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의료기기 산업

Search Result 293,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광학 분석 시스템용 수.발광 소자 집적 모듈 개발

  • Song, Hong-Ju;Lee, Jun-Ho;Park, Jong-Hwan;Han, Cheol-Gu;Park, Jeo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2.08a
    • /
    • pp.311-312
    • /
    • 2012
  • 본 발표에서는 광학적 분석 시스템에 적용 가능한 발광소자(광원)과 수광소자(광센서)를 집적화시키는 모듈(수 발광 집적모듈) 기술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러한 수-발광 집적모듈은 다양한 응용 분야에 적용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신호 감지를 위한 광통신용 송-수신 모듈(optical communication), 의료/진단 분야에서 단백질/DNA/박테리아 등의 검출 및 분석에 관한 바이오 센서(bio-sensor), 그리고 대기(가스)/수질 모니터링에 관한 환경센서 등 매우 광범위한 분야에 해당되는 요소 기술이라 할 수 있다. 특히, 이들 분야들 중 바이오 물질을 분석하고 검출하는 광학적 바이오 센서 기술은 높은 경제적 가치와 산업적 성장 잠재력으로 인해 오랫동안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어 오고 있다. 이러한 광학적 바이오 센서에서 가장 범용적인 방법 중 하나가 항온-항체 면역반응을 기반으로 하는 형광 검출(fluorescence detection) 기법이다. 이러한 시스템은 전체적으로 광원, 광학계, 그리고 센서로 구성되는데 기존에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형광 현미경의 경우는 민감도가 우수하다는 장점은 있으나 상당히 고가이고 부피가 크며 복잡한 광학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고민감도를 확보하면서 휴대성, 고속처리, 저가 등의 특성을 가진 시스템에 대한 요구가 갈수록 증가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핵심기술 중의 하나가 수-발광 부분을 집적화 시키는 기술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바이오 센서 기술의 하나로서 형광을 측정하여 혈액내의 진단 지표인자를 검출할 수 있는 휴대용 혈액진단기기에 적용되는 소형 수 발광 집적 모듈을 개발하였다. 혈액내의 검출 성분의 양에 따라 형광의 세기가 변화하게 됨으로써 정량적인 검출이 가능한 원리이다. 모듈의 구조는 크게 광원(발광소자), 광학계, 그리고 광센서(수광소자) 세 영역으로 나누어 진다. 광원은 635 nm 적색 레이저다이오드로서 형광체(Alexa Fluor 647/발광파장: 668 nm)를 여기 시키는 기능을 하며 장착된 볼렌즈 의해 샘플의 형광체 영역으로 집광된다. 광학계는 크게 시준렌즈(collimating lens)와 광학필터로 구성됨으로써 샘플로부터 발생되는 광을 적절하게 수광소자로 전달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여기서 광학필터의 경우는 기본적으로 Distributed Bragg's Reflector(DBR) 구조로써 실리콘(Si) 포토다이오드 상부에 모노리식(monolithic)하게 형성되며 검출 샘플로부터 진행되는 레이저 광(잡음의 주원인)은 차단하고 형광(광신호)만 통과 시키는 기능을 하게 된다. 따라서 신호 대 잡음비(S/N ratio)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정밀한 광 필터링 기능이 요구됨으로써 박막의 세밀한 공정 조건과 구조적-광학적 특성 분석이 수행되었다. 마지막으로 포토다이오드 소자는 일반적인 구조 이외에 중앙에 원형 구멍이 형성된 특별한 구조가 적용된다. 이것은 포토다이오드 구조에 변화를 줌으로써 모듈 구조를 효율적으로 응용할 수 있다는 의미를 갖는다. 또한 포토다이오드의 전기적-광학적 측정 분석을 통해 잡음 및 감도 특성이 세부적으로 조사되며 형광신호를 효과적으로 측정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최종적으로 제작된 모듈은 약 $1{\times}1{\times}1cm^3$ 내외 정도의 크기를 갖는다. 요약하자면 본 발표에서는 광학적 바이오센서에 적용할 수 있는 소형 수-발광 소자 집적모듈을 소개한다. 전체 모듈 설계는 최소한의 부피를 가짐과 동시에 측정의 정밀성을 향상시키는데 초점을 맞추어 진행하였다. 세부요소인 광학필터와 포트다이오드의 경우 잡음 및 민감도에 미치는 중요성 때문에 세밀한 공정 및 특성분석이 수행되었다. 결론적으로 독자적인 설계 및 공정을 통해 휴대성 및 정밀성 등의 목적에 부합한 경쟁력 있는 수-발광 소자 집적모듈 제작 기술을 확보하였다.

