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의류브랜드

검색결과 449건 처리시간 0.028초

딥러닝을 통한 하이엔드 패션 브랜드 감성 학습 (Deep Learning for Classification of High-End Fashion Brand Sensibility)

  • 장세윤;김하연;이유리;설진석;김성재;이상구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165-181
    • /
    • 2022
  • The fashion industry is creating innovative business models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To efficiently utilize artificial intelligence (AI), fashion data must be classified. Until now, such data have been classified focusing only on the objective properties of fashion products. Their subjective attributes, such as fashion brand sensibilities, are holistic and heuristic intuitions created by a combination of design elements. This study aims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collaborative filtering in the fashion industry by extracting fashion brand sensibility using computer vision technology. The image data set of fashion brand sensibility consists of high-end fashion brand photos that share sensibilities and communicate well in fashion. About 26,000 fashion photos of 11 high-end fashion brand sensibility labels have been collected from the 16FW to 21SS runway and 50 years of US Vogue magazines beginning from 1971. We use EfficientNet-B1 to establish the main architecture and fine-tune the network with ImageNet-ILSVRC. After training fashion brand sensibilities through deep learning, the proposed model achieved an F-1 score of 74% on accuracy tests. Furthermore, as a result of comparing AI machine and human experts, the proposed model is expected to be expanded to mass fashion brands.

패션 브랜드 메타버스 플래그십 스토어 사례연구 -제페토(ZEPETO) 내 패션 브랜드를 중심으로- (Case Study on Fashion Brand Flagship Store in Metaverse -Focusing on Fashion Brand in ZEPETO-)

  • 김우빈;허희진;추호정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545-563
    • /
    • 2022
  • Metaverse is a digitally generated world beyond the physical realm; many fashion brands are launching virtual stores in Metaverse. This study explores the cases of flagship stores of fashion brands in Metaverse to understand the peculiarity of Metaverse retailing. This study selected four flagship stores of fashion brands launched on ZEPETO, the largest Metaverse platform in Korea. The characteristics of Metaverse retailing used for case analysis were store (store credibility, servicescape, ease of use), product (content, demos, incentives), social factor (store personnel, store customers), and entertainment (events, games, free gifts). The results illustrate that a transaction system linked to reality could not be established due to technical limitations; it was difficult to obtain specific product information, such as the color, size, and fabric. However, all four fashion brands overwhelmed the traditional retail channels in terms of providing various spatial experiences by operating their virtual stores in global cities related to the heritage and identity of each brand. Furthermore, fashion brands can convey a sense of deviation and fantasy to consumers by delivering unique entertainment activities in Metaverse that they cannot easily provide in real life.

성격특질, 브랜드 트라이벌리즘, 브랜드 몰입의 관계: 브랜드 신뢰성과 지각된 전환비용의 매개효과 (The Relationship among Personality Traits, Brand Tribalism, and Brand Commitment: Mediating Effects of Brand Trust and Perceived Switching Cost)

  • 최건;양병화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6호
    • /
    • pp.153-161
    • /
    • 2020
  • 본 연구는 소비자의 성격특질과 브랜드 트라이벌리즘의 기본적 관계를 탐색하고, 브랜드 트라이벌리즘과 브랜드 몰입의 관계에 작용하는 브랜드 신뢰성과 지각된 전환비용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젊은 소비자가 선호하는 중저가 의류 브랜드를 대상으로 대학생 표본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총 394명의 데이터(여자 213명, 남자 181명)를 타당한 자료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소비자의 성격특질 가운데 외향성, 성실성, 정서안정성은 브랜드 트라이벌리즘의 형성과 유의미하게 관련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브랜드 트라이벌리즘은 브랜드 몰입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었고, 브랜드 신뢰와 전환비용도 브랜드 몰입에 직접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브랜드 신뢰성은 브랜드 트라이벌리즘과 브랜드 몰입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지각된 전환비용은 유의미한 매개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브랜드 트라이브의 강한 정서적 유대감이 전환장벽과 비용을 높여 브랜드 이탈을 막고 브랜드 관계에 대한 몰입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패션 전문가의 성공적인 중국 진출에 관한 연구 -중국 대련의 의류제조업체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ffective Way of Supplying of Highly Educated Fashion Specialists -Focusing on the Korean Apparel Manufacturers in Dalian, China-)

