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의료취약지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32초

의료취약지 근무 간호인력의 원격협진 수행 경험 (Telemedicine Cooperation Experience of Nurses Working in Remote Areas)

  • 진영란;김현
    • 한국농촌간호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43-49
    • /
    • 2022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telemedicine cooperation experience of nurses working in remote areas. Methods: A focus group interviews were used to collect data. All interviews were recorded and transcribed. Content analysis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Results: The three main categories and seven sub-categories of telemedicine cooperation experience that emerged are 1) requirement of education on remote support service, 2) consideration of the recipients of medical support servic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area, and 3) difficulties in conducting telemedicine cooperation. Conclusion: As a result of the study, legal protection should be given priority, and it is necessary to select an area where remote cooperation is essential, to discover subjects, and to reduce the burden of work and division of manpower and duties.

스마트 글래스를 활용한 공중보건의 대상 의료장비 원격교육 (Remote Medical Equipment Training for Public Health Doctors in Vulnerable Medical Areas Using Smart Glasses)

  • 최종명;최소은;문지현
    • 사물인터넷융복합논문지
    • /
    • 제9권3호
    • /
    • pp.75-80
    • /
    • 2023
  • 국내 의료취약지에서 공중보건의는 지역민의 일반의료는 물론 응급의료에서 큰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그러나 공중보건의는 일반적으로 현장 경험이 부족하기 때문에 응급 환자에 대한 대처 능력이 부족하고, 의료장비를 효과적으로 다루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공중보건의에게 필요한 의료장비에 대한 사용법을 스마트 글래스를 이용하여 원격교육으로 진행 후 교육의 효과를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의료장비 활용 교육을 위해서 스마트 글래스는 리얼웨어를 사용하였으며, 신안군 10개의 섬 지역 공중보건의 1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교육 후 장비 활용 효과와 만족도 모두 3점 이상이었다. 따라서 스마트 글래스를 활용한 원격교육이 의료취약지의 공중보건의를 대상으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일본의 의사인력 확충 정책과 시사점 (Japan's Policy and Implications for Expansion of Doctoral Manpower)

  • 권주영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11호
    • /
    • pp.345-352
    • /
    • 2020
  • 일본은 2007년 「긴급의사확보대책」을 통해 의료취약지의 의사재배치와 특정 진료과 편재해소를 위한 인력수급을 위해 힘을 기울이고 있다. 특히 지역 의사인력 확보방안에서 단기적 대안으로는 기존의 의사인력을 지역으로 유인하는 방안과 지역임상연수를 활성화 하여 임상연수를 받기위해 대도시로 의사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안이 있으며, 장기적 대안으로는 지역정원제도와 자치의과대학을 통해 의료취약지에서 근무할 인력을 양성하는 등 다각도에서 해소 방안을 찾아 가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최근 지속되고 있는 의사증원 및 공공인력정책에 대한 정부와 의협 간의 갈등을 심각하게 인식하고, 지역에서 근무할 의사인력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대안을 모색하기 위해 유사한 진통을 겪었던 일본의 사례를 벤치마킹하여, 정책적인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의료취약지 스마트의료에 대한 만족도와 요구도의 결정요인 (Determinants of Satisfaction and Demand for Smart Medical Care in Vulnerable Areas)

  • 진기남;한지은;구준혁
    • 한국병원경영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56-67
    • /
    • 2021
  • There are few domestic studies on medical services in medically vulnerable areas where medical use is not met due to a lack of medical resources. The past studies on smart medicine targeting medically vulnerable areas grasp only the overall satisfaction level, or the sub-dimensions of satisfaction are not classified clearly. Also, it lacks consideration of the patient's needs.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ffect of users' experience of the smart medicine pilot project conducted in medically vulnerable areas on satisfaction and demand. The user's experience was measured by variables in the dimensions of structure, process, and outcome. Among the pilot project participants, 282 subjects responded to the 2019 survey. Using the hierarchical regression method, we tried to find out the determinants of satisfaction and service demands. Experience factors affecting satisfaction were found to be accessibility, certainty,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demand in their 60s was high and that accessibility, certainty,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demand. It is expected that the smart medicine pilot project will be effectively operated by well utilizing the factors influencing satisfaction and demand revealed in this study.

서남권 의료불평등 개선을 위한 방안 -도서 지역을 중심으로- (A Strategy for the Improvement of Health Care Inequality in the Southwestern region of Korea - Around the island area)

  • 문지현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3호
    • /
    • pp.385-392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의료취약지 특히 서남권 도서지역의 의료불평등 정도를 파악하고 개선점을 마련해 보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방법으로는 '의료취약', '의료불평등', '도서지역' 등을 키워드로 하여 체계적 문헌고찰을 하여 14편을 분석하였으며, 또한 공공의료전달체계에 있는 의료인 9명에게 포커스그룹 혹은 심층 인터뷰(FGI)를 시행하여 현황 및 요구도를 파악하였다. 연구결과로는 서남권 특히 도서지역의 의료불평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FGI통해 전문인력의 부족, 행정지원체계의 부족 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의 결론으로 도서지역의 취약성을 개선하기 위한 적극적 행정적 지원은 물론 공공의료의 효율성이 높아 질 수 있는 현실적인 방안이 마련되어져야 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지역쇠퇴 유형별 의료이용행태 영향요인: 도시쇠퇴 지표와 의료취약지 지표를 활용하여 (Factors Influencing Medical Care Utilization according to Decline of Region: Urban Decline Index and Medical Vulnerability Index as Indicators)

  • 정지윤;정재연;윤인혜;최화영;이해종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205-215
    • /
    • 2022
  •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factors infecting the medical care utilization from a new perspective by newly classifying the categories of administrative districts using the urban decline index and medical vulnerability index as indicators. Methods: This study targeted 150,940 people who used medical services using the 2015 cohort database (DB), 2010-2015 urban regeneration analysis index DB, and 2014-2015 public health and medical statistics DB. The decline of the region was classified using the urban decline index typed using k-means clustering and the medical vulnerability index typed using the quantile score calculation.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3 times with medical expenditure, length of stay, and the number of outpatient visits as dependent variables. Results: There were 37 stable region (47.4%), 29 health vulnerable region (37.2%), and 12 decline region (15.4%). The health vulnerable region had lower medical expenditure, fewer outpatient visits, and a higher length of stay than the stable region. The decline region was all higher than the stable region but had no significant effect. Conclusion: The factors that cause the health disparity between regions are not only factors related to individual health behavior but also environmental factors of the local community.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systematic alternative that properly considers the resources within the community and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popul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