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의류시장

검색결과 236건 처리시간 0.023초

의류업체의 시장지향성, 판매원의 직무능력이 판매원 만족에 미치는 영향

  • 김혜정;최선형
    • 한국복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복식학회 2001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48-48
    • /
    • 2001
  • 고객의 가치를 창조해나가기 위해 고객을 중시하 는 시장지향적인 기업문화가 확산되며, 이와 함께 판 매현장 최일선에서 고객을 직접 응대하며 기업의 시 장지향성을 실현하고 고객을 관리하는 패션판매원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시장지향 적인 기업문화와 판매원의 중요성이 높아짐에 따라 본 연구는 의류업체의 시장 지향성의 유형을 밝히고, 이러한 시장지향적 노력이 판매원의 능력과 함께 의류업체의 판매원의 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들의 규명을 통해 궁극적으 로 기업의 성과에 기여하는 판매원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시장지향성의 유형과 판매원의 능력 유형을 밝혀 의류업체의 시장지향적 기업문화 실현에 기여 하고자 하였다. 설문지를 이용한 실증적인 조사연구방법이 사용 되었고, 연구대상은 서울과 분당에 위치한 L백화점의 여성복 의류매장에 근무하고 있는 삽마스터 600 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선행연구를 근거로 하고 의류 업체에 맞게 수정 보완한 질문지를 사용하여, 최종 분석된 설문지는 547부이다. 자료분석은 SPSS pc + 8.0올 이용하여 빈도분석, 백분율, 요인분석, 중다회 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수거된 질문지를 통계처리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의류업체의 시장지향성을 요인분석한 결과 '시장정보의 획득'시장정보의 확산', '시장정보에 대 한 반응'의 세 요인으로 나눌 수 있었다. 시장정보를 획득하는 활동에는 매장의 소비자조사. POS시스템 의 활용. 삽마스터 회의에의 관심, 경쟁 브랜드 조사 그리고 판매사원을 통한 고객의 반응 조사 등의 내 용이 포함된다. 시장정보를 확산시키고자하는 활동 에는 매장에서 본사로 상황을 보고하고, 고껴의 시정 요구를 해결하고자 하는 노력. 판매원이 제시하는 소 비자동향의 반영, 그리고 삽마스터 회의 등씩 내용이 포함되며, 시장정보에 대한 반응은 풍부한 물량공급 과 히트상품의 지속적인 공급을 활동 내용으로 한다' 둘째, 의류업체의 시장지향성은 판매원의 만족도 에 정적인 영향을 나타냈다. 이는 의류업체가 시장정 보 수집에 적극적이고, 매장과 긴밀한 정보교류를 하 며, 수집된 정보를 적극 활용하여 상품개발이나 공급 등의 노력을 보일 때 판매원이 회사에 대해 강한 신 뢰감을 느껴 만족감을 느끼게 되고 이것이 바로 성 과로 이어질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판매원의 회사전략 인지능력, 의류제조과정 인지능력. 고객서버스 능력, 자율적인 목표설정 능력. 고정고객관리능력이 클수록 직무자체와 인간관계에 대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나 판매원의 직무한력은 판 매원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는 의류업체에서 능력 있는 판매원을 육성하거나 영 입하는데 힘써야 함을 시사하는 결과이다.

  • PDF

자기이미지와 의복태도에 따른 의류제품평가 (Clothing Products Evaluation according to Self-Image and Clothing Attitudes)

  • Lee, Sun-Jae;Kim, Eun-Sook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7권12호
    • /
    • pp.1424-1433
    • /
    • 2003
  • 본 연구는 소비자의 의류제품평가에 있어 개인적ㆍ심리적 요인인 자기이미지 및 의복태도의 관련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소비자의 의류제품평가는 다차원적인 구조를 가지며, 외관적, 성능적, 외재적, 표현적 요소로 세분화되어 사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소비자의 자기이미지와 의복태도에 따라 의류제품 평가기준과 의복선호스타일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남으로써 이들이 소비자의 의류제품 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소비자의 자기이미지 및 의복태도는 감성이나 이미지와 같은 요소들의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는 최근의 의류시장의 경향에 부합하여 시장세분화의 효과적인 변수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함께 자기이미지 및 의복태도를 통해 세분화된 표적시장 소비자들이 보다 중요시하는 의류제품평가의 차원들을 파악하고 이를 강화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마케팅 전략을 수립할 수 있을 것이다.

