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응력측정방법

Search Result 506,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Improvement of Direct Measurement of Bottom Shear Stress Using Shear Plate (전단평판을 이용한 바닥전단응력의 직접 측정 방법의 개선)

  • Jung, Dong Gyu;Kim, Young Do;Park, Yong S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70-70
    • /
    • 2016
  • 하천시설물 설계, 시공 및 관리에 있어서 바닥전단응력은 매우 중요하다. 예를 들어, 호안 등 시설물의 허용 소류력을 계산하거나, 하천의 유사량을 예측하는 데 있어서 바닥전단응력이 기준으로 쓰인다. 정상 등류의 경우, 수로 내 수체에 작용하는 중력과 수로 바닥 및 측면에 작용하는 마찰력의 평형을 고려함으로써 바닥전단응력을 산정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식생을 제외한 아크릴수로에서의 전단판의 움직임을 이용한 바닥전단응력 측정장치를 설계, 교정 및 검증을 실시하였다. 이 전단판은 수체와 바닥면에서 발생하는 마찰력에 의해 변위가 발생하고 이 변위를 바닥전단 응력으로 산정하였다. 직접 측정한 바닥전단응력은 기존에 연구된 두 가지 방법과 비교하여 검증하였다. 비교 검증을 위한 실험은 폭 0.3 m, 길이 10 m인 고속수로에서 Froude수 1이상, Reynolds수 20000이상의 사류이면서 난류인 상태로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유속은 PIV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비교 검증을 위한 첫 번째방법은 Reach-avrage공식을 기초로 manning의 평균 유속 공식을 이용한 바닥전단응력을 산정하는 방법으로 일반적으로 간단한 경험식을 이용하여 바닥 전단응력을 산정하는 방법이다, 두 번째는 Reynolds stress를 산정하는 방법으로 PIV를 통해 흐름방향의 연직프로파일의 유속을 측정 한 후 레이놀즈 분해법에 의해 산정된 난류 강도를 측정하여 Reynolds stress를 산정한 후 Shear stress를 산정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 가로 0.14 m, 세로 0.14 m의 전단판으로 구성된 바닥전단응력 측정장치를 개발하여 실험을 진행하면서 앞에서 언급한 두가지 방법을 측정하는 동시에 장치를 이용하여 바닥전단응력을 직접측정하여 총 3가지 바닥전단응력을 비교하였다.

  • PDF

Measurement of Through Thickness Welding Residual Stresses based on Theory of Inherent Strain (고유변형도이론을 이용한 두께방향의 용접잔류응력의 측정)

  • Park, Jeong-Ung;Ryu, Kang-Mook;An, Gyu-Baek;Lee, Jong-Sub;Jang, Seok-In
    • Proceedings of the KWS Conference
    • /
    • 2009.11a
    • /
    • pp.98-98
    • /
    • 2009
  • 용접에 의해 발생하는 용접잔류응력은 강구조물의 피로성능, 파괴양상 등에 영향을 주고 있으나 이러한 용접잔류응력을 예측하는 것은 쉽지 않다. 이러한 용접잔류응력을 예측하는 방법으로는 열탄소성해석과 같은 수치적 방법과 실험적 방법이 있다. 열탄소성해석의 경우 실제문제를 이상화하는 과정에서 매우 복잡한 모델링 기술이 필요하다. 또한, 측정방법에서는 표면의 잔류응력을 측정할 수 있는 홀드링법과 X-선법 등이 있고, 내부 잔류응력의 측정방법으로는 중성자회절법이 있다. 그러나 홀드링법의 경우, 사용범위의 한계와, 중성자회절법에서의 내부 잔류응력을 측정할 수 있는 두께의 제약이 있어 후판의 잔류응력을 측정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용접잔류응력의 생성근원인 고유변형도를 측정하고 이것으로부터 맞대기용접에서 발생하는 두께방향의 용접잔류응력을 계측하였다.

  • PDF

Stress Measurements Using Strain Gages (스트레인 게이지를 이용한 응력 측정 및 응용)

