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의료 빅데이터

Search Result 213, Processing Time 0.084 seconds

Design of the Medical Bigdata Processing and Management System (의료 빅데이터 처리 및 관리 시스템 설계)

  • Lee, Seung-Jin;Shin, Young-Rok;Park, Jun-Young;Huh, Eui-Nam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3.05a
    • /
    • pp.431-434
    • /
    • 2013
  • 최근에는 네트워크가 진화하고 데이터 처리기술이 발달하여 디지털 데이터가 활성화되면서, 기존 데이터 처리 방식으로 감당하기 힘든 규모의 데이터인 빅데이터가 매일 생산되고 있다. 이러한 대규모 데이터는 분석 및 관리를 하는데 어렵고 시간이 많이 걸리지만, 분석을 함으로써 새롭고 유용한 많은 정보를 얻을 수가 있다. 이처럼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얻어지는 정보가 기존 분석 방식에서 얻어지는 정보와 다른 새로운 정보이기에 많은 산업분야에서 빅데이터 처리에 대한 관심이 많아지고 있다. 이러한 흐름에 따라, 의료분야에서도 빅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처리 및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 구축을 시도하고 있다. 즉, 기존에 정형화 되어 있는 의료 데이터를 분석하여 얻는 정보에 비정형화 되어있는 의료 데이터를 추가하여 새로운 정보를 도출하려 시도하고 있다. 하지만, 여러 병원에서 서로 호환이 가능한 의료 빅데이터 처리 및 관리 시스템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명확한 의료 빅데이터 처리 및 관리에 대한 요구사항과 기능정의가 필요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의료 빅데이터 처리 및 관리를 위한 요구사항과 기능정의를 하고 의료 빅데이터 처리 및 관리 시스템 구조를 구축하고자한다.

The Necessity and Case Analysis of Bigdata Quality Control in Medical Institution (의료기관 빅데이터 품질관리의 필요성과 사례 분석)

  • Choi, Hye Rin;Lee, Seung Won;Kim, YoungAh;Lee, Jong Ho;Koh, Hong;Kim, Hyeon Chang
    • The Journal of Bigdata
    • /
    • v.2 no.2
    • /
    • pp.67-74
    • /
    • 2017
  • The use of Bigdata plays an important role in all areas of society. Especially in the health care field, the role of Bigdata is very considerable because it deals with people's life and health. However, the interest and awareness of quality control of medical data is markedly low. Because the low-quality medical Bigdata leads to national loss and public health impairment, quality control of medical Bigdata is needed.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resent the direction of medical Bigdata quality management by examining literature and cases of domestic and foreign medical Bigdata quality management practices. In addition, as a case of medical Bigdata quality control in the Y medical institution in Korea, activities of a Bigdata quality management TFT and results of a survey conducted for major data users in the hospital were presented.

  • PDF

Big Data Education Contents for Healthcare Officials (보건의료담당 공무원을 위한 빅데이터 교육콘텐츠)

  • Kim, Yang-Woo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0 no.5
    • /
    • pp.236-242
    • /
    • 2020
  • Big data technology has been rising as a leading technology in the healthcare paradigm. As a world-class big data nation including National Health Insurance data, Korea has been focused on health policies and sustainability through database forecasting and policy establishment. So the need for education of big data by public officials in healthcare sector is increasing. However, there has not yet been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NCS) or education modules, in this study, healthcare big data education module and content have been developed for the public servants with confidence.

Design of Personal Health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Based on Bigdata (빅데이터 기반의 개인 의료정보 관리 시스템 설계)

  • Yun, Sung-Yeol;Park, Seok-Che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2.04a
    • /
    • pp.983-985
    • /
    • 2012
  • 빅데이터의 다양한 활용 부문 중 의료정보 관리의 경우 향후 개인 건강관리의 중요한 정보로 사용될 수 있다. 이를 구체화 시키고 실생활에 적용시키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빅데이터 기반의 개인 의료정보 관리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이를 위하여 관련연구로 빅데이터와 PHR에 대해 분석하고, 빅데이터 기반의 개인 의료정보 관리 시스템을 설계하며, 외부와 의료정보 관리 시스템간의 의료정보 교환 프로토콜을 설계하였다.

System Implementation of Utilization of Health and Medical Treatment Big Data (공공의료 빅데이터 활용을 위한 시스템 구축 방안에 관한 연구)

  • Choi, Eunjoo;Kim, Gi-Yoon;Moon, Yoo-J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7.07a
    • /
    • pp.397-398
    • /
    • 2017
  • 정보 공유를 통해 국민들은 의료 기관 및 치료방법 등을 합리적으로 선택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의료 기관의 컴퓨터와 연결 기계의 사용으로 의료 관련 데이터는 규모가 급격히 늘어났다. 이에 따라 정부 3.0에 맞춰 공개되는 의료 데이터가 확대됨에 따라 의료 빅데이터를 통해 여러 정보들을 만들어내 의료 분야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기대가 커져가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의료 빅데이터를 어떻게 활용하여 의료 기관, 국민, 정부, 보험사 등 여러 기관에게 제공할 수 있는 지에 대해 설명한다. 현재 빅 데이터를 사용해 연령 별 잘 걸리는 질병이나 질병 별 성비를 나타내는 것 등 단순 사실을 알아내는 정도가 아니라 실질적으로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정보를 만들어낼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였다는 점에서 이 연구는 강점을 갖는다.

