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의뢰특성

Search Result 155,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Using Platforms as Market Creation Strategies for Small and Medium-Sized Service Robotics Companies in South Korea: The ROBOPRINT Case Study (국내 중소 서비스용 로봇 기업의 플랫폼을 이용한 시장 창출 전략: 로보프린트 사례연구)

  • Oh, Soo Jung
    • Korean small business review
    • /
    • v.43 no.2
    • /
    • pp.59-86
    • /
    • 2021
  • The platform concept has been used for business operations in various forms: product platforms, transaction platforms and industry platforms. All these platforms have common characteristics of having 'core' that is reused frequently and 'peripherals' that are less reusable and changed often. Companies use platforms to enable efficient development and creation of product family, transactions and innovation. These platforms provide new opportunities for many small and medium-sized companies (SMEs) by bringing changes to traditional industrial structures focused on the products rather than platforms. The service robotics industry in South Korea is mainly composed of technology-intensive SMEs due to its small market size. Although these SMEs succeed in developing technologies, they have difficulties creating and expanding markets to sell products. Thus, this study addresses the characteristics and problems of the South Korean service robotics industry and analyses how ROBOPRINT, one of the SMEs in the service robotics industry, successfully creates and continuously expands the service robot market by adopting platform concept. The results indicate that ROBOPRINT has been applying two types of platforms: product and transaction platforms. First, ROBOPRINT created art robots that were apartment mural service robots. Rather than selling art robots, the company developed various robots such as painting robots, building exterior wall-cleaning robots by reusing the core technology of the robots. The company also developed various robots according to the buyers request. In addition, the company used the robots to directly provide apartment mural services for customers. This mural service has been extended into various areas, not only in apartments but also in soundproof walls, underground passages, and retaining walls. Besides, ROBOPRINT added new services continuously by developing technologies such as virtual reality. Second, ROBOPRINT mediated mural service buyers and mural designers. This platform reduced buyers' workload, which necessitates requesting mural services to ROBOPRINT and searching for mural designers. For designers, this opened up new opportunities to participate in the mural business. The platform attracted both mural buyers and designers who were scattered before. Finally, ROBOPRINT seeks to expand the platform's scope to outside company. To share internally reused ROBOPRINT's technology with other companies, the company participated in Daegu city's 'New Technology Platform Industry'. Furthermore, ROBOPRINT is trying to share the service platform by leasing robots to other companies. This allows external agents to develop technologies and provide services by reusing resources from ROBOPRINT. This study contributes to existing theories by showing that SMEs continuously create and expand markets by building various platforms. Moreover, it provides useful implications for practitioners by describing the firm's specific platform-building strategy.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Classroom Problem Behavior Scale - Elementary School Version(CPBS-E) (초등학생 문제행동선별척도: 교사용(CPBS-E)의 개발과 타당화)

  • Song, Wonyoung;Chang, Eun Jin;Choi, Gayoung;Choi, Jae Gwang;ChoBlair, Kwang-Sun;Won, Sung-Doo;Han, Miryeung
    • Korean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 /
    • v.16 no.3
    • /
    • pp.433-451
    • /
    • 2019
  •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nd validate the Classroom Problem Behavior Scale - Elementary School Version (CPBS-E) measure which is unique to classroom problem behavior exhibited by Korean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focus was on developing a universal screening instrument designed to identify and provide intervention to students who are at-risk for severe social-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Items were initially drawn from the literature, interviews with elementary school teachers, common office discipline referral measures used in U.S. elementary schools, penalty point systems used in Korean schools, 'Green Mileage', and the Inventory of Emotional and Behavioral Traits. The content validity of the initially developed items was assessed by six classroom and subject teachers, which resulted in the development of a preliminary scale consisting of 63 two-dimensional items (i.e., Within Classroom Problem Behavior and Outside of Classroom Problem Behavior), each of which consisted of 3 to 4 factors. The Within Classroom Problem Behavior dimension consisted of 4 subscales (not being prepared for class, class disruption, aggression, and withdrawn) and the Outside of Classroom Problem Behavior dimension consisted of 3 subscales (rule-violation, aggression, and withdrawn). The CPBS-E was pilot tested on a sample of 154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ich resulted in reducing the scale to 23 items. Following the scale revision, the CPBS-E was validated on a sample population of 209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validation results indicated that the two-dimensional CPBS-E scale of classroom problem behavior was a reliable and valid measure. The test-retest reliability was stable at above .80 in most of the subscales. The CPBS-E measure demonstrated high internal consistency of .76-.94. In examining the criterion validity, the scale's correlation with the Teacher Observation of Classroom Adaptation-Checklist (TOCA-C) was high and the aggression and withdrawn subscales of the CPBS-E demonstrated high correlations with externalization and internalization, respectively, of the Child Behavior Checklist - Teacher Report Form CBCL-TRF). In addition, the factor structure of the CPBS-E scale was examined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and found to be acceptable. The results are discussed in relation to implications, contributions to the field, and limitations.

