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의료기술

Search Result 3,404, Processing Time 0.042 seconds

마이크로/나노기술과 바이오 및 의료기술의 융합

  • Kim, Tae-Song
    • Ingenium
    • /
    • v.16 no.1
    • /
    • pp.41-46
    • /
    • 2009
  • 마이크로기술과 나노기술은 기존의 타 영역의 기술과 융합되어 세계적으로 앞서있는 선행주자들이 지배하고 있는 의료영역에서의 새로운 기술적 독자성을 확보 할 수 있는 새로운 가능성을 제공해 주고 있다. 끝없는 경쟁 속에 효율적으로 우리가 추구해야 할 연구방향으로서 마이크로/나노기술의 연구를 해야 하는 당위성을 제시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국내에서 가장 먼저 시작한 지능형마이크로시스템 사업단의 융합연구결과가 국내 융합연구의 저변을 다져왔고 그 열매는 국가의 새로운 산업으로 잘 이어져 국부창출로 나타나리라 기대한다.

의료용 3D 영상처리 시스템 기술동향

  • Song, Yeong-Jun;Gwon, Gi-Cheol;Im, Yeong-Tae;Kim, Nam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27 no.9
    • /
    • pp.23-29
    • /
    • 2010
  • 본고에서는 3D 입체 영상 기술에 기반한 의료 장비 및 시스템과 활용 사례 등을 소개하고 의료용 3D 영상처리 시스템을 구성하는 기반 기술 및 연구 동향에 대해 소개한다.

Medical Information Security and Standard Technology On IoT Environment (IoT 환경의 의료 정보보호와 표준 기술)

  • Woo, Sung-hee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19 no.11
    • /
    • pp.2683-2688
    • /
    • 2015
  • Internet of Things(IoT) using a variety of technologies in combination provides a convenient, elevated range of services to users. IoT has been noted in combining the fields of medical service in particular. However, with the advent and growing of IoT, the more medical services are evolving, security problems caused by leakage of personal health information will become more serious. U-Health and medical devices, which deal mainly the personal health information, is required to a high level of privacy and security of health information. Therefore, the introduction of the IoT in the healthcare industry requires the medical information security as a prerequisite. This study analyzes security status and trend of IoT, personal medical information leakage cases, the health information protection measures in accordance with the life cycle of medical information, and the standardized protection technologies.

초고속 통신망을 이용한 원격진료시스템

  • 박경수;조동호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12 no.9
    • /
    • pp.124-132
    • /
    • 1995
  • 의료분야에서의 통신망 이용은 의료분야 전산화의 진전과 함께 계속 증가하고 있으며, 이의 일환으로 외국에서는 의료용 화상정보 표현, 전송 및 검색을 위한 표준 프로토콜인 DICOM을 이용한 PACS를 개발, 시험 또는 상용화 하고 있는 상황이다. 한편 국내에서는 이러한 PACS 시스템의 도입이 미미한 실정으로, 삼성의료원을 비롯한 몇몇 대형 의료기관에서 PACS의 일부를 도입, 운영하고 있으며, 보험청구 및 환자정보 관리를 중심으로 한 의료분야 전산화가 꾸준히 이루어지면서 많은 병원에서도 PACS 시스템의 도입 및 원격 진료 서비스 제공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는 상황이다. 또한 이러한 의료용 화상정보 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문자기반 의료정보의 표현, 전송 및 검색을 위한 표준 프로토콜인 HL7(health level 7)을 이용하여 의료보험 등과 같이 직접적인 의료행위 이외의 기타 부가정보를 의료기관 사이 또는 의료기관과 비의료기관 사이에서 공유하고 있다. 이러한 의료분야에서의 통신망 이용기술과 함께, 현재 고속 통신망에서 많이 개발되어지고 있는 화상회의 시스템의 발전에 기인하여 원격 진료 서비스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데, 이는 원거리에 위치한 의료기관간에 표준 프로토콜을 이용한 의료용 화상 또는 문자정보 공유가 가능해지고, 고속 통신망을 이용한 화상회의 및 긴급성을 가진 대용량 화상정보의 실시간 전송이 가능한 점에 기인한다. 본 고에서는 이러한 원격 진료 시스템의 발전 배경 및 전반적 시스템의 구조와 특성을 고찰하고, 국내외의 원격 진료 시스템 활용 현황에 관하여 기술한다.

