사에 가장 긍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케이블 TV를 이용하는 기혼자와 고소득자가 다른 집단보다 의류제품의 다양성, 제품정보와 품질 신뢰성, 구매의사에서 가장 긍정적인 인식을 가진 집단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케이블 TV 홈쇼핑은 카탈로그와 인터넷에 비해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키는 제품과 소개방식으로 의류를 판매하고 있으며, 특히 의류제품 구매 경험이 있고 고소득층이며 기혼인 여성들을 만족시킬만한 다양한 상품을 구비하고 자세한 제품정보를 제공하며 품질에 대한 신뢰를 심어 주어 긍정적인 구매의사를 갖도록 유도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 PDF

온라인 의류 판매를 위한 디지털 의류의 착장 시뮬레이션 시스템 구현 (An Implementation of The Fitting Simulation System of Digital Garment for Online Retailing)

  • 최란;윤근호;조창석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515-518
    • /
    • 2011
  • 본 연구는 3차원 인체 데이터 위에 가상 의류를 착장시키는 착장 시뮬레이션 시스템의 구현을 소개 한다. 인체 데이터는 3차원 전신 레이저 스캐너로 계측하였으며 가상의류는 의복의 앞뒷면 촬영 영상으로 하였다. 대상 의류는 원피스, 티셔츠, 바지 등과 같은 비교적 복잡하지 않은 구조의 의류이며, 본 논문에서는 상의 및 원피스의 착장 과정과 바지의 착장 그리고 바지위에 상의를 착장하는 중첩 착장의 과정을 보여준다. 가상 착장 결과로 실제 착장과 동일한 결과를 제공하기 때문에 치수가 자신에게 맞는지의 정보와 착장시의 어울림의 정보가 온라인상에서 육안으로 확인되도록 제공되며, 디지털 의류의 준비도 간단하여, 본 논문의 결과로 새로운 형태의 온라인 의류 판매 방식이 제시될 수 있다.

상하의 의류 영상을 이용한 가상 의류 착의 시스템 (A Virtual Fitting System Using The Top and Bottom Image of Garment)

  • 최란;조창석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5권7호
    • /
    • pp.941-950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PC상에서 인체 3차원 데이터에 상하의 의류를 중첩 착의하는 가상 착의 시스템을 소개한다. 이를 위하여, 레이저 스캔 방식으로 얻은 인체 3차원 데이터와 의류 앞뒷면의 모습을 촬영하여 얻은 의류 디지털 데이터를 이용한다. 2차원의 앞뒷면 의류 디지털 데이터에는 의류 소재 내 질점 간의 장력이 반영되었고, 인체 데이터에의 착의 과정에는 마찰력과 중력을 적용해 주었다. 하의 착용 시에는 마찰력과 중력에 추가적으로 혁대 개념을 도입하여 흘러내리는 의류를 고정하였고, 하의를 착의한 인체데이터위에 상의를 착의하는 중첩 착의 방법을 제시하였다. 본 시스템이 지닌 장점은 복잡한 패턴을 이용하여 착의하는 다른 연구와 달리, 의류의 앞뒷면만을 이용하여 착의하면서도 현실감은 뒤지지 않는다는 것에 있다. 현재 의류전자상거래 시 의류의 앞뒷면만을 전시하여 판매하는 방법과 유사한 방식으로 온라인 판매가 이루어지나, 착의 모습을 제공할 수 없는 기존 방식과 달리 3차원의 착의 모습까지 제공하게 되어, 의류 판매의 방식을 바꾸게 할 것으로 기대한다.

중국 패션 유통업체의 시장대응형 프로세스 구축 (A Study on Construction of Quick Response Distribution System for Fashion Products in China)

  • 염인순;이창호;신용산
    • 한국경영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경영과학회/대한산업공학회 2003년도 춘계공동학술대회
    • /
    • pp.351-355
    • /
    • 2003
  • 유행에 민감한 의류업계의 생명은 빠른 대응이다. 특히 중국은 인구가 많고, 국토 면적이 넓어서 동북부와 남부 및 서부지역에서 계절의 변화가 뚜렷한 차이를 보이고 온도 차이가 큼으로 하여 같은 시점에서 서로 다른 계절의 의류가 요구되거나 유행되고 있는 것이 특징이 다. 본 연구에서는 중국의 특성에 맞추어 중국현지의 의류유통회사(약칭 S사)의 생산과 판매중심의 시장대응형 프로세스를 구축하여 상품기획에서부터 상품발주, OEM생산, 입하, 배분, 출하, 판매, 실적집계, 판매평가, 보충출하, 보충생산, 히트상품 및 유사품 재발주 등 일련의 과정을 포함하는 정보망을 구축하여 각 과정에서 발생하는 정보를 실시간으로 집계하고 다각도에서 분석하여 더 빠르고 더 정확한 영업의사결정의 지원을 목적으로 하였다.

