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의도 분류

Search Result 353,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Multi-label Open Intent Classification using Known Intent Information (의도 정보를 활용한 다중 레이블 오픈 의도 분류)

  • Nahyeon Park;Seongmin Cho;Hyun-Je Song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23.10a
    • /
    • pp.479-484
    • /
    • 2023
  • 다중 레이블 오픈 의도 분류란 다중 의도 분류와 오픈 의도 분류가 합쳐져 오픈 도메인을 가정하고 진행하는 다중 의도 분류 문제이다. 발화 속에는 여러 의도들이 존재한다. 이때 사전에 정의된 의도 여부만을 판별하는 것이 아니라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의도에 대해서만이라도 어떤 의도인지 분류할 수 있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발화 속 의도 정보를 활용하여 다중 레이블 오픈 의도를 분류하는 모델을 제안한다. 먼저, 문장의 의도 개수를 예측한다. 그리고 다중 레이블 의도 분류기를 통해 다중 레이블 의도 분류를 진행하여 의도 정보를 획득한다. 획득한 의도 정보 속 다중 의도 개수와 전체 의도 개수를 비교하여 전체 의도 개수가 더 많다면 오픈 의도가 존재한다고 판단한다. 실험 결과 제안한 방법은 MixATIS의 75% 의도에서 정확도 94.49, F1 97.44, MixSNIPS에서는 정확도 86.92, F1 92.96의 성능을 보여준다.

  • PDF

Novel Intent Discovery Utilizing Large Language Models and Active Learning Strategies (대규모 언어 모델을 활용한 새로운 의도 발견 방법과 액티브 러닝 전략)

  • Changwoo Chun;Daniel Rim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23.10a
    • /
    • pp.425-431
    • /
    • 2023
  • 음성 어시스턴트 시스템에서 발화의 의도를 분류하고 새로운 의도를 탐지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작업이다. 끊임없이 인입되는 새로운 발화로 인해 기존에 학습된 모델의 의도 분류 성능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 낮아진다. 기존 연구들에서 새로운 의도 발견을 위해 제안되었던 클러스터링 방법은 최적의 클러스터 수 결정과 명명에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제한 사항을 보완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대규모 언어 모델 기반의 효과적인 의도 발견 방법을 제안한다. 이 방법은 기존 의도 분류기로 판단하기 어려운 발화에 새로운 의도 레이블을 할당하는 방법이다. 새롭게 인입되는 OOD(Out-of-Domain) 발화 내에서 오분류를 찾아 기존에 정의된 의도를 탐지하고, 새로운 의도를 발견하는 효율적인 프롬프팅 방법도 분석한다. 이를 액티브 러닝 전략과 결합할 경우, 분류 가능한 의도의 개수를 지속 증가시면서도 모델의 성능 하락을 방지할 수 있고, 동시에 새로운 의도 발견을 자동화 할 수 있다.

  • PDF

Speakers' Intention Classification using a Mutual Retraining Method (상호 재학습 방법을 이용한 화자 의도 분류)

  • Lee, Hyunjung;Seon, Choong-Nyoung;Kim, Harksoo;Seo, Jungyu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2.10a
    • /
    • pp.157-159
    • /
    • 2012
  • 화자의 의도를 결정하는 문제는 대화 시스템에서 핵심적인 부분이다. 기존의 연구에서는 모델의 간소화를 위해 화자의 의도를 화행과 개념이라는 두 요소로 분리하여 분석하였다. 하지만 두 요소는 서로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모델의 간소화는 의도 분석 성능 저하의 원인이 되었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화자 의도 분류를 위한 재학습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은 화자의 의도를 분석하기 위해 화행 분류 모델과 개념열 분석 모델로 분리하여 분석한다. 학습 단계에서 화행 분류 모델은 개념열 분류 결과를 입력으로 사용하고 개념열 역시 마찬가지로 적용하였다. 목적 지항 대화를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 제안된 시스템은 화자 의도 분류에서 최대엔트로피 모델과 지지 벡터 기계의 성능을 효과적으로 향상시켰다.