  • PDF

The Legal Protection of Digital Medical Imaging in U-healthcare (U-헬스케어에 있어서 디지털 의료영상정보의 법률적 보호)

  • Jeong, Young-Yeub
    • Korean Journal of Digital Imaging in Medicine
    • /
    • v.7 no.1
    • /
    • pp.23-31
    • /
    • 2005
  • 원격진료 홈네트워크 아파트 진료용 키오스크 모바일주치의 등으로 대표되는 U-헬스케어에 있어서 기초가 되는 것은 의료정보를 디지털화해서 전자적 자료의 형태로 저장 보관하고 이를 송 수신할 수 있는 기술이라고 할 수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U-Korea 전략의 하나로 보건복지부가 주축이 되어 2005년 10월 현재 국가보건의료정보화계획(ISP)을 수립하기 위한 작업을 추진중에 있다. 여기서, 예컨대 임상병리검사소견이나 방사선촬영소견 등의 의료정보가 전자적 장치에 의해 디지털화 할 경우 디지털 의료정보가 되는 것이며, 이 가운데 특히 방사선촬영소견 등 방사선분야의 모든 촬영기록이 PACS시스템을 통해 기재되거나 저장 전송될 경우 이를 디지털 의료영상정보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오늘날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말미암아 디지털 의료영상정보를 포함한 디지털의료정보는 대량적으로 수집 저장되고 유통 내지 공동활용이 보편화되어 감에 따라 그 의료정보의 보호에 관한 문제가 중요한 이슈로 대두되고 있다. 결론적으로 말하자면, 이러한 디지털 의료영상정보가 전자의무기록(EMR) 형태로 저장 보관되는 경우 이는 전자의무기록에 관한 법률규정이 적용되어 법률적 보호를 받게 되며, 그 보호의 강도는 종래 오프라인 상의 의료정보 보호보다 한층 강화된 규정을 두고 있다. 이와 같은 흐름에 있어서 최근 정부가 국가보건의료정보화계획 수립과 함께 제정작업을 추진하고 있는 가칭 의료정보화촉진 및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법률(안)은 시사점이 크다고 보기 때문에 소개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Development of Technology System for MIS(Minimally Invasive Surgery) robot of S. Korea analysed by the Application of Scenario Planning (최소침습수술용 의료로봇 기술개발연구 - 시나리오플래닝을 적용하여 -)

  • Lee, Sang-Yun;Yoon, Hong-Joo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 /
    • v.8 no.1
    • /
    • pp.13-26
    • /
    • 2013
  • This study is about development of technology system for MIS(Minimally Invasive Surgery) robot of S. Korea analysed by the application of scenario planning. MIS robot industry receive attention as a new growth industry for national and international and is noticeable for the leading industry of future era in Korea. In this paper was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an MIS robot technology and its components. It was investigated about the technology of an overseas MIS robot(especially U.S.A) and Korean domestic MIS robot and understood such as the country's policy propulsion issues then, was searched about development direction of the future. As a result, the future policy for MIS robot of S. Korea is to further spur the development of new MIS robot technology and more improvement of the technology level of MIS robot with AR(Augmented Reality) display.

Global Convergence for Healthcare ICT Services (헬스케어 ICT 서비스의 글로벌 컨버전스)

  • Won, Dal Soo;Lee, Sang San;Jung, Yong Gyu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2 no.2
    • /
    • pp.45-49
    • /
    • 2016
  • It may be summarized to four kinds of innovation through global convergence, and the convergence of adjacent areas according to mega-trends in medical services market and actively introduced ICT technologies, public and private partnership. Health care is no longer a local industry, it is becoming Global Convergence. In the case of developed countries, it is increased to income levels, the development of new medical technologies, while the increase in specialized medical services and need of aging population. It increases migration of foreign medical personnel, geographical proximity and choice of the best medical technology, regardless of the cost. The increasing demand for high quality yet relatively low foreign prices of medical services. Hospitals are especially spread of international certification such as the US JCI standards. Hospital exports are being evaluated and opened the way for the export industrialization as ICT convergence hospital that can be exported to the fusion-related technologies more efficiently. Current local hospital has already reached saturation, globalization of Korean hospital is being the time necessary. Thus, unlike a strategy for each country, as well as technology transfer it is also possible, such as total exports provided the building, medical equipment procurement, local medical personnel (doctors and nurses) selection and training, PR and marketing. In the current medical law and need to be revised prospectively maintained for publicity and abroad, there is a need for further legal dragons and actively support a more flexible policy on the application of national law overseas medical servi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