  • 배수정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9권12호
    • /
    • pp.1562-1570
    • /
    • 2005
  • 본 연구는 한국에서 의류 및 패션관련 학과를 졸업한 전문인력들이 앞으로 거대시장으로 성장할 중국 패션시장에 취업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을 모색한·것이다. 연구의 방법은 한국의 많은 의류제조업체가 진출해 있는 중국 대련시의 7개 의류제조업체 대표자의 직접 면접방식을 사용하였으며, 면접의 기간은 2005년 2월 25일부터 3월 15일까지, 7월 28일부터 31일까지 2회에 걸쳐서 였다. 면접의 결과는 대련시의 상당수 의류제조업체들이 전문인력공급에 직면해 있었고$(100\%)$, 특히 비숙련직 노동자보다는 숙련직 및 중간관리자의 인력공급문제가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들은 앞으로 단순 제조방식에서 탈피하여 부가가치가 높은 분야로 진출-의류브랜드를 설립 혹은 기획 및 유통의 확장하려는 경 향을 보이고 있었다. $(85.7\%)$. 이와 같은 결과는 한국섬유산업연합회 및 KOTRA등에서 발표한 결과와 유사하여 한국의류제조업체의 $60\%$이상이 중국에 진출해 있는 현실에서 시급히 해결해야 할 문제라고 보여진다. 따라서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여 다음과 같은 제안을 하고자 한다. 첫째는 중국어와 중국경제, 문화에 관한 전반적인 지식습득이 가능한 교과목을 설강하여 문화적인 차이를 인지케 한다. 둘째, 중국으로의 현장실습 및 견학, 인턴쉽 프로그램을 강화한다(면접을 실시 한 많은 회사들이 협조에 동의함). 셋째, 많은 의류제조업체들이 의류브랜드 런칭 및 기획, 유통분야를 강화하고자 하는 계획을 갖고 있으므로 브랜드 런칭에 관한 교육을 심화하석 변화하는 중국패션시장에 적응케 한다. 이러한 연구는 앞으로 한국의 패션전문인력이 진출할 수 있는 거대한 중국취업시장 진입을 위 한 토대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캐주얼 의류 브랜드에서 브랜드와 광고 모델의 개성요인과 개성 일치성이 브랜드 자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The Effect of Personality Factors of Brand and Advertising Model and Personality Congruence on Brand Equity in Casual Apparel Brands)

  • 전형진;신상무
    • 패션비즈니스
    • /
    • 제15권4호
    • /
    • pp.16-27
    • /
    • 2011
  • Consumers fill up not only their needs but also their own identity through apparel product and company. From this point of view, Brand personality is essential to convey customer's personality through advertizing influencing on buying behavior. This study investigates how personality factors of brand and advertising model and personality congruence influenced upon brand equity in casual apparel brands. The research methodology was questionnaire distributed to individuals who used to buy casual apparel brand. A total of 58 returned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by internal validity, factor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ith SPSS 12.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n casual apparel brands, personality factors of brand and advertising model influence on personality congruence. Personality congruence influences on brand recognition and brand loyalty among brand equity.

한국의 병행수입에 따른 정책의 유효성 평가: 럭셔리 의류브랜드 (Evaluation on Effectiveness of the Parallel Importation Policy in Korea: Luxury Apparel Brands)

  • Kwon, Soongi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5권9호
    • /
    • pp.1583-1592
    • /
    • 2001
  • 연구의 목적은 병행수입제도의 정책운용적인 관점에서 고가품 수입의 큰 비중을 차지 하고있는 럭셔리의류 브랜드를 중심으로 병행수입제도 도입 이후 현 시점에서 공정경쟁의 관점에서 병행수입의 문제점 추출과 대안을 도출함으로써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은 문헌조사와 in-depth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제도적 측면에서는 병행수입제도 도입 당시 병행수입과 직접 관련된 지적재산법과 독점규제법 사이에는 전용사용권자의 보호와 규제라는 입법적 목적이 서로 다른 이유로 병행수입 도입 여부에 대한 논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상표권 침해 기준의 모호, 세관절차에 있어서의 문제점 등이 추출되었다. 럭셔리의류 산업적 측면에서 병행수입제도는 수입물품의 가격인하를 선도하여 소비자 이익 증진에 기 여 하는 반면에 명품의 유통경로가 다양해짐에 따라 위조상품의 처벌실적 이 증가하고, 이월상품과overrun된 제품의 저가수입 등의 문제점이 야기되고 있다. 이에 대한 정책적 해결방안으로는 공정거래법의 개정을 통한 병행수입 허용기준의 보완, 지적재산권법 에 병행수입허용 규정 명시 , 소비자 관점에서의 병행수입 제품에 대한 정확한 정보의 전달 등의 내용 보완이 이루어져 야 한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정책당국에게 경쟁조건의 Global Standard라는 견지에서 제도적 운용의 개선이 시급히 이루어져야 하는 논거와 토대를 제공하였다. 또한 전용사용권자와 병행수입업체에는 정보의 비대칭성에 의존한 판매전략을 지양하고 소비자 보호와 적 정 한 상표권 보호의 합리적 조화가 궁극적으로 생존의 핵심전략임을 인식시켜 줄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 주었다.가치관은 이들의 의복관심과 의복착용 그리고 구매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포제로 평가되었다. 모든 남자포제가 전통적, 순수한 이미지의 포제로, 철릭을 제외한 모든 포제가 단순한 이미지로 나타나 조선시대 남자 포제가 공통적으로 가지는 이미지는 단순하고 순수한 이미지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3. 남자 포제의 시기별 복식이미지에서는 조선전기(철릭, 답호, 직령)의 포제는 관할성 요인이 높은 의례적인, 관할한, 특이한 이미지로 평가되었고 조선중기(도포, 창의)의 포제는 품위있는, 절제된, 풍성한 이미지로 평가되었으며, 조선후기(주의)의 포제는 활동적인, 단순한, 직선적인 이미지로 나타났다. 따라서 시대별 남자 포제의 이미지는 시대적 여건과 상황에 따라 변화되어 왔으며, 시대에 따라 추구하는 이미지가 달랐다는 것을 알 수 있이러한 논란의 해결방안으로 관세법 고시에 의한 우회적 도입을 결정한 정부의 방침에 대해 제도적 측면에서의 문제점으로 저작권 침해 기준의 결여다.lavonoid 함량의 판단지표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 PDF