  • PDF

Out-of-Scope Intent Detection Method using T5-based Sentence Embedding and Temperature Scaling (T5-기반 문장임베딩과 템퍼러처 스케일링 기법을 사용한 범위 외 의도 탐지 기법)

  • Myunghoon Lee;Eunyoung Song;Hyunyoung Lee;Jihui Im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22.10a
    • /
    • pp.521-525
    • /
    • 2022
  • 사용자와 상호작용하는 대화시스템에서 사용자의 의도를 이해하기 위한 의도 분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하지만, 실제 대화시스템에서는 범위 내의 의도를 가진 발화 뿐만 아니라 범위 외의 의도를 가진 발화에 대한 인식도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에 사용되던 인코더 기반의 모델이 아닌 인코더-디코더 구조를 가지는 T5 모델을 활용하여 의도 분류 실험을 진행하였다. 또한, (K+1)-way 의도 탐지 방식이 아닌 Kway의 방식에 템퍼러처 스케일링 기법을 적용하여 범위 외 의도 발화 데이터 구축과 재학습이 필요 없는 확장성 있는 범위 외 의도 탐지 방법을 제안하였다. 범위 내 의도 분류 실험 결과 인코더-디코더 구조의 T5 모델이 인코더 구조의 모델에 비해 높은 성능을 보이며, 흔히 생성 태스크에서 활용되던 모델의 분류 태스크로의 확장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범위 외 의도 탐지 실험 결과에서는 T5 모델이 인코더 구조의 모델인 RoBERTa 보다 범위 외 탐지 재현율이 14.2%p 이상의 높은 성능을 기록하여 인코더-디코더 구조를 활용한 모델이 인코더 구조를 활용한 모델보다 범위 외 의도 탐지에 강건함을 확인하였다.

  • PDF

사용자 의도 정보를 사용한 웹문서 분류

  • Jang, Yeong-Cheol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Industrial Systems Conference
    • /
    • 2008.10b
    • /
    • pp.292-297
    • /
    • 2008
  • 복잡한 시맨틱을 포함한 웹 문서를 정확히 범주화하고 이 과정을 자동화하기 위해서는 인간의 지식체계를 수용할 수 있는 표준화, 지능화, 자동화된 문서표현 및 분류기술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키워드 빈도수, 문서내 키워드들의 관련성, 시소러스의 활용, 확률기법 적용 등에 사용자의도(intention) 정보를 활용한 범주화와 조정 프로세스를 도입하였다. 웹 문서 분류과정에서 시소러스 등을 사용하는 지식베이스 문서분류와 비 감독 학습을 하는 사전 지식체계(a priori)가 없는 유사성 문서분류 방법에 의도정보를 사용할 수 있도록 기반체계를 설계하였고 다시 이 두 방법의 차이는 Hybrid조정프로세스에서 조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계된 HDCI(Hybrid Document Classification with Intention) 모델은 위의 웹 문서 분류과정과 이를 제어 및 보조하는 사용자 의도 분석과정으로 구성되어 있다. 의도분석과정에 키워드와 함께 제공된 사용자 의도는 도메인 지식(domain Knowledge)을 이용하여 의도간 계층트리(intention hierarchy tree)를 구성하고 이는 문서 분류시 제약(constraint) 또는 가이드의 역할로 사용자 의도 프로파일(profile) 또는 문서 특성 대표 키워드를 추출하게 된다. HDCI는 문서간 유사성에 근거한 상향식(bottom-up)의 확률적인 접근에서 통제 및 안내의 역할을 수행하고 지식베이스(시소러스) 접근 방식에서 다양성에 한계가 있는 키워들 간 관계설정의 정확도를 높인다.

  • PDF

Dynamic recomposition of document category using user intention tree (사용자 의도 트리를 사용한 동적 카테고리 재구성)

  • Kim, Hyo-Lae;Jang, Young-Cheol;Lee, Chang-Hoon
    • The KIPS Transactions:PartB
    • /
    • v.8B no.6
    • /
    • pp.657-668
    • /
    • 2001
  • It is difficult that web documents are classified with exact user intention because existing document classification systems are based on word frequency number using single keyword. To improve this defect, first, we use keyword, a query, domain knowledge. Like explanation based learning, first, query is analyzed with knowledge based information and then structured user intention information is extracted. We use this intention tree in the course of existing word frequency number based document classification as user information and constraints. Thus, we can classify web documents with more exact user intention. In classifying document, structured user intention information is helpful to keep more documents and information which can be lost in the system using single keyword information. Our hybrid approach integrating user intention information with existing statistics and probability method is more efficient to decide direction and range of document category than existing word frequency approach.