국내 여성복업체의 입체재단 도입현황 분석 - 미시존 기성복 브랜드 중심으로 -

  • 채수경;천종숙
    • 복식문화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복식문화학회 2003년도 정기총회 및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42-44
    • /
    • 2003
  • '95년 하반기부터 시작된 경제위기를 맞이하면서 의류시장의 외형적 규모와 소비자들의 소비심리가 크게 위축되자, 국내 미시존 여성복 브랜드에서는 단품의 강화와 트랜드를 반영한 캐릭터성 보완의 두 가지 측면으로 시장구도를 형성하며 의류시장의 위기를 모면하려 노력한다. 그러나 IMF 이후, 베이직 상품의 판매비중이 늘어나게 되자 정장에 트랜드를 반영하기보다는 단품에 트랜드를 반영하려는 현상이 나타나게 되고, 대다수의 브랜드들이 기획비중을 줄이고 보완반응의 비중을 늘리면서 인기 브랜드의 인기 아이템에 대한 디자인 카피가 늘어나게 되면서, 브랜드의 차별화가 없어지는 공동화 현상이 심각하게 대두되게 되었다. (중략)

  • PDF

소비자 라이프 스타일에 따른 스마트 의류의 수요 경향 -패션 라이프 스타일과 디지털 라이프 스타일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ustomer perception and acceptance of Smart Clothiong based on the customer's Lifestyle)

  • 조하경;이주현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9년도 학술대회
    • /
    • pp.1114-1121
    • /
    • 2009
  • 1990 년대 후반 이후 스마트 의류 연구는 기능성 및 인간 친화적인 측면으로의 접근 필요성이 증가됨에 따라 기능 및 사용자 중심의 연구로 진행되어 오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 스마트 의류의 발달은 사용자 애플리케이션을 중심으로 세분화되어 개발되고 있다다변하는 의류 시장에서 스마트 의류 상품기획은 기존의 의류 상품기획과 같이 소비자 트렌드 중심의 경향과 함께 소비자의 특성을 파악하는 연구의 필요성이 대두되어 그 중요성은 날로 부상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스마트 의류의 연구는 기능성, 사용성 기반의 연구자 중심의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어, 소비자 중심, 마켓 중심의 연구가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 의류 기획에 있어 가장 밀접한 관련이 예상되는 의복 및 의복행동 라이프 스타일과 디지털 라이프 스타일을 중심으로 라이프 스타일의 유형을 분석하고, 라이프 스타일에 따른 스마트 의류 수용도와 인지도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추후 스마트 의류의 수요가 가장 높을 것으로 예상되는 20 대, 30 대를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며, 라이프 스타일에 따른 스마트 의류의 수용도와 인지 여부 및 스마트 의류의 선호도를 조사하여 그 결과를 제시하였다.그 결과 소비자 라이프스타일은 유행추구형, 감각적 정보추구형, 실용적 기능추구형의 세 유형으로 도출되었으며, 유행추구형 집단이 스마트 의류에 대한 인지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유행추구형은 엔터테인먼트 의류군을 선호하였으며, 스마트 의류 속성 중 외관을 다른 집단에 비해 중시하는 경향을 보였다. 감각적 정보추구형은 감성교감의류 및 생체 신호 측정의류의 선호도 및 필요성을 높게 인지하고 있었으며, 실용적 기능 추구형은 생체 신호 측정의류 및 환경과의 상호작용 하는 의류에 대해 선호하는 경향을 나타내며, 스마트 의류의 필요성을 다른 집단에 비해 높게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스마트 의류의 인식 및 선호도 등 상품화에 실질적인 평가 자료를 제시함으로써, 추후 스마트 의류의 상용화에 있어 시장 가능성 및 상품화를 위한 스마트 의류 기획 방향을 제시한 것에 의의가 있다.