A Study on the Function of Oral Medicine as the Secondary Clinic Based on Analysis on Admissive Channel and Case Features (내원경위 분석과 환자 특성 평가에 따른 2차 진료기관으로서 구강내과 역할에 대한 연구)

  • Lee, You-Mee;Lee, Jung-Hyun;Lim, Hyun-Dae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v.31 no.3
    • /
    • pp.199-210
    • /
    • 2006
  • The epidemiological researches on the inpatients hospitalized at the oral medicine ward have been continuously carried out since 1970, and most researches have been performed by centering around the oral medicine wards of college hospitals. Numerous specialists have been produced after the establishment of oral medicine, and they have been active in various fields. As dental clinics have gotten bigger, the function of oral medicine in the secondary clinics is being brought out. As admissive channel, case features, case composition and otherwise have not been researched for a long time, the related researches should be carried out from now on. Hereupon, this study was carried out by targeting the 100 inpatients hospitalized at the oral medicine ward of Sun Hospital located in Daejeon Korea, through questionnaire. As the result, the following results were derived. 1. The ages of the inpatients in Sun Hospital were $29.21{\pm}11.31$ on the average; 71 females' mean average was $29.63{\pm}11.29$ and 29 males' mean average was $28.17{\pm}11.48$. In regard of school career, the patients who finished high-school course or higher accounted for 78%; the patients' school career seemed to be relatively high. The patients who complained of temporomandibular pain accounted for the highest proportion with 65%. In motivation to visit this hospital, internet surfing was 11%, mass media was 10%, acquaintance's introduction was 38%. The patients, who were hospitalized at another hospital due to the same symptom, accounted for 56%. The dental clinics, which made the patients visit this hospital, accounted for 20%. The patients, who were previously aware that the present symptom should be treated by oral medicine, accounted for 38%. The patients, who were not aware of the fact in advance, were 62%. The respondents of 51% answered that they were aware of the fact one month or below before hospitalization. 2. The patients, who complained of craniocervical ache, accounted for 58%; the patients, whose ache aches affect dailylife, were 22%. Continuous ache was 14% and intermittent ache was 68%, and dull pain was 23%. 3. Life variations were compared with each other by using SRRS (Social Readjustment Rating Scale). In consequence, the variation within 3 years indicat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both groups but the variation within 6 months did not indicate any differences. 4. In regard of the questionnaire on the incidents happened for a week, the ache-group was compared with the group free from the ache. As the result, the number of strain arisen for a week, the decrease of favorite works and sudden fear indicated a significant difference. Pleasant feeling and the decrease of interests in looks did not indicate a significant difference, but came close to the significance. 5. In the questionnaire on impatience, the ache-group indicated higher value but there was not a significant difference. 6. In the questionnaire on the symptoms caused by stress, the two groups indicat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item of 'the teethridge itches and feels a tooth rising' and 'the occiput or the nape is stiff.' In the item 'the inside of the cheek or the teethridge are widely peeled off, accompanied with ache and hemorrhage', 'the face has acne or pimple' and 'headache frequently attacks',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not observed but the two groups came close to the significance.