  • PDF

의류 구입 만족도 향상을 위한 모델 참여형 모바일 쇼핑 플랫폼 개발 (Mobile Shopping Platform Development based on Model Attracting for Improvement of Clothes Purchase Satisfaction)

  • 박성진;김시형;김성수;김남규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8년도 제58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6권2호
    • /
    • pp.403-404
    • /
    • 2018
  • 최근 모바일 환경의 발달은 손안의 쇼핑을 완벽히 구현하고 있다. 특히, SNS 및 패션커머스의 발전으로 소비자는 자신이 원하는 의류를 간편하게 구매할 수 있다. 하지만, 모델 착용샷, 설명, 사진 및 댓글 등을 통해 판단하고 구입하기 때문에, 의류 특성상 직접 입어보고 판단해야 하는 실 소비자는 만족도가 떨어지고 판매자 입장에서는 반품이 증가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소비자의 만족도를 최대한 높일 수 있는 2가지 요소를 감안한 모바일 쇼핑몰을 소개하고자 한다. 첫째, 소비자 체형과 유사한 모델 착용샷을 제공함으로써 구매 당시 소비자의 구매 만족도를 높인다. 둘째, 의류를 구매한 소비자가 자신이 착용한 사진을 쇼핑몰에 올림으로써 모델로써 활동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커머스 SNS가 구축되도록 유도한다. 이를 위해 착용샷을 올리는 회원들을 위한 수수료 구조를 효율화하고 판매사, 소비자, 모델들이 활동하는 플랫폼을 구성한다.

  • PDF

상품 도난 방지 시스템용 자기 센서

  • 송용설
    • 한국자기학회지
    • /
    • 제7권5호
    • /
    • pp.280-283
    • /
    • 1997
  • 흔히 EAS SYSTEM으로 불리는 Electronic Article Surveilance System(전자 상품 가시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상품 도난 방지 시스템' 이라고 한다. 상품 도난 방지 시스템을 설치하는 목적은 편의점, 슈퍼마켓, 의류점, 서점, 오디오/비디오 테이프 판매점 및 대여점, 스포츠용품점, 하이마트, 도서관 등의 일정한 보호구역으로부터 의류, 서적, 오디오/비디오 테이프, CD등의 상품을 도난으로부터 방지하는 것이다. 상품 도난방지 시스템은 판매되는 상품 표면에 특정 주파수의 전파에 반응하도록 설계된 라벨이나 태그(Tag)를 부착하고, 입구에 특정 주파수의 전파를 방사하는 안테나(Frame)를 설치하여 라벨이나 태그가 계산대에서 제거되거나 센서 기능이 소멸되지 않은 채 유출될 때, 상품을 검출하여 경보를 발생시켜 상품의 도난을 방지한다.

  • PDF

기상정보를 활용한 의류제품 판매예측 시스템 연구: S/S 시즌 제품을 중심으로 (A Study on Clothes Sales Forecast System using Weather Information: Focused on S/S Clothes)

  • 오재호;오희선;최경민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89-295
    • /
    • 2017
  • This study aims to develop clothing sales forecast system using weather information. As the annual temperature variation affects changes in daily sales of seasonal clothes, sales period can be predicted growth, peak and decline period by changes of temperature. From this perspective, we analyzed the correlation between temperature and sales. Moving average method was applied in order to indicate long-term trend of temperature and sales changes. 7-day moving average temperature at the start/end points of the growth, peak, and decline period of S/S clothing sales was calculated as a reference temperature for sales forecast. According to the 2013 data analysis results, when 7-day moving average temperature value becomes $4^{\circ}C$ or higher, the growth period of S/S clothing sales starts. The peak period of S/S clothing sales starts at $17^{\circ}C$, up to the highest temperature. When temperature drops below $21^{\circ}C$ after the peak temperature, the decline period of S/S clothing sales is over. The reference temperature was applied to 2014 temperature data to forecast sales period. Through comparing the forecasted sales periods with the actual sales data, validity of the sales forecast system has been verified. Finally this study proposes 'clothing sales forecast system using weather information' as the method of clothing sales foreca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