  • PDF

Integrative medicine rehabilitation of simultaneous intra-dermal acupuncture (IDA) and neurodevelopmental treatment (NDT) for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Pilot Study of Functional Near-Infrared Spectroscopy (뇌성마비 소아에 대한 중추신경계재활치료 및 피내침 병용치료에 관한 연구 - 기능성 적외선 분광법(fNIRS)를 이용한 예비 연구 -)

  • Chang, Seok Joo;Nam, Yeon Gyo;Kim, Ji Hyun;Ko, Mun Jung;Kwon, Bum Sun;Lim, Chi-Yeon;Min, Sang Yeon
    • The Journal of Pediatrics of Korean Medicine
    • /
    • v.35 no.1
    • /
    • pp.139-147
    • /
    • 2021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differences in brain activities when Neurodevelopmental treatment (NDT) is used alone compare to NDT is combined with intradermal acupuncture (IDA) treatment, using functional infrared spectroscopy (fNIRS) Methods Three children less than 7 year-old with cerebral palsy were participated. On their first visit, only NDT was used. After a week, they were treated with both NDT and IDA. During the treatment, fNIRS was used to measure any changes in their brain activities. Results In first patient with NDT, oxyhemoglobin level was increased during Standing exercise and Gait training compared to resting state. When the patient was treated with NDT and IDA, oxyhemoglobin level was decreased during Standing exercise and Gait training compared to resting state, and the result was significant (p<0.05). In second patient, oxyhemoglobin level was decreased in Gait training compared to resting state when NDT was used, but the level was increased when NDT and IDA were used in Gait training compared to resting state (p<0.05). In third patient, the difference in oxyhemoglobin levels between Gait training and resting state was significant (p<0.05). Conclusions Treatment involving both NDT and IDA has more potential to improve brain activities compared to that of NDT alone, and no adverse effect was reported. In order to confirm the finding, larger scale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are needed.

Comparison of the accuracy of intraoral scanner by three-dimensional analysis in single and 3-unit bridge abutment model: In vitro study (단일 수복물과 3본 고정성 수복물 지대치 모델에서 삼차원 분석을 통한 구강 스캐너의 정확도 비교)

  • Huang, Mei-Yang;Son, Keunbada;Lee, Wan-Sun;Lee, Kyu-Bok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rosthodontics
    • /
    • v.57 no.2
    • /
    • pp.102-109
    • /
    • 2019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accuracy of three types of intraoral scanners and the accuracy of the single abutment and bridge abutment model. Materials and methods: In this study, a single abutment, and a bridge abutment with missing first molar was fabricated and set as the reference model. The reference model was scanned with an industrial three-dimensional scanner and set as reference scan data. The reference model was scanned five times using the three intraoral scanners (CS3600, CS3500, and EZIS PO). This was set as the evaluation scan data. In the three-dimensional analysis (Geomagic control X), the divided abutment region was selected and analyzed to verify the scan accuracy of the abutment.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software (${\alpha}=.05$). The accuracy of intraoral scanners was compared using the Kruskal-Wallis test and post-test was performed using the Pairwise test. The accuracy difference between the single abutment model and the bridge abutment model was analyzed by the Mann-Whitney U test. Results: The accuracy according to the intraoral scanner was significantly different (P < .05). The trueness of the single abutment model and the bridge abutment model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nd showed better trueness in the single abutment (P < .0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recision (P = .616). Conclusion: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accuracy of single and bridge abutments, the error of abutment scan increased with increasing scan area, and the accuracy of bridge abutment model was clinically acceptable in three types of intraoral scann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