The National Survey of Open Lung Biopsy and Thoracoscopic Lung Biopsy in Korea (개흉 및 흉강경항폐생검의 전국실태조사)

  •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학술위원회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v.45 no.1
    • /
    • pp.5-19
    • /
    • 1998
  • Introduction: Direct histologic and bacteriologic examination of a representative specimen of lung tissue is the only certain method of providing an accurate diagnosis in various pulmonary diseases including diffuse pulmonary diseases. The purpose of national survey was to define the indication, incidence, effectiveness, safety and complication of open and thoracoscopic lung biopsy in korea. Methods: A multicenter registry of 37 university or general hospitals equipped more than 400 patient's bed were retrospectively collected and analyzed for 3 years from the January 1994 to December 1996 using the same registry protocol. Results: 1) There were 511 cases from the 37 hospitals during 3 years. The mean age was 50.2 years(${\pm}15.1$ years) and men was more prevalent than women(54.9% vs 45.9%). 2) The open lung biopsy was performed in 313 cases(62%) and thoracoscopic lung biopsy was performed in 192 cases(38%). The incidence of lung biopsy was more higher in diffuse lung disease(305 cases, 59.7%) than in localized lung disease(206 cases, 40.3%) 3) The duration after abnormalities was found in chest X-ray until lung biopsy was 82.4 days(open lung biopsy: 72.8 days, thoracoscopic lung biopsy: 99.4 days). The bronchoscopy was performed in 272 cases(53.2%), bronchoalveolar lavage was performed in 123 cases(24.1%) and percutaneous lung biopsy was performed in 72 cases(14.1%) before open or thoracoscopic lung biopsy. 4) There were 230 cases(45.0%) of interstitial lung disease, 133 cases(26.0%) of thoracic malignancies, 118 cases(23.1%) of infectious lung disease including tuberculosis and 30 cases (5.9 %) of other lung diseases including congenital anomalies.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noted in diagnostic rate and disease characteristics between open lung biopsy and thoracoscopic lung biopsy. 5) The final diagnosis through an open or thoracoscopic lung biopsy was as same as the presumptive diagnosis before the biopsy in 302 cases(59.2%). The identical diagnostic rate was 66.5% in interstitial lung diseases, 58.7% in thoracic malignancies, 32.7% in lung infections, 55.1 % in pulmonary tuberculosis, 62.5% in other lung diseases including congenital anomalies. 6) One days after lung biopsy, $PaCO_2$ was increased from the prebiopsy level of $38.9{\pm}5.8mmHg$ to the $40.2{\pm}7.1mmHg$(P<0.05) and $PaO_2/FiO_2$ was decreased from the prebiopsy level of $380.3{\pm}109.3mmHg$ to the $339.2{\pm}138.2mmHg$(P=0.01). 7) There was a 10.1 % of complication after lung biopsy. The complication rate in open lung biopsy was much higher than in thoracoscopic lung biopsy(12.4% vs 5.8%, P<0.05). The incidence of complication was pneumothorax(23 cases, 4.6%), hemothorax(7 cases, 1.4%), death(6 cases, 1.2%) and others(15 cases, 2.9%). 8) The 5 cases of death due to lung biopsy were associated with open lung biopsy and one fatal case did not describe the method of lung biopsy. The underlying disease was 3 cases of thoracic malignancies(2 cases of bronchoalveolar cell cancer and one malignant mesothelioma), 2 cases of metastatic lung cancer, and one interstitial lung disease. The duration between open lung biopsy and death was $15.5{\pm}9.9$ days. 9) Despite the lung biopsy, 19 cases (3.7%) could not diagnosed. These findings were caused by biopsy was taken other than target lesion(5 cases), too small size to interpretate(3 cases), pathologic inability(11 cases). 10) The contribution of open or thoracoscopic lung biopsy to the final diagnosis was defininitely helpful(334 cases, 66.5%), moderately helpful(140 cases, 27.9%), not helpful or impossible to judge(28 cases, 5.6%). Overall, open or thoracoscopic lung biopsy were helpful to diagnose the lung lesion in 94.4 % of total cases. Conclusions: The open or thoracoscopic lung biopsy were relatively safe and reliable diagnostic method of lung lesion which could not diagnosed by other diagnostic approaches such as bronchoscopy. We recommend the thoracoscopic lung biopsy when the patients were in critical condition because the thoracoscopic biopsy was more safe and have equal diagnostic results compared with the open lung biopsy.