광고유형, 브랜드 전형성, 인지욕구가 광고태도에 미치는 영향 - 아웃도어 의류 브랜드를 중심으로 - (The Effect of Advertisement Type, Brand Typicality and Need for Cognition on Attitude toward Advertisement Intention - Focused on Outdoor Apparel Brands -)

  • 정미연;황선진
    • 복식
    • /
    • 제66권8호
    • /
    • pp.1-13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comparative advertisement brand typicality and need for recognition in outdoor apparel market. This study was created with a mixed factorial design of 2 (Advertisement types: Comparative advertisement vs. General advertisement) X 2(Brand Typicality: High Brand vs. Low Brand) X 2 (Need for Cognition: High vs. Low).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shown that comparative advertisement had a greater positive influence on attitudes toward advertising intentions in comparison to general advertisements. Second, while comparative advertisement was more effective than general advertisement for outdoor apparel brands with low typicality. Third, consumers with higher need for cognition showed a preferred attitude toward advertising intention when met with comparative advertising in contrast to general advertisement. Fourth, when consumers with higher needs for cognition were exposed to advertisement for brands of lower typicality, there was higher positive influence on the attitudes toward advertisement intention with comparative advertisement in comparison to general advertisement. This means the comparative advertisement may be effective for the new garment brand or the garment brands having low typicality to secure the cognition quickly from the consumers having high need for cognition.

준거집단이 청소년의 패션브랜드 동조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Reference Group on the Adolescents' Behavior of Fashion Brand Conformity)

  • 전대근;이은영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0권9_10호
    • /
    • pp.1434-1444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reference group on the adolescents' behavior of fashion brand conformity. As for the method of the research, questionnaires were given to 672 students of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differences between disposition of general conformity and behavior of fashion brand conformity were found to be meaningful in the dimensions of reference groups and their influences. Second, the classification between stage of brand consideration and stage of brand choice was found to be significant in the two-stage model of brand choice. Finally, the subjective individualism and the behavior of brand conformity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and the mass media stars & the identificational influence were the most powerful factors to explain the behavior of fashion brand conformity for the adolescents.

뷰티브랜드 확장상황에서 희석효과 -전형성에 기초한 브랜드 확장 시 모브랜드의 지식이 전이 되었는가?- (The Effect of Dilution on Beauty Brand Extension Situation -Was Parent Brand's Knowledge Transferred to Brand Extension by Typicality?-)

  • 최정선;전중옥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63-76
    • /
    • 2011
  • The potential for brand dilution occurs when new brands merge with an identical image of a parent brand. Despite the significant attention regarding the effects of dilution on brand extension, there is limited research on brand dilution in the beauty industry.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 of the typicality of extensional type on brand attitude or purchase intention for potential dilution toward beauty brand extension. In addition, we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knowledge transfer when customers evaluate the typicality of the extensional type for potential dilution toward beauty brand extensions. For the experiment, 4 description type factorial designs were performed. A total of 219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who had experience of visiting a beauty sal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are significant independent and interaction effects between the typicality and extensional type that reveals differential influences on the attitude or purchase intentions toward extended beauty brands. Second, the knowledge of the parent brand is transferred to extended brands. Third, there is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f knowledge transfer, as customers evaluate the typicality of the extensional type for the potential dilution toward beauty brand extension. This study provides some theoretical and practical perspectives with some limit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