  • 강대임
    • Journal of the KSME
    • /
    • v.33 no.7
    • /
    • pp.661-670
    • /
    • 1993
  • 스트레인 게이지를 이용한 응력측정 방법 및 응력 측정시의 오차 발생의 원인에 대해서 설명하 였고 현재 많이 사용되고있는 스트레인 게이지식 로드셀의 원리 및 구조에 대해서도 설명하였다. 스트레인 게이지를 이용하여 변형도를 측정할 경우 1% 이내의 정확도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나 측정된 변형도로부터 응력을 계산할 경우 재료상수들의 부정확성으로 인하여 5% 정도의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스트레인 게이지를 이용한 응력 측정값은 부착위치에서의 값이므로 구조물의 최대 응력을 측정하고자 할 경우 구조물의 응력 상태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면 큰 오차가 발 생할 수 잇다. 따라서 정확한 측정을 위해서는 정확한 게이지 작업 기술과 함께 하중에 대한 대상물의 거동을 파악하는 기술 습득이 요구된다. 스트레인 게이지식 로드셀을 직접 설계 및 제작하기 위해서는 용량, 정밀도, 설치 공간, 사용조건 등을 고려하여 감지부의 형상, 감지부의 재질, 스트레인 게이지의 종류, 부착 방법, 보상회로 구성방법, 보호 케이스의 부착 여부 등을 결정하여야 하고 제작이 완료된 후 힘 표준기 등으로 교정검사를 실시하여 사용하여야만 정확한 측정을 기대할 수 있다.

  • PDF

축대칭 잔류응력 측정을 위한 시편의 형상연구

  • 박성한;구송회;이방업;조원만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Conference
    • /
    • 1999.10a
    • /
    • pp.11-11
    • /
    • 1999
  • Sach의 Boring out 측정방법은 튜브 또는 실린더 등의 축대칭 부품의 3차원 잔류 응력을 측정하는데 적용할 수 있다. 이 방법은 잔류응력이 층제거시 이완된 변형율로부터 결정된다는 원리에 근거하고 있다. 적용시 가정사항으로는 1) 잔류응력 분포가 축대칭이어야 하고 2) 응력 분포가 축방향을 따라 균일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실제부품은 길이가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잔류응력 분포가 균일하다는 가정이 적용될 수 없다. 본 연구에서는 시편의 길이 대 외경 비를 변화시켰을 때 유한요소해석을 이용하여 층제거시 이완된 변형율로부터 계산된 측정값과 유한요소 해석값을 비교하여 이 측정방법의 적용한계와 타당성을 조사하였으며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Sach의 Boring out 측정방법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부품의 외경 대 길이 비가 3이상일 경우 측정값과 해석값은 거의 일치하는 경향을 보이며 비가 증가할수록 측정오차가 줄어들 것으로 판단된다.

  • PDF

Estimation Curvature Change Due to Layer Removal in Strips with Uniaxial Residual Stress Fidlds (축방향의 잔류응력이 내재하는 STRIP의 층 가공에 따른 곡율변화)

  • 신상현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and Ocean Technology
    • /
    • v.33 no.2
    • /
    • pp.149-155
    • /
    • 1997
  • 잔류응력을 측정하는 비파괴 방법중 Neutron diffraction technique의 발달로 인하여 기존의 X-ray diffraction technique에 비하여 잔류응력 측정가능 두께가 대부분의 물질에 있어서 훨씬 깊어졌다. 비파괴 방법으로 부품내의 잔류응력 분포가 측정되어진 경우, 부품의 가공시 잔류응력의 재분포로 인한 형상의 변화를 정량적으로 예측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어떠한 경우도 논의된 바 없다. 본 연구에서는 축 방향의 잔류응력이 내재하는 strip의 층 가공시 일어나는 strip의 곡율변화를 정량적으로 예측할 수 있는 수식을 제시하였다. 간단히 컴퓨터 프로그램화 할 수 있는 수식을 전개하므로 써 현장에서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게 하였다.

  • PDF

Stress Measurement of Structural Member Using Piezoelectric Property (압전 특성을 이용한 구조물 부재의 응력측정)

  • Im, Eun Sang;Kim, Tea Hoon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 /
    • v.11 no.2
    • /
    • pp.103-108
    • /
    • 2007
  • A stress measurement method of structural member using piezoelectric property and electrostatic voltmeter is presented. The electric potentials of the surface of the piezoelectric element, which are proportional to the strain ${\varepsilon}$ on the structural member, are measured by an electrostatic voltmeter during load cycling. The stress ${\sigma}$ is calculated by this strain ${\varepsilon}$. Moreover, a stress distribution measurement tape which can be used for the stress distribution measurement along a specified line on the surface of structural member is developed, and the surface potential was measured by an electric static voltmeter of non-contact type. The applicability of the stress distribution measurement tape is examined through experiments using a notched specimen under cyclic loading. The measured distributions of x, y and xy are compared with those calculated by FEM analysis.