  • PDF

Philosophical Stances for Future Nursing Education (미래를 향한 간호교육이념)

  • Hong Yeo Shin
    • The Korean Nurse
    • /
    • v.20 no.4 s.112
    • /
    • pp.27-38
    • /
    • 1981
  • 오늘 저희에게 주어진 주제, 내일에 타당한 간호사업 및 간호교육의 향방을 어떻게 정하여야 하는가의 논의는 오늘날 간호계 주변에 일어나고 있는 변화의 실상을 이해하는 데서 비롯되어져야 한다고 생각하는 입장에서 먼저 세계적으로 건강관리사업이 당면한 딜레마가 어떠한 것이며 이러한 문제해결을 위해 어떠한 새로운 제안들이 나오고 있는가를 개관 하므로서 그 교육적 의미를 정의해 보고 장래 간호교육이 지향해야할 바를 생각해 보려 합니다. 오늘의 사회의 하나의 특징은 세계 모든 나라들이 각기 어떻게 전체 국민에게 고루 미칠 수 있는 건강관리체계를 이룩할 수 있느냐에 관심을 모으고 있는 사실이라고 봅니다. 부강한 나라에 있어서나 가장 빈궁한 나라에 있어서나 그 관심은 마찬가지로 나타나고 있읍니다. 보건진료 문제의 제기는 발달된 현대의학의 지식과 기술이 지닌 건강관리의 방대한 가능성과 건강 관리의 요구를 지닌 사람들에게 미치는 실질적인 혜택간에 점점 더 크게 벌어지는 격차에서 발생한다고 봅니다. David Rogers는 1960년대 초반까지 갖고 있던 의료지식의 축적과 민간인의 구매력 향상이 자동적으로 국민 건강의 향상을 초래할 것이라고 믿었던 순진한 꿈은 이루어지지 않았고 오히려 의료사업의 위기는 의료지식과 의료봉사간에 벌어지는 격차와 의료에 대한 막대한 투자와 그에서 얻는 건강의 혜택간의 격차에서 온다고 말하고 있읍니다. 균등 분배의 견지에서 보면 의료지식과 기술의 향상은 그 단위 투자에 대한 생산성을 낮춤으로서 오히려 장애적 요인으로 작용해온 것도 사실이고 의료의 발달에 따른 일반인의 기대 상승과 더불어 의료를 태성의 권리로 규명하는 의료보호사업의 확대로 야기되는 의료수요의 급증은 모두 기존 시설 자원에 압박을 초래하여 전래적 의료공급체제에 도전을 가해 왔으며 의료의 발달에 건 기대와는 달리 인류의 건강 문제 해결은 더욱 요원한 과제로 남게 되었읍니다. 현시점에서 세계인구의 건강문제는 기아, 영양실조, 안전한 식수 공급 및 위생적 생활환경조성의 문제에서부터 가장 정밀한 의료기술발달에 수반되는 의료사회문제에 이르는 다양한 문제를 지니고 있으며 주로 각개 국가의 경제 사회적 여건이 이 문제의 성격을 결정짓고 있다고 볼수 있읍니다. 그러나 건강 관리에 대한 요구는 영구히, 완전히 충족될 수 없는 요구에 속한다는 의미에서 경제 사회적 발달 수준에 상관없이 모든 국가가 공히 요구에 미치지 못하는 제한된 자원문제로 고심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또 하나의 공통된 관점은 각기 문제의 상황은 달라도 오늘날의 건강 문제는 주로 의료권 밖의 유전적 소인, 사회경제적, 정치문화적인 환경여건과 각기 선택하는 삶의 스타일에 깊이 관련되어 있다는 사실입니다. 따라서 오늘과 내일의 건강관리 문제는 의학적 견지에서 뿐 아니라 널리 경제, 사회, 정치, 문화적 관점에서 포괄적인 접근이 시도되어야 한다는 점과 의료의 고급화, 전문화, 일변도의 과정에서 소외되었던 기본건강관리체계 강화에 역점을 둔 다양하고 탄력성 있는 사업전개가 요구되고 있다는 점입니다. 다양한 건강관리요구에 적절히 대처할 수 있기 위한 그간 세계 각처에서 시도된 새로운 건강관리 접근과 그 제안을 살펴보면 대체로 4가지의 뚜렷한 성격들로 집약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 첫째는 건강관리사업계획 및 그 수행에 있어 지역 사회의 적극적 참여를 유도하는 일, 둘째는 지역단위의 일차보건의료에서 부터 도심지 신예 종합병원, 시설 의료에 이르기까지 건강관리사업을 합리적으로 체계화하는 일. 