  • PDF

한국과 세계 다른 지역의 섬유소비에 관한 연구 (Fiber consumption in Korea and other regions of the world)

  • 유혜경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307-314
    • /
    • 1993
  • 섬유소비는 인구증가 및 경제발전 정도와 밀접한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여러 산업과도 연관되어 있다. 천연섬유와 인조섬유와의 시장 점유 경쟁은 인조섬유가 처음 일반에게 소개된 20세기 초부터 시작되었고, 그후 인조섬유의 품질향상과 신섬유의 개발로 더욱 가열되었다. 섬유의 시장점유율은 가격, 품질 등 여러 요인으로부터 영향을 받으며, 지역적 특성에 따라서도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에서의 주요 섬유의 시장점유율을 분석하고, 또한 이를 다른 지역과 비교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하였다. 시장점유율은 한국과 미국, 기타 선진국, 개발도상국에서의 면, 양모, 재생 cellulose 섬유, 합성 섬유의 1979년부터 1986년까지의 연간 내수용 소비량을 기초로 하여 산출되었다. Minimum Absolute Deviations method를 사용하여 Markov process에 의거한 이전확률(transition probability)을 구하였다. 한국의 섬유시장은 주요섬유의 시장점유율의 크기와 변화 그리고 이전화률면에서 미국의 섬유시장과 유사하였으며, 개발도상국과는 차이를 보였다. 또한, 같은 선진경제임에도 불구하고 미국의 섬유시장은 기타 선진국과는 차이점을 보임으로써 지역에 따른 섬유 선호성과 다른 요인들이 섬유 소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시사하였다.

  • PDF

동대문드림과 한국형 패션쇼핑몰의 개발제안

  • 김성수
    • 한국유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유통학회 1999년도 공동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179-214
    • /
    • 1999
  • 현대화된 새로운 개념의 패션쇼핑몰(Fashion Shopping Mall)이 동대문 시장을 중심으로 속속 개발되면서 국내 유통시장의 큰 변화와 함께 동대문 드림의 신화를 탄생시켰다. 특히 '98. 8. 밀리오레와 '99. 2. 두산타워의 등장은 도,소매가 혼재된 젊음의 패션특구로 신세대의 폭발적인 인기에 힘입어 기존 백화점과 의류 군집상가 등을 위협하는 존재가 되고 있다. 동대문의 재래의류시장 재개발(redevelopment) 붐은 동대문 상권을 도매기능은 동부의 디자이너 클럽, 팀 204 등이 주도하고 있으며, 소비자에게 널리 알려진 서부의 소매상권은 밀리오레, 두산타워, 프레야타운이 함께 트리오 시대를 열어가고 있다. (중략)

  • PDF

동대문(東大門) 의류시장(衣類市場)의 설립년도(設立年度)와 판매방식(販賣方式)의 차이(差異)에 따른 전자상거래(電子商去來) 현황(現況) (The Present State of E-Business according to the Establishment Year and the Sales Approach of Dongdaemun Clothing Market)

  • 박혜령;박미령
    • 패션비즈니스
    • /
    • 제6권5호
    • /
    • pp.125-135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esent state of e-business according to the establishment year and the sales approach of Dongdaemun clothing market and to present problems according to e-business activation of it and its developmental direction.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selected out of Dongdaemun clothing markets being considered as more fashion-oriented markets and were divided into two categories both according to the establishment year and according to the sales approach. As a result, Dongdaemun clothing markets are mainly divided into traditional wholesale market, eastern wholesale & retail market, and western retail market and having dealings with each other according to the market's characteristics. The utility percentage of on-line e-business according to the establishment year and the sales approach showed that traditional wholesale market was 42%, eastern wholesale & retail market 0.75%, and western retail market 11%. This result indicated that the utility percentage of traditional wholesale market showed much higher than eastern wholesale & retail market and western retail market. This would be because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clothing market delayed the utility of e-business. For the problems on the utility of on-line e-business through counselling, traditional wholesale market showed much higher than wholesale & retail market and retail market because it had little problems on design imitation in retail market due to export by order and mass production. The problems of low utility of on-line e-business in Dongdaemun clothing market would result from well-timed on-line update according to rapid goods cycle, constant satisfaction for additional order, standardization of size and quality, and inexpensive internet purchase despite of express expense.