  • PDF

보건의료 분야의 빅데이터 활용 동향

  • Lee, Ji-Hye;Je, Mi-Gyeong;Jo, Myeong-Ji;Son, Hyeon-Seok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32 no.1
    • /
    • pp.63-75
    • /
    • 2014
  • 정보통신기술의 발전과 생산되는 데이터의 양적 증가에 따라 빅데이터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빅데이터(Big Data)란 기존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 저장 관리 분석 능력을 초과하는 다양한 형식을 가진 대량의 데이터를 의미한다. 여러 분야에서 빅데이터가 생성, 분석, 활용되고 있는데, 특히 보건의료 및 바이오 분야에서의 빅데이터 분석은 사회경제적으로 큰 영향력을 발휘할 수 있기 때문에 크게 주목 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보건의료 분야에서 생성되는 데이터의 특징과 빅데이터 분석 프로세스에 대해서 조사하였고, 국내 외 빅데이터 정책 및 활용사례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현재의 빅데이터 활용 장벽을 극복할 수 있는 몇 가지 전략을 제시하였다. 대량의 데이터에서 유용한 정보를 생성해내는 빅데이터 분석 기술은 보건의료 및 바이오 분야에서 국가경쟁력을 향상시키는 중요한 기반이 될 것이다.

Construction of Hierarchical LOD Development Environment and Its Application of Medical Information (계층적 LOD 개발 환경 구축 및 의료 정보 적용)

  • Moon, Hee-Ky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7.11a
    • /
    • pp.432-433
    • /
    • 2017
  • 최근 ICT 기술과 의료 빅데이터를 활용한 다양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질적인 의료데이터의 공유와 확산을 위해 표준화 데이터 모델로 온톨로지 기반의 Linked Open Data가 대안으로 급부상하고 있다. 특히 의료 빅데이터의 분석을 위한 데이터 셋은 프로토콜화하기 어려운 문제점을 갖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개발된 계층적 LOD 개발 환경 시스템을 기반으로 의료정보를 적용하기 위한 모델링에 중점을 두고자 한다. 본 연구는 의료 빅데이터의 검색과 분석연구 분야에 큰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정형화 수준에 따른 의료 데이터 분류 및 분석

  • Lee, Mi-Yeon;Park, Ye-Seul;Kim, Myeong-Hui;Lee, Jeong-Won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31 no.12
    • /
    • pp.57-63
    • /
    • 2014
  • 최근 빅 데이터가 중요한 이슈로 부상하면서, 의료 분야에서의 빅 데이터 관리 및 활용에 대한 요구도 급증하고 있다. 하지만 의료 분야의 데이터는 데이터 자체의 특성과 의료 분야의 특수성으로 인해 다른 분야의 일반적인 빅 데이터와는 차별점이 많다. 따라서 의료 분야에서는 데이터 분석에 앞서 다양한 종류와 형태의 의료 데이터를 의미적으로 융합할 수 있는 방법이 전제되어야 한다. 본 고에서는 우선 의료 관련 데이터에 대한 기술(description) 표준 동향을 소개한다. 더불어 다각도의 기준에 따라 의료 데이터를 분류해봄으로써 그 다양성을 확인하고, 의료 데이터 융합의 필요성을 강조함으로써 의료 데이터 관리기술의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A Study on the Policy Trends for the Revitalization of Medical Big Data Industry (의료 빅데이터 산업 활성화를 위한 정책 동향 고찰)

  • Kim, Hyejin;Yi, Myongho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8 no.4
    • /
    • pp.325-340
    • /
    • 2020
  • Today's rapidly developing health technology is accumulating vast amounts of data through medical devices based on the Internet of Things in addition to data generated in hospitals. The collected data is a raw material that can create a variety of values, but our society lacks legal and institutional mechanisms to support medical Big Data. Therefore, in this study, we looked at four major factors that hinder the use of medical Big Data to find ways to enhance use of the Big Data based healthcare industry, and also derived implications for expanding domestic medical Big Data by identifying foreign policies and technological trends.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concluded that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regulatory system that satisfies the security and usability of healthcare Big Data as well as establish Big Data governance. For this, it is proposed to refer to the Big Data De-identification Guidelines adopted by the United States and the United Kingdom to reorganize the regulatory system.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necessary to have a study that has measures of the conclusions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and to supplement the institutional needs to play a positive role in the use of medical Big Data.

Design of Clinical Big data-based Verifiability Identification Process through Characterization of Medical Device (의료기기의 특성 분석을 통한 임상 빅데이터 기반 검증 가능성 식별 프로세스 설계)

  • Choi, Yoo-Rim;Park, Ye-Seul;Lee, Ju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7.11a
    • /
    • pp.753-756
    • /
    • 2017
  • 의료기기는 사람의 생명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어 있기 때문에 다른 분야의 기기보다 안전성에 대한 검증이 필수적이다. 의료 분야에서는 안전성 검증을 위해 기기의 허가 심사 조건으로서 소수의 피험자를 대상으로 수행되는 임상 시험이 존재한다. 그러나 임상 시험의 경우 의료기기를 직접 사람에게 적용하여 검증을 진행하기 때문에, 인체에 미칠 위해성을 고려하여 전임상 시험을 수행하고 있다. 하지만 전임상 시험은 동물이나 가상의 물체를 대상으로 수행하여 실제 사람에 대한 적용이 아니기 때문에, 임상 시험에 비해 검증에 대한 효력을 갖지 못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피험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고, 임상 빅데이터에 축적된 실제 환자의 사례를 활용한 신뢰성 있는 검증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그러나 현재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제공되고 있는 의료기기 품목군은 개발하고자 하는 의료기기의 임상 빅데이터 기반 검증 가능성을 식별하기 어렵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의료기기에 대한 다양한 특성 분석을 통해 임상 빅데이터 기반 검증 가능성을 식별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제안한다. 제안하는 프로세스에서는 의료기기의 검증에 요구되는 데이터의 식별을 통해 임상 빅데이터를 이용한 테스트 데이터 수집 및 이를 활용한 신뢰성 높은 검증을 가능케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