셋째로 의료인력이용의 효율화 및 비의료인의 훈련과 협조 유발을 포함하는 효과적인 인력관리에 대한 제안과 넷째로 의료보험 및 각양 집단 의료유형을 포함하는 대체 의료재정 운영관리에 관련된 제안들을 들 수 있읍니다. 건강관리사업에 있어 지역사회 참여의 의의는 첫째로 사회 경제적인 제약이 모든 사람에게 가능한 최대한의 의료를 모두 고루 공급하기 어렵게 하고 있다는 점에서 제한된 정부재정과 지역사회가용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하는 자조적이고 자율적인 지역사회건강관리체제의 구현에 있다고 볼 수 있으며 둘때로는 개인과 가족 및 지역민의 건강에 영향하는 많은 요인들은 실질적으로 의료권 외적 요인들로서 위생적인 생활양식, 식사습관, 의료시설이용 등 깊이 지역사회특성과 관련되어 국민보건의 실질적 향상을 위하여는 지역 주민의 자발적인 참여가 필수여건이 된다는 점 입니다. 지역 단위별 체계적인 의료사업의 전개는 제한된 의료자원의 보다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이용을 가능하게 하며 요구가 있을때 언제나 가까운 거리에서 경제 사회적 제약을 받지 않고 이용할 수 있는 일차건강관리망을 통하여 건강에 관련된 정보를 얻으며 질병예방, 건강증진 및 기초적인 진료의 도움을 얻을 수 있고 의뢰에 대한 제2차, 제3차 진료에의 길은 건강관리사업의 질과 폭을 동시에 높고 넓게 해 줄 수 있는 길이 된다는 것입니다. 인력 관리에 관련된 두가지 기본 방향으로서는 첫째로 기존보건의료인력의 적정배치 유도이고 둘째는 기존인력의 역할확대, 조정 및 비의료인의 교육훈련과 부분적 업무대체를 들수 있으며 이러한 인력관리의 기본 방향은 부족되는 의료인력의 생산성을 높이고 주민들의 자조적 능력을 강화시킨다는 데에 두고 있음니다. 대체적 의료재정운영안은 대체로 의료공급과 재정관리를 이원화하여 주민의 경제능력이 의료수혜의 장애요소로 작용함을 막고 의료인의 경제적 동기에 의한 과잉치료처치에 의한 낭비를 줄임으로써 의료재정의 투자의 효과를 증대하는 데(cost-effectiveness) 그 기본방향을 두고 있다고 봅니다. 이러한 주변의료 사회적인 동향이 간호교육의 미래상에 끼치는 영향은 지대한 것이라 봅니다. 첫째로 장래 세계인구의 건강문제는 정치, 사회, 경제, 환경적인 의료권 밖의 요인들에 의해 더욱 크게 영향 받는다고 전제한다면 건강문제해결에 있어서도 전통적인 의료사업의 접근에서 더나아가 문제발생의 근원이 되는 생활개선이라는 차원에서 포괄적 접근을 생각하여야 하고 이를 위해선 정치, 경제, 사회전반에 걸친 깊이있는 이해과 주민의 생활환경에 직접 영향하는 교통수단, 통신망 mass media, 전력문제, 농업경영방법 및 조직적 사회활동 등 폭넓은 이해가 요구된다고 봅니다. 둘째로, 지역사회참여의 의의를 인정한다면 지역민의 자발적 참여를 효과적으로 유발시킬수 있고 의료집단과 각종 주민조직과 일반주민들 사이에서 협조적으로 일할수 있는 역량을 기르기위한 교육적 준비가 요구된다고 봅니다. 셋째로, 지역주민의 건강관리 자조능력 강화를 하나의 목표로 삼는다면 치료자에서 교육자로, 지도자에서 촉진자로, 제공자에서 지원자료의 역할의 변화 내지 다양화를 요구하게 될 것이므로 그에 대처할 수 있는 준비가 필요하다고 봅니다. 넷째로, 생각되어야 할 점은 지역중심건강관리사업을 지향하는 보건의료의 이념적 방향과 그에 상응하는 구체적 접근방법을 효율적으로 적용하기 위해서는 종횡으로 연결되는 의사소통체계의 정립과 민활한 정보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어야 한다는 점에서 의사소통의 구심체로서 역할할 수 있는 역량을 함양해야 할 교육적 과제가 있다고 봅니다. 