방염가공된 의류에 대한 소비자들의 의식도와 기호도에 관하여 (Consumer Awareness of and Preference for Flame Retardant Apparel)

  • ;김용숙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25-32
    • /
    • 1982
  • 본 연구의 목적은 1. 방염 가공된 의류에 대한 소비자들의 인식도를 측정하고 2. 방염 관계 법규를 확대하여 12세 이상의 어린이나 기타 연령층에서도 방염 가공된 의류를 원하는지를 알아보고 3. 인산염계 방염 가공제 사용 금지 조치가 방염 가공 의류에 대한 소비자들의 기호도에 영향을 미쳤는지 알아보기로 하였다. Alabama, Tuscaloosa 시에 있는 국민학교와 유아원에 다니는 어린이의 학부모 230명에게 1979년 9월 26일 질문지를 배부하여 그 후 3일부터 10일까지 질문지를 회수여하 83장의 유효한 자료를 얻었다. 83명의 학부모를 Group 1: 유아원에 다니는 어린이의 부모 45명 Group 2: 국민학교에 다니는 어린이의 부모 38명으로 나누고, 두 Group의 각 목적에 대한 유의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Cattell,s Profile Analysis를 하였다. 목적 1과 2에 대하여서는 Group 간의 유의도가 발견되지 않았으며 목적3에 대하여서는 Group 간의 유의도가 발견되었다. 목적 3의 각 항목에 대하여 t-tests를 행하였다. 결과에 의하면 응답자들은 1. 방염 가공된 잠옷이 시장에서 널리 팔리고 있음은 알고 있으나 방염가공에 관련된 관계법규에 대하여 완전히 이해하지 못하고 있었으며 2. 방염 가공에 관련된 법규를 확대하여 어린이나 노인층의 의복이 방염 가공되기를 원하고 있으며, 3. 시장에서 방염 가공된 의류와 방염 가공되지 않은 의류가 함께 진열되어서 선택할 수 있는 계기를 원하고 있으며, 4. 유아의 부모들이 국민학생의 부모보다 방염 가공의 해독성에 대한 정확한 지식을 갖고 있었다. 그러나 이들 모두가 인산염계 방염 가공제의 독성에 대한 정확한 지식은 없었다.

  • PDF

디지털 의류 기술 개발 동향 (Trend in Digital Clothing Technology)

  • 김지은;정현태;조일연
    • 전자통신동향분석
    • /
    • 제24권5호
    • /
    • pp.20-29
    • /
    • 2009
  • 디지털 의류는 디지털 기술이 의류에 자연스럽게 융합되면서 옷을 입은 사람뿐만 아니라 외부의 디지털 기기와도 자유로운 소통이 가능한 의류이다. 1990년 후반부터 유럽과 미국에서는 섬유기술에 IT 기술을 융합하는 연구가 계속되고 있으며, 직물부품 및 직물회로를 구현하여 의류에 적용한 바 있다. 초기 디지털 의류는 군복과 같은 특수용도로 개발되었으나 요즘에는 MP3 플레이어 내장 의류, 색깔이 변하는 의류, 헬스케어 의류 등 일상생활용도의 의류가 개발되는 추세이다. 디지털 의류는 신소재 산업, 센서 산업 등 기술 집약 산업의 활성화는 물론, 기존 전통 산업에 IT 기술을 접목함으로써 섬유, 패션, 의류산업의 확장과 활성화에 큰 역할을 할 것으로 전망된다. 앞으로 우리나라가 디지털 의류 시장을 선도하기 위해서는 섬유 IT 및 의류 IT융합 핵심기술의 확보가 시급하다. 본 고에서는 섬유 IT 융합분야의 이해를 높이고자 디지털 의류 기술 개발의 동향을 살펴보고 향후 기술발전 방향을 전망해 보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