Practical Applications of Favorable Residual Stresses (잔류응력의 응용)

  • 신상현;김정일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21 no.5
    • /
    • pp.463-468
    • /
    • 1997
  • 잔류응력이 부품의 성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많은 연구가 되어져왔고, 이를 성능개선에 효과적으로 응용하는 많은 방법들이 소개되었다. 또한, 부품의 가공성, 변형 등에 대한 잔류응력의 영향을 정량적 또는 정성적으로 해석하는 연구가 지속되어져 왔을 뿐 아니라, 복합재료 내에서의 잔류응력과 그의 영향에 대해서도 활발한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 이처럼 잔류응력의 분야는 그의 측정, 응용 및 구조물내의 역할 등에 대한 연구의 잠재성이 큰 분야이다. 잔류응력이 부품의 성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정확한 예측과 효율적 응용을 위해서는 잔류응력을 비파괴적으로, 정량적으로 정확히 그리고 부품 전체에 걸쳐 현장에서 신속히 측정할수 있는 방법이 절실히 요구되어지고 있지만 아직 이러한 방법은 존재하지 않는다. 여기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방법이 개발되어질 수 있다면 이는 대단히 획기적인 연구가 될 것이다. Neutron diffraction technique이 이에 가장 근접한 방법이 되겠으나 현장에서의 신속한 측정에는 아직 매우 미흡하다.

  • PDF

Development of Thermal Stress Measuring System (온도응력 측정용 시험장치의 개발)

  • 전상은;김국한;김진근
    •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 /
    • v.13 no.3
    • /
    • pp.228-236
    • /
    • 2001
  • Even though numerous researches have been performed for the prediction of thermal stresses in mass concrete structures by both analytical and experimental means, the limitations exist for both approaches. In analytical approach, the fundamental limitation is derived from the difficulty of predicting concrete properties such as modulus of elasticity, coefficient of thermal expansion, etc.. In experimental approach, there are many uncertainties related to in-situ conditions, because a majority of researches have focused on measuring thermal stresses in actual and simulated structures. In this research, an experimental device measuring thermal stresses directly in a laboratory setting is developed. The equipment is located in a temperature chamber that follows the temperature history previously obtained from temperature distribution analysis. Thermal strains are measured continuously by a strain gauge in the device and the corresponding thermal stresses are calculated simply by force equilibrium condition. For the verification of the developed device, a traditional experiment measuring thermal strains from embedded strain gauges is performed simultaneously. The results show that the thermal strain values measured by the newly developed device agree well with the results from the benchmark experiment.

An Experimental Method for the Evaluation of Dead Load Stress in Existing Concrete Bridges (콘크리트 교량의 고정하중 응력에 관한 실험적 측정방법)

  • Park, Dae Sung;Kim, Woo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26 no.4A
    • /
    • pp.701-706
    • /
    • 2006
  • This paper describes an attempt to develop a practical method for the measurement of dead load stress in existing concrete bridges. In most cases, the dead load stress was determined by various theoretical calculations. However, the theoretical calculation cannot always provide a sufficient information on the current stress state due to lots of uncertainty. The key idea incorporated with this paper is the partial sectioning method which is able to estimate current stress state in concrete bridges subjected to dead load. The proposed method is applied to the safety assessment of actual concrete bridges and the applicability of this system is investigated.

The Optimal Method to Determine Damage Threshold of Rock using Hwangdeung Granite (황등화강암을 이용한 암석의 손상기준 결정방법 연구)

  • Jang, Bo-An;Ji, Hoon;Jang, Hyun-Shic
    •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 /
    • v.20 no.1
    • /
    • pp.89-100
    • /
    • 2010
  • Although various methods for determination of damage threshold in rock have been suggested, clear damage thresholds were determined by some methods, but different thresholds were measured by other methods. We determined the damage thresholds in Hangdeung granite using all the methods suggested, and investigated the best methods, applicability and errors of each method. The crack initiation threshold and the crack damage threshold which are important in investigation of characteristics of crack development and failure were verified by field strength ratio method and long-term constant load test. The crack closure stress and the crack initiation stress were 57.5 MPa and 77.6 MPa, and the most exact values were yielded by crack volumetric strain. The secondary crack initiation stress was 90.6 MPa and AE event count and AE event count rate were the effective methods. The volumetric stiffness, AE event count and AE event count rate were the most effective methods for determination of crack coalescence threshold and crack coalescence stress was 110.3 MPa. The crack damage stress was 127.5 MPa and was measured correctly by volumetric stiffness and AE event count rate. The ratio between crack initiation stress and uniaxial compressive strength was 0.47 which was very similar with the FSR value of 0.46. The ratio between crack damage stress and uniaxial compressive strength was almost the same as the ratio between long-term strength and uniaxial compressive strength, indicating that the crack initiation stress and the crack damage stress measured were correct.