마지막으로 생각되어야 할 점은 지역중심으로 전개될 건강관리사업은 건강증진 및 질병예방적 측면과 질병진료 및 회복과 재활에 이르는 종합적이고 포괄적인 사업이어야 한다는 점에서 종래 공공 의료부문과 사설의료기관 사이에 나누어져 있던 예방의학과 치료의학의 통합 뿐 아니라 정부주축으로 이루어 지고 있는 지역사회개발사업 및 농촌지도사업과 종교 및 각종 민간인 집단이 벌이고있는 사업들과의 전체적인 통합적 접근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하는 입장에서 종래 간호교육이 강조하지 않던 진료의 의무와 대외적 조직활동에 대한 보완적인 교육조치가 요구된다고 봅니다. 간호의 학문체계로서의 입장은 오랜 역사를 두고 논의의 대상이 되어왔으나 아직까지 뚜렷이 어떤 것이 간호 특유의 지식체계이며 건강문제에 관련하여 무엇이 간호특유의 결정영역이며 이 결정과 그 결과를 어떠한 방법으로 치료적 행위로 옮길 수 있는가에 대한 확실한 답을 얻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라고 봅니다. 다만 근래에 제시된 여러 간호이론들 속에서 공통적으로 이야기되어지고 있는 개념들로선 우선 간호학문을 건강과 질병에 관련된 인간의 전인적이고 전체적인 상황을 다루는 학제적 과학으로서보는 입장이 있고 따라서 생물신체적인 면 외에 정신심리적, 사회경제적, 정치문화적 환경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인간의 건강과 질병문제를 생각한다는 지향을 갖고 있다고 말할 수 있겠읍니다. 간호교육은 간호계 내적인 학문적, 이론적 체계화의 요구에 못지않게 대민봉사하는 전문직으로서의 사회적 책임을 감당해야하는 중요과제를 안고있어 변화하는 사회요구에 효과적으로 대처해 나가야 할 당면문제를 안고 있읍니다. 간효역할 확대, 보건진료원훈련 등 이러한 사회적 요구에 대응하려는 조치가 되겠읍니다. 이러한 시점에서 간호계가 분명히 짚고 넘어가야 할 사실은 이러한 움직임들이 종래의 의사들의 외업무공급을 연장 확대하는 입장에 서서 간호의 특수전문직 명목을 흐리게 할수있는 위험을 감수할 것인지 아니면 가능한 대체방안을 갖고 간호전문직의 독자적인 진로를 개척하면서 다각적인 도전을 받아들일 준비를 갖추든지 그 방향을 뚜렷이 해야할 일이라 생각합니다. 저로서는 이미 잘 훈련된 간호원들과 조산원들의 교육적, 경험적 배경을 기반으로 지역사회 최일선 건강관리요원으로 사회적 효능을 다 할수 있는 일차건강관리간호조직의 구현을 대체방안으로 제시하고 싶습니다. 간호원과 조산원들의 훈련된 역량과 건강관리체제의 구조적 변화를 효과적으로 조화시킨다면 대부분의 세계인구의 건강문제는 해결가능하다고 보는 입장입니다. 물론 정책과 의료와 행정적지원이 활성화되어지는 환경속에서만 그 기대하는 결과가 확대되리라는 점 부언하는 바입니다. 마지막으로 언급하고 싶은 점은 바로 오늘의 주제 ''교육의 동역자-선생과 학생''이라는 개념입니다. 특히 상회정의적 입장에서 보는 의료사업전개에 지역민 내지 의료소비자의 참여를 강조하는 현시점에 있어 교육자와 학생이 교육의 현장에서 서로 동역자로서 학습의 책임을 나누는 경험은 아주 시기적으로 적합하여 교육적으로 지대한 의미를 갖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이에 수반되어져야 할 역할의 변화에 수용적인 자세를 갖고 적극 실제적용하려 노력하는 선생앞에서 자주적 결정을 행사해본 학생이야말로 건강관리대상자로 하여금 같은 결정권을 행사할수 있도록 촉구하여 주민의 자조적 역량을 기르고 의료사업의 민주화, 인간화를 이룩할 수 있는 길잡이가 될 수 있으리라 믿는 바입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