  • PDF

Compressing intent classification model for multi-agent in low-resource devices (저성능 자원에서 멀티 에이전트 운영을 위한 의도 분류 모델 경량화)

  • Yoon, Yongsun;Kang, Jinbeom
    • Journal of Intelligence and Information Systems
    • /
    • v.28 no.3
    • /
    • pp.45-55
    • /
    • 2022
  • Recently, large-scale language models (LPLM) have been shown state-of-the-art performances in various tasks of natural language processing including intent classification. However, fine-tuning LPLM requires much computational cost for training and inference which is not appropriate for dialog system. In this paper, we propose compressed intent classification model for multi-agent in low-resource like CPU. Our method consists of two stages. First, we trained sentence encoder from LPLM then compressed it through knowledge distillation. Second, we trained agent-specific adapter for intent classification. The results of three intent classification datasets show that our method achieved 98% of the accuracy of LPLM with only 21% size of it.

Analysis of utterance intent classification of cutomer in the food industry using Pretrained Model (사전학습 모델을 이용한 음식업종 고객 발화 의도 분류 분석)

  • Kim, Jun Hoe;Lim, Heui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07a
    • /
    • pp.43-44
    • /
    • 2022
  • 기존 자연어 처리 모델은 문맥 단위 단어 임베딩을 처리하지 못하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는 한편 최근 BERT 기반 사전학습 모델들은 문장 단위 임베딩이 가능하고 사전학습을 통해 학습 효율이 비약적으로 개선되었다는 특징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사전학습 언어 모델들을 이용하여 음식점, 배달전문점 등 음식 업종에서 발생한 고객 발화 의도를 분류하고 모델별 성능을 비교하여 최적의 모델을 제안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사전학습 모델의 한국어 코퍼스와 Vocab 사이즈가 클수록 고객의 발화 의도를 잘 예측하였다. 한편, 본 연구에서 발화자의 의도를 크게 문의와 요청으로 구분하여 진행하였는데, 문의와 요청의 큰 차이점인 '물음표'를 제거한 후 성능을 비교해본 결과, 물음표가 존재할 때 발화자 의도 예측에 좋은 성능을 보였다. 이를 통해 음식 업종에서 발화자의 의도를 예측하는 시스템을 개발하고 챗봇 시스템 등에 활용한다면, 발화자의 의도에 적합한 서비스를 정확하게 적시에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PDF

Topic conversation performance improvement technology through game domain entity name recognition and deep learning intention classification (게임 도메인 개체명인식과 딥러닝 의도분류를 통한 주제대화 성능향상 기술)

  • Yun, Jae-Min;Jee, Min-Seong;Shin, Dong-Chun;Ko, Yeon-J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1.01a
    • /
    • pp.241-242
    • /
    • 2021
  • 대화시스템에서 게임설명요청과 같은 주제대화의 경우, 입력문장의 의도를 정확하게 분류하는 것이 대화시스템 성능과 직결되므로 매우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개체명 인식 방법과 머신러닝 방법을 결합한 하이브리드 방법을 제안하여, 머신러닝 방법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방법보다 주제대화의 의도 분류 성능을 향상시켰다.

  • PDF

Search Log Analysis for Extract User's Search Intention (사용자 검색 의도 추출을 위한 검색로그 분석)

  • Ji, Hye-Sung;Lyu, Ki-Gon;Lim, Heui-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1.11a
    • /
    • pp.376-379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 검색로그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검색 목적에 따라 분류하고 그 안에 내제되어 있는 사용자의 검색 의도를 찾고자 하였다. 분석은 질의어 110개에 대한 검색로그를 기반으로 검색 목적에 따라 Navigational, Informational, Transactional로 분류하였다. 또한, 질의어를 카테고리별로 분류하였으며 각 결과를 가지고 사용자 검색 의도가 내제되었는지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각 질의어에 따른 검색 목적에 따라서 분포는 다르지만 검색 목적에 따른 검색 의도가 3가지 모두 내제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Informational의 경우에는 질의어에 대한 서로 다른 정보가 나타났으며, 질의어 안에서 사용